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생명운동과 문명전환

한국 생명운동과 문명전환

주요섭 (지은이), 재단법인 숲과나눔(도서출판 풀씨) (기획)
풀씨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생명운동과 문명전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생명운동과 문명전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7145575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40년 한국의 생명운동을 다시 보고 다시 쓴 결과물이다. 과거의 발자취만이 아니라 현재 새롭게 펼쳐지고 있는 다양한 생명운동을 소개하며, ‘파국적 전환’과 ‘개벽적 전환’으로서의 또 다른 세계의 태동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목차

발간사  4
추천사  6
책을 펴내며  14

서문: 생명담론은 재발명되어야 한다  18
- 종말의 감각, 확실성의 종말  19
- 소환되는 생명담론, 응답 없는 생명운동  23
- 한국 생명담론 다시쓰기  28
보론: 체계이론과 정동이론  34

I부 한국 생명운동 다시보기  45

1장. 한국 생명운동 40년 연대기  47
1. 1970년대: 생명운동의 전사(前史)  49
2. 1980년대: 생명운동의 태동과 전개  50
3. 1990년대: 돋아나는 생명운동들  57
4. 2000년대: 만발하는 생명운동  61
5. 2010년대 이후: 사회와 함께 국민과 함께  70

2장. 한국 생명운동의 태동과 문명전환  77
1. 혼돈과 상실의 시대  77
2. 왜, 다시 「원주보고서」인가?  79
3. 생명운동: 이데올로기와 물신에 저항하기  81
4. 체제전환과 문명전환  85
5. 어떻게 우리 자신을 ‘전환적 사건’이 되게 할 것인가?  88

3장. 니클라스 루만으로 본 한국 생명운동  91
1. 생명운동은 어떻게 생명운동이 되었을까?  91
2. 루만의 사회학적 체계이론과 사회운동이론  95
3. 생명운동의 자기생산  106
4. 생명운동의 자기기술  112
5. 생명운동은 어떻게 ‘또 다른’ 생명운동이 될 수 있을까?  120

보론: 생! 명! 땅끝에 서서  125

II부 한국 생명사상·생명운동 다시쓰기  135

4장. ‘몸-생/명’과 생명사상 다시쓰기  137
1. ‘생/명’으로 ‘생명의 세계관’ 다시보기  137
2. ‘생’: 생명은 신체다  143
3. ‘명’: 생명은 신명이다  149
4. ‘/ ’: 생명은 ‘역설’이다  156
5. ‘감응’과 ‘우형’의 생명사상  164
5장. ‘몸-생/명’과 생명운동 다시쓰기  170
1. 왜 ‘생명’운동이었을까?  170
2. 생/명 살림의 사회적 형식들  178
3. 판/마당과 사건 만들기  186
4. 카오스 생명과 시/민 주체성  191
5. ‘꿈깨기’와 ‘꿈꾸기’의 생명운동  196

보론: 또 다른 생명사상·생명운동을 위한 인식론적 허들넘기  204

Ⅲ부 생명운동과 문명전환: 또 다른 세계의 태동  215

6장. 코로나19 시대의 생명운동  217
1. 더욱 나빠진 세계  217
2. 문제는 자본주의다  221
3. 예감과 가정법의 사회운동  225

7장. 영성적 돌파, 대전환 시대의 생명운동  230
1. 세상을 ‘전환’할 수 있을까?  230
2. 영성과 혁명  232
3. 다시 생명운동(1): 파상  236
4. 다시 생명운동(2): 태동  240
5. 어디서부터 ‘다시’ 시작할 것인가?  243

8장. 다시 생명, 또 다른 세계의 태동  245
1. 또 다른 생명운동들이 온다  245
2. 대전환의 사상들  250
3. ‘개/벽’, 허공의 돌파  256
4. 또 다른 역사의 시작  262
5. 살아있는 희망  266

