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91198480828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11-0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5
머리말 7
제1부. 생활세계의 전환과 커먼즈
1장 _ ‘전환 마을 은평’의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커머닝의 생태적 재구성 21
2장 _ 커먼즈의 눈으로 보는 한살림운동 52
3장 _ 페루 안데스 농민 공동체의 변화를 통해 본 공동체의 의미 91
제2부. 인간너머로의 전환과 커먼즈
4장 _ 수달과 함께 도시 커먼즈 만들기 117
5장 _ 인간 및 인간 너머 존재에 의한 생태 사회적 커먼즈의 형성 154
제3부. 에너지 전환과 커먼즈
6장 _ 커먼즈와 불로소득주의 사이에 서 있는 탄소중립·에너지전환 179
7장 _ 에너지전환과 에너지 커먼즈 215
제4부. 커먼즈와 개념의 전환
8장 _ 커먼즈(논의)는 현대사회에 얼마나 정합적인가? 253
9장 _ 사이 지대로서 커먼즈: 커먼즈의 시공간성과 비재현성 298
10장 _ 커먼즈 개념 논쟁과 커먼즈에 대한 관계론적 접근 324
부록
포럼 프로그램 374
저자 소개 381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환 마을 은평’의 사례를 통해 도시 텃밭에 참여한 공동체 여성들은 농사를 짓는 ‘행위성’을 통해 생태적 감수성과 자연물과의 접촉을 통한 생태적 가치관을 공유하였다...이런 생태적인 지향성을 가진 도시의 여성 공동체는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아직은 실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살림은 ‘우리’의 경계를 유지하면서 이를 넘어서는 커먼즈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며, 모든 생명이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운동을 하고 있다.
(그동안) 외부 사회와 끊임없이 교류하는 과정에서 내외부적 변화를 겪고 있는 페루 농민 공동체의 사례 분석을 통해 커먼즈론에서 논의하는 ‘(유동적) 우리’의 의미에 관해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