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9119704246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3-05-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1부 교회
서론 _교회는 소수였다
참된 교회의 모습이 회복되기를 간절히 원하는 자들에게
_일그러진 한국 교회의 얼굴(박영돈, IVP)
교회는 사랑으로 지어져 간다
_교회와 하나님의 사랑(김남준, 익투스)
교회의 회심이 필요하다
_유배된 교회(리 비치, 새물결플러스)
주님께서 피로 사신 교회
_교회다운 교회(신호섭, 다함)
2부 제자도
서론 _제자란 십자가를 지는 사람
주님이 들려주시는 “나를 따르라”는 무엇인가
_나를 따르라(디트리히 본회퍼, 복있는사람)
평범한 기독교
_안녕, 기독교(김정주, 토기장이)
수많은 선택을 앞둔 이들에게
_나의 선택과 하나님의 뜻(이재욱, 좋은씨앗)
나의 신을 사랑할 때 나는 무엇을 하는가
_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강남순, 새물결플러스)
3부 설교
서론 _그때 거기서, 오늘 여기서
누가 이 일을 감당하리요
_설교자의 일주일(김영봉, 복있는사람)
심은 대로 거둔다
_존 스토트의 설교(존 스토트, 그레그 샤프, IVP)
설교는 도박이 아니다
_설교를 말하다(이규현, 두란노)
내가 믿었으므로 말하노라
헤르만 바빙크의 설교론(헤르만 바빙크, 다함)
4부 하나님 나라
서론 _천국은 이곳에
희미한 장소
_마침내 드러난 하늘나라(폴라 구더, 학영)
하나님 나라는 가난이 없어지는 것이다
_대천덕 신부의 하나님 나라(대천덕, CUP)
우리 집은 쓰레기 처리장
_대한민국 쓰레기 시멘트의 비밀(최병성, 이상북스)
우리의 성경 읽기는 지금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_나를 넘어서는 성경 읽기(김근주, 성서유니온)
5부 시대와 사명
서론 _인생을 긍휼히 여기라
가장 세속화된 곳에서 피어나는 꽃
_초대교회사 다시 읽기(최종원, 홍성사)
Change Luder to Luther
_루터의 재발견(최주훈, 복있는사람)
누구에게로 가야 하는가
_역사의 그늘에 서서(디트리히 본회퍼 외 4인, 감은사)
기독교의 목표는 무엇일까?
_종교 중독과 기독교 파시즘(박성철, 새물결플러스)
6부 예수의 십자가
서론 _놀라운 예수의 십자가
오! 놀라운 십자가
_속죄의 본질(그레고리 A. 보이드 외 3인, 새물결플러스)
나는 십자가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_십자가 처형(마르틴 헹엘, 감은사)
인간이신 예수님
_예수님의 눈물(김정형, 복있는사람)
승천의 재발견
_그리스도의 승천(패트릭 슈라이너, 이레서원)
에필로그
부록1 서평가의 읽기와 쓰기
부록2 추천 도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16년부터 지금까지 책을 읽고 서평을 써왔다. 변함없이 꾸준하게 이 길을 걸어왔다는 것에 나 자신도 놀라게 된다. 이 작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억울함 때문이었다. 열심히 한 권의 책을 서너 시간 읽었음에도 책장을 덮은 후 아무 설명도 못하는 나를 보며 ‘책을 읽은 게 아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다시는 이런 후회를 하지 않기 위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은 후 반드시 요약 또는 의견을 기록했다.
‘프롤로그’ 중에
겉으로 보면 교회가 경제화와 함께 성장한 것처럼 보이나 속은 병들고 부패했다. 예수님의 정신을 따르는 참 성도는 없어지고 바알을 추종하는 신도가 늘고 있고 귀족 종교가 되었다. 공교회에 대한 신앙고백은 사라지고 성장만을 꿈꾸는 개교회주의가 만연한다. 신령한 생명력과 거룩한 향기는 사라지고, 죽음이 엄습하며 맘몬의 냄새가 가득해지고 있다. 이처럼 성공주의 패러다임은 교회를 변질시켰고, 바이러스와 함께 많은 문제를 터트렸다. 우리 교회 속 깊이 뿌리 박힌 문제를 해결하고 참된 교회로 거듭나기를 간절히 원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1부 교회 _일그러진 한국 교회의 얼굴’ 중에
교회에 다니는 것은 쉬우나, 제자가 되기는 어렵다. “나를 따르라”는 부르심은 한순간이지만 평생에 걸쳐 따라야 하는 사명에는 많은 대가가 따른다. 제자는 한순간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주님의 제자는 오래도록 한길에 순종하는 사람이다. 나의 욕망을 따르기보다 주님의 소망을 따르는 사람이고, 나의 욕구보다 주님의 요구에 반응하는 사람이다. 이 챕터를 통해 제자의 정체성과 사명이 바르게 세워지기를 기대한다.
‘2부 제자도 _제자란 십자가를 지는 사람’ 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