보론: ‘또 다른’ 전북은 어떻게 태동하는가?  271

감사의 말씀  285
참고문헌  288

저자소개

주요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1983년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으나 시절을 좇아 학생운동에 전념했다. 1980년대 말 고향 정읍에 돌아와 지역공동체운동을 시작했다. 이후 정읍과 서울을 오가며 ‘지역’, ‘생명’, ‘전환’을 화두로 생명민회, 초록정치연대, 대화문화아카데미, 한살림전북생협, 모심과살림연구소, 한살림연수원 등에서 활동했다. 현재는 존경하고 친애하는 선생님들, 벗들과 함께 <(사)밝은마을_생명사상연구소>와 <지리산연찬>, <전북생명평화포럼> 등에서 활동하며 공부하고 있다. 『세계화는 지구환경을 어떻게 파괴하는가(역서)』, 『녹색대안을 찾아서(공저)』, 『전환이야기』,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하다(공저)』, 「신체는 어떻게 소통되는가?」 등의 책과 논문을 쓰고 펴냈다.
펼치기
주요섭의 다른 책 >
재단법인 숲과나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서출판 풀씨는 (재)숲과나눔의 출판사다. (재)숲과나눔은 2018년 7월, 가정과 일터, 지역사회가 ‘숲’처럼 안전하고 건강하며 지속가능한 곳이어야 한다는 사회의 여망을 모아 창립한 비영리재단이다. 사회의 급격한 변화 때마다 가장 먼저 위협받는 환경‧안전‧보건 분야를 보다 건실하게 키워나가기 위해 ‘나눔을 실천하는 인재 양성’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환경‧안전‧보건 분야의 미래 인재들이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사고와 공동체에 대한 사명감을 바탕으로 학업과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민들이 가진 작지만, 가능성 있는 아이디어의 실험을 돕고, 이를 사업화·정책화해 확산시킬 수 있는 사례로 키워나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난제의 대안 개발, 합리적 문제해결 방안의 논의와 확산을 위해 사회 여러 구성원과 대화를 통해 지혜를 나누며 실천해 나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회적 난제에 대한 시민 인식 증진을 통해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특강, 문화행사, 캠페인 등 시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문화·홍보 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숲과나눔은 ‘가장 공공성이 강한 과학자’와 동시에 ‘가장 과학성이 높은 사회 운동가’를 키워내어 이러한 인재들이 만드는 ‘인재숲’을 희망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왜 ‘한국’일까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애국이나 ‘국뽕’과는 인연이 없다. ‘미국의 생명운동’, ‘개신교의 생명운동’, ‘가톨릭의 생명운동’과 구별하기 위해서다. 생명운동은 40여 년 전 원주에서 시작된, 기존의 ‘반체제운동’과 구별되는 새로운 사회운동의 이름이었다. 그리고, 그 흐름은 <한살림> 등의 생명협동운동으로 자리를 잡고, 삼보일배와 생명평화 탁발순례, 오체투지 등으로 이어지는 생명평화운동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생명운동은 거의 낙태반대 생명운동이요, 자살방지 생명운동이다. 심지어는 동성애반대 생명운동이다.


한국 생명운동에서 ‘전환’은 무엇보다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이다. 계급과 민족과 인간의 지평을 넘어 ‘생명’의 지평을 바라본다. 전환은 ‘방향바꾸기(turn)’이기도 하고, ‘변형(transform)’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차원변화’이다.


생명은 움직인다. 감응(感應)한다. 감동(感動)하고 감상(感想)한다. 생명활동이란 무엇보다 응답능력16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응답능력은 보통 ‘책임’이라고 번역되는 영어 responsibility(response+ability)에서 온 말이다. 감응하는 힘, 때와 장소에 맞게 감동하고 감상하는 힘이 응답능력인 셈이다. 인간과 사회의 경우 아마도 ‘느끼어 생각함’의 능력이 중요할 것이다. 그렇다. 자문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생명운동은 응답하고 있는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