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7322129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미래를 이끄는 가이드
불확실성이라는 괴물
⦁ 확실히 불확실한 세상
⦁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이유
⦁ 기업 생태계의 불확실성
⦁ 확실성에 끌리는 오류
⦁ 불확실성의 올바른 의미는?
⦁ 불확실성에 관한 오해
예측이라는 허상
⦁ 불확실성을 바라보는 4가지 유형
⦁ 예측은 항상 틀린다
⦁ 미래를 바라보는 시나리오 관점
미래를 바라보는 2가지 관점
⦁ 퓨처 포워드 vs 퓨처 백워드
⦁ 퓨처 포워드: 파스칼의 고민
⦁ 퓨처 백워드: 9.11 테러의 재구성
Phase 0 시나리오 플래닝 계획
⦁ 시나리오 플래닝의 7단계
⦁ 시나리오팀의 구성
⦁ 프로젝트 일정 수립
Phase 1 핵심이슈 선정
⦁ 핵심이슈란 무엇인가?
⦁ 핵심이슈의 예
⦁ 1) 인터뷰 질문서 작성
⦁ 2) 인터뷰 실시
⦁ 3) 핵심이슈와 틀 결정
⦁ 4) 최고의사결정자 보고와 승인
Phase 2 의사결정요소 도출
⦁ 의사결정요소란 무엇인가?
⦁ 의사결정요소 도출 사례
⦁ 1) 기초자료 조사
⦁ 2) 의사결정요소 도출과 확정
Phase 3 변화동인 규명
⦁ 변화동인이란 무엇인가?
⦁ 1) 변화동인 도출의 틀 결정
⦁ 2) 변화동인 탐색
⦁ 3) 심층조사와 극점 도출
Phase 4 시나리오 수립
⦁ 1) 변화동인 평가
⦁ 2) 핵심변화동인 추출
⦁ 3) 시나리오 수립
Phase 5 시나리오 라이팅
⦁ 왜 시나리오를 써야 하는가?
⦁ 1) 인과분석
⦁ 2) 시나리오 맵 작성
⦁ 3) 시나리오 형식 결정
⦁ 4) 시나리오 쓰기
Phase 6 대응전략 수립
⦁ 대응전략 수립의 방향
⦁ 1)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 2) 전략 대안 도출
⦁ 3) 적합도 평가
⦁ 4) 최적전략 대안 선택
Phase 7 모니터링
모니터링은 왜 해야 하나?
⦁ 1) 모니터링요소 선정
⦁ 2) 사인포스트 설정
⦁ 3) 임계치 설정
⦁ 4) 시나리오 현실성 평가
에필로그 열린 시각으로 행동하라
⦁ 시나리오 플래닝에 관한 오해들
⦁ 시나리오로 미래를 바라보라
부록 1 개인의 고민을 시나리오로 풀기
부록 2 ‘가정 뒤집기’로 시나리오 수립하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미래를 예측한다’는 말은 점을 치듯 어떤 일이 일어날 거라고 단정함을 의미한다. 물론 이런 단정적인 예언에 따라 무언가를 대비할 수 있지만, 그 대비는 언제나 불완전하다. 예측한다는 것은 마치 1만 가구가 모여 사는 어느 도시에서 A씨네 집에 화재가 발생할 테니 미리 대비하라는 말과 다를 바 없다. 나머지 9,999가구에는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는 형국과 같은 것이다. 그만큼 예측은 불완전하다. 반면 ‘미래를 대비하라’는 말은 1만 가구 중 어느 집을 ‘찍는 일’은 포함하지 않는다. 대비하라는 말은 마치 그 도시에 화재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니 발생하지 않도록 누구나 사전에 조치하고, 만일 사고가 일어나면 어떻게 대처할지 포괄적으로 논의하라는 말과 같다. 이것이 미래를 대비하라는 명령문의 진정한 의미다. 그리고 시나리오가 이 모두를 가능하게 한다.
연말마다 CEO의 신년 경영방침이 발표되면 경영기획 부서는 내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느라 매우 분주하게 돌아간다. 이때 그들은 ‘작년까지 이렇게 되어왔으니 앞으로도 이럴 것이다’라는 회귀분석적 사고와 ‘반드시 이 목표를 무슨 일이 있어도 달성해야 한다’는 행정편의적 사고를 가동시킨다. 미래 계획이 예측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수학 모델로 나온 예측 결과에 누가 감히 이의를 제기할 수 있겠는가? 여기에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미래의 모습을 다각도로 그려보고 대책을 강구하는 전략적 사고는 전혀 끼어들 틈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