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지훈 선집

조지훈 선집

(조지훈 시인 탄생 100주년 기념)

조지훈 (지은이)
삼사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지훈 선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지훈 선집 (조지훈 시인 탄생 100주년 기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7064449
· 쪽수 : 243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조지훈 시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조지훈 시인의 만년유택이 위치한 남양주의 후배문인들이 조지훈 시인의 기간시집과 수필집에 수록된 작품들 중 대중에게 알려진 89편의 시와 12편의 수필을 한데 모아 엮은 <조지훈선집>은 조지훈 시인의 문학세계에 대한 입문서이다.

목차

Part. 1 조지훈의 시

-제 1부-

“청록집(靑鹿集)”


봉황수(鳳凰愁)
고풍의상(古風衣裳)
무고(舞鼓)
낙화(落花)
피리를 불면
고사(古寺) 1
고사(古寺) 2
완화삼(玩花衫)- 목월(木月)에게
율객(律客)
파초우(芭蕉雨)
산방(山房)
승무(僧舞)

-제 2부-

“풀잎단장(斷章)”


아침
산길
그리움
절정(絶頂)
풀밭에서
묘망(渺茫)

달밤
암혈(岩穴)의 노래
窓(창)
풀잎단장(斷章)
사모(思慕)
석문(石文)
앵음설법(鶯吟說法)
가야금(伽倻琴)
산(山)
도라지꽃
낙엽(落葉)
倚樓吹笛[피리를 불다]
송행(送行) ―만 오일도 선생(輓 吳一島 先生)-

-제 3부-

“조지훈 詩選”


지옥기(地獄記)

종소리(鐘소리)
유찬(流竄)
부시(浮屍)
낙화(落花) 2
정야(靜夜) 1
정야(靜夜) 2
계림애창(鷄林愛唱)
고조(古調)
민들레꽃
매화송(梅花頌)

-제 4부-

“역사 앞에서”


눈 오는 날에
동물원의 오후(動物園의 午後)
산상(山上)의 노래
역사(歷史) 앞에서
불타는 밤거리
절망의 일기((絶望의 日記)
전선의 서(戰線의 書)
풍류병영(風流兵營) - 종군문인 합숙소(從軍文人 合宿所)에서-
다부원에서(多富院에서)
서울에 돌아와서
봉일천 주막에서(奉日川 酒幕에서)
패강무정(浿江無情)
종로에서(鐘路에서)
이 날에 나를 울리는
불타는 밤거리
비혈기(鼻血記)

-제 5부-

“여운(餘韻)”


설조(雪朝)
여운(餘韻)
범종(梵鐘)
꿈 이야기
추일단장(秋日斷章)
폼페이 유감(有感)
소리
터져오르는 함성(喊聲)
사랑하는 아들딸들아
늬들 마음을 우리가 안다 - 어느 스승의 뉘우침에서
그 날의 분화구(噴火口) 여기에 - 고대사월혁명탑명(高大四月革命塔銘)-

-제 6부-

“바위 頌”


백접(白蝶)
병(病)에게
풀잎단장(斷章) 2
꽃피는 얼굴로는
재단실(裁斷室)
풍류원죄
합장(合掌)
바위송(바위頌)
마음
사랑(思娘)

Part. 2 조지훈의 산문

무국어(撫菊語)
돌의 미학
방우산장기(放牛山莊記)
술은 인정이라
주도유단(酒道有段)
포호삼법(捕虎三法)
지조론(志操論)
여름 방학엔 무엇을 할까 -귀향하는 학생들에게-
청춘의 특권을 남용하지 말라 - 대학생의 體貌(체모)를 위하여-
대학이란 이런 곳이다. - 신입생에게 주는 글-
우익좌파(右翼左派)
호상비문(虎像碑文)

Part 3. 제자가 바라본 스승 조지훈

문사의 길 또는 정신사의 높이
- 조지훈의 생애와 문학적 기품-
최 동 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저자소개

조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조동탁(趙東卓). 1920년 경북 영양에서 태어났다. 1939년과 그 이듬해 《문장》의 추천을 받아 등단했다. 혜화전문학교 졸업 후 월정사 불교강원 강사를 지냈고 조선어학회 《조선말 큰사전》 편찬위원으로 일했다. 1948년부터 고려대 문과대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종군문인으로 6·25전쟁을 겪었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국학 연구의 기틀을 닦고 《한용운 전집》 간행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저술, 편찬 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박두진, 박목월과의 3인 합동 시집 《청록집》을 포함해 총 5권의 시집을 출간하였고, 시론집 《시의 원리》, 수필집 《지조론》 등을 펴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봉황수(鳳凰愁)

벌레 먹은 두리 기둥, 빛 낡은 단청(丹靑), 풍경(風磬) 소리 날러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玉座)위엔 여의주(如意珠) 희롱하는 쌍용(雙龍)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밑추석(甃石)을 밟고 가는 나의 그림자. 패옥(佩玉) 소리도 없었다. 품석(品石) 옆에서 정일품(正一品), 종구품(從九品) 어느 줄에도 나의 몸 둘 곳은 바이 없었다. 눈물이 속된 줄을 모를 양이면 봉황새야 구천(九天)에 호곡(呼哭)하리라.


승무(僧舞)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히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먼 하늘 한개 별빛에 모도우고

복사꽃 고운 뺨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煩惱)는 별빛이라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깊은 마음 속 거룩한 합장(合掌)인양하고

이밤사 귀또리도 지새우는 삼경(三更)인데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