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91197145551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7-22
책 소개
목차
1. 서문
2. 원자력 기초 이론
2.1 원자론의 기원 및 역사
2.2 원자의 구성 및 상호작용
2.3 방사선 및 방사능물질
2.4 방사성동위원소
2.5 원자로 연료로 사용되는 핵물질
2.6 방사선은 인체에 얼마나 해로운가?
2.7 국내 원전의 방사능물질 누출 현안 및 문제점
3. 원자력발전 안전규제 기준, 요건 및 기술기준
3.1 원전의 안전성 철학 및 원칙
3.2 3가지 주요 안전기능 및 요건
3.3 원전의 안전성 목표
3.4 주요 안전설계 개념 및 기준
3.5 원자로 주요 안전설계 기준
3.6 원자로 내진, 환경 검증
3.7 원자력규제위원회 (NRC) 규제체계
3.8 국내 규제체계
3.9 원자로 압력경계 (RCPB) 설계기준 및 요건
4. 원자력발전의 종류
4.1 원자력발전소 시스템 구성
4.2 경수로형 원전
4.3 중수로형 원전
5. 원자력발전소 시스템 구성 및 작동 원리
5.1 공정계통 (급수계통, 터빈발전기 등)
5.2 보조계통 (냉각수계통 등)
5.3 전력계통 (2차 터빈발전기)
5.4 공기조화계통 (HVAC: heat,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5.5 화재방호계통
5.6 계측 및 제어 계통
5.7 공학적안전계통
5.8 안전에 중요한 정보계통 (Digital I&C and MMIS)
5.9 단일고장기준, 고장모드, 영향평가 (FMEA)
6. 원자력사고 분류 및 안전해석
6.1 서론
6.2 원자력규제위원회 (NRC) 규제체계 변화 및 동향
6.3 결정론적안전해석
6.4 확률론적안전성분석 (PRA/PSA)
7. 중대사고의 메커니즘
7.1 중대사고 초기사고
7.2 중대사고에 대처하는 설비 (계통)
7.3 기기생존성
7.4 항공기 충돌사고
7.5 『중대사고완화지침서』 작성
7.6 후쿠시마 원전 사고 피드백
8. 원자력발전소 운전 및 운영
8.1 원자로 운전 제한 및 조건 (OLC)
8.2 원자로의 운전, 보수 및 유지관리
9. 참고문헌
10. 전문용어 해설
책속에서
필자는 지금껏 오랜 세월을 원자력 분야에서 근무했다. 국내에서 17여 년, 캐나다원자력공사?(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 AECL)에서 16여 년간 근무하고 2014년 퇴직을 했다. 이후 2017년 12월, 한 시민단체로부터 기술자문 요청을 받고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한국에 도착했다.
그 사이 월성 1호기 수명연장 사업을 검토하며, 큰 충격을 받았다. 관련 사업이 무계획적이고, 불법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원전의 안전성을 이대로 내버려두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저절로 마음에 아로새겨졌다.
2022년 1월 기준 우리나라는 원전 24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은 수치다. 따라서 원전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구체적으로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어떻게 원전을 운영 하는가?’, ‘규제기관인 한국원자력기술원의 규제 능력은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 ‘현재 국내 원자력발전 시스템의 안전계통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중대사고 시 안전계통이 사고 완화 및 예방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등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 원전의 안전성을 확인해봐야 할 것이다.
국내 원자력 기술진은 상당 부분 자체설계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규제체계는 매우 부실, 빈약한 상태에 놓여 있다. NRC의 규제기준, 요건 등을 참조, 사용하지 않고는 어느 하나의 원자로도 설계, 건설 및 안전 심사를 할 수 없는 상태다.
국내 원자력발전을 안전하게 운영하고,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선 반드시 규제체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