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7173950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1-06-01
책 소개
목차
Ⅰ. 현실과 사유
1. 사유와 방법
2. 현실과 이론
3. 경험과 이론
4. 미네르바의 부엉이와 철학
5. 화이부동和而不同
6. 둘이 아니지만 하나도 아니다
Ⅱ. 배움과 탐구
1. 산수몽山水蒙
2. 호기심3. 탈레스의 별과 하녀의 웅덩이
4. 완색이유득玩索而有得
5. 음성과 문자
6. 기억과 상상
7. 《정신현상학》 강의
8. 기술공학시대의 환경윤리
Ⅲ. 글쓰기와 인문학
1. 글쓰기에 대해
2. 글쓰기와 대면
3. 글쓰기와 도구
4. 글쓰기와 인문학
5. 글쓰기의 즐거움
6. 글은 쉽게 쓰는 것이 좋을까
7. 글의 효과
8. 예술 창작과 학문적 글쓰기
9. 나의 글에 대해
10. 쉬운 용어
11. 나의 번역의 역사
12. 번역과 번역청 설립
13. 쿤데라 무의미의 축제
Ⅳ. 철학과동서
1. 왜 신화가 문제인가
2. 철학과 현실의 패러독스
3. 철학과 문화적 전통의 차이
4. 철학적 사고
5. 통합적으로 철학하기
6. 선의지와 도움
7. 동서양에 대한 짧은 생각
8. 도올과 김상욱
9. 동아시아 사상
10. 선사와 철학자
11. 만법귀일萬法歸一 일귀하처一歸何處
12. 신들의 전쟁
13. 신학은 철학보다는 역사에 가깝다
14. 거짓말
15. 칸트와 헤겔의 자유의 정신
16. 여우가 꼬리에 물을 적시니
17. 지뢰복地雷復
Ⅴ. 고통, 폭력과 죽음
1. 고통에 대해
2. 폭력은 왜 일어날까요
3. 어떤 사람들은 왜 자발적으로 죽으려 하는가
4. 삶과 죽음의 길
Ⅵ. 분석과 비판
1. 평면과 깊이
2. 문제와 해결
3. 분석과 종합
4. 거짓 원인의 오류
5. 흑백논리
6. 나는 왜 무신론자인가
7. 운명Fortuna과 역량Virtus에 대해
8. 부유한 천민
9. 정신의 변형과 한국인
10. 우리는 왜 인정을 받으려고 하는가
11. 정치적 판단과 법적 판단12. 법적 판단과 우연성
13. 문제는 판단력이다
14. 분석과 비판
Ⅶ. 한국사회 탐구
1. 눈치와 철학
2. 눈치의 해석학
3. 개인이 설 땅이 있는가
4. 한국헤겔학회의 현황과 전망
5. 한국학자들의 이중성
6. 일본철학사전
7. 현실과 철학
8. 대통령의 악수와 소통
9. 한국 사회의 갈등과 《안티고네》
Ⅷ. 서평
1.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
2. 《현대인을 위한 철학사》
3. 《삶은 사랑이며 싸움이다》
4. 《3대 주석과 함께 읽는 논어 1, 2, 3》
5. 오구라 기조와 이덕일
6. 골드만L. Goldman, 《인문과학과 철학》 논평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공리공담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이 말은 앞에서 말한 기계를 만지듯 생각을 하라는 말과도 통한다. 하지만 앞의 말은 방법에 비중을 두었다고 한다면 장사꾼처럼 생각을 하라는 말은 목적과 결과를 염두에 둔 것이다. 이 말은 단순히 실용주의적인 결과만 의미한 것이 아니라 사유의 현실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중략)... 장사꾼들은 언제나 현실적으로 행동한다.
- <사유와 방법> 중에서
참다운 창조의 정신은 사자처럼 부정하고 비판하는 정신만으로는 안된다. 아이의 정신은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하는 것이다. 자기를 긍정하고 자기가 하는 일을 즐기는 것, 여기서 비로소 창조가 가능할 것이다. 한참을 가지고 놀다 보면 얻는 것이 있다는 ≪중용≫의 말이나 니체가 말하는 아이의 정신이나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나이를 먹어도 아이처럼 놀다 보면 늙는 것도 잊지 않을까? 신선놀음하다 보면 도끼자루 썩는 것도 모른다고 하지 않는가?
- <완색이유득玩索而有得> 중에서
한국인의 의식과 삶은 한 마디로 ‘저당잡힌 의식이고 삶’이다. 한국인은 과거에 저당잡혔고 미래에 저당잡혔다. 과거에 저당잡혔다는 것은 자기 의사와 상관없이 규정되는 혈연과 지연 그리고 학연으로 묶여 있다는 의미다. 한국인이 현재를 즐기지 못하고 미래에 저당잡혔다는 것은 성취해야 할 미래의 목표, 자식들 미래의 삶이 현재를 규정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인의 현실은 오로지 미래의 목적지를 위해 뚜벅뚜벅 걸어가는 낙타의 인종과도 같다.
- <정신의 변형과 한국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