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733805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11-02
목차
헌사 --------------------------------------------------- 3
일러두기 ----------------------------------------------- 4
머리말 ------------------------------------------------- 5
역자의 말 ---------------------------------------------- 7
차례 --------------------------------------------------- 9
제1부 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 ------------------------------ 15
1. 지금 왜 「즐거운 수업」인가? – 창간사 ------------------- 16
● 즐거운 것을 더욱 즐겁게! ● 교육을 근본적으로 재검토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수업서를!
2. 「즐거운 수업」 사상 – 「이해하는 수업」과 「즐거운 수업」 --- 22
● 교육은 으레 좋은 것인가? ● 과거, 엘리트를 위한 공부는 확실히 도움이 되었다 ● 교육이 보급되면 될수록 학습의욕은 떨어진다 ● 모방의 시대는 지났다 ● 즐겁게 배운 지식이야말로 몸에 밴다 ● 신선미 없는 교육내용에 대한 반감 ● 책이 전제적인 모습을 발휘할 때 ● 재미없는 수업일수록 우등생이 탄생된다
3. 교육학을 「근대과학」으로 처음 확립한 사상과 방법 ------- 46
● 가설실험수업과 즐거운 수업의 관계 ● 수업이 즐겁지 않은 가장 큰 원인은 「강요」에 있다 ● 근대과학으로서 교육학을 확립하기 위한 과제 ● 가설실험수업의 역할 ● 가설실험수업의 해결 방법 ● 과학은 모든 것을 한꺼번에 해결하지 않는다 ● 즐거운 수업은 서서히
4. 「자신의 훌륭함」을 발견하는 수업 ----------------------- 61
● 본격적인 문화에 대한 신뢰 ● 교육계에 부족한 모방의 전통 ● 과학은 어디가 훌륭한가? ● 모든 사람이 알 수 없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 수업을 바꾸는 길은 과학의 관점을 바꾸는 일 ● 교사의 일 ● 나의 훌륭함의 사회성 ● 입학과 졸업
5. 어른들이 즐겁게 배우는 시대 -------------------------- 76
● 즐거운 수업은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히 ● 점점 어두워지는 교육계의 화제, 그것은 왜? ● 옛날에는 밝았던 교육의 화제 ● 망가진 것은 문화인·지식인들이지 아이들이 아니다 ● 착실한 모방 위에서 창조성을 ● 학문ㆍ예술ㆍ문화 그 자체의 되묻기로 시작할 것 ● 멋진 아이들의 모습이 보이는 즐거운 수업 ● 정치나 제도의 개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오늘날의 교육 문제 ●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수업계획의 개발을
제2부 수업서란 무엇인가? --------------------------------- 87
1. 수업서란 무엇인가? ----------------------------------- 88
● 수업서와 수업의 법칙성 추구 ● 수업 법칙의 연구와 수업서의 보급 ● 교육방법 및 교육내용의 구체화 ● 어린이의 자유로운 생각을 연장하는 속박 ● 모두의 공유 재산(수업서)을 만든다 ● 수업서의 구상과 연구 운동
2. 보이지 않는 기체를 잡자 ------------------------------ 104
● 드라이아이스란?(문제와 실험) ● 드라이아이스 이야기
3. 정치ㆍ교육사상과 과학교육(상)(永田英治와 공동 집필) ----- 122
● [문제1] 근대적인 학교제도의 성립 ● [문제2] 어떤 교육내용을 중시했는가? ● [문제3, 4] 문부성의 방침 전환(학제서문과 교육에 관한 포고문)
4. 정치ㆍ교육사상과 과학교육(하)(永田英治와 공동 집필) ----- 137
● [문제5] 문부성의 방침 전환과 과학교육의 변화 ● [문제6] 소학교 이과교육 시기 ● [문제7] 소학교 저학년 이과교육의 시작 ● [문제8] 패전을 전후한 이과교육의 인식 변화 ● [문제9] 일본에서 이과교육 기초가 마련된 시기
5. 수업서 읽는 법 --------------------------------------- 153
● 수업서는 누가 읽는가? ● 실물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다 ● 힌트 읽는 법 ● 용어의 정의나 원리ㆍ법칙의 설명문 취급법
● 「읽기자료」 읽는 법ㆍ사용법
6. 「문제를 만들어라」라는 [문제]를 잊지 않도록 ------------- 161
● 새삼스럽게 다시 제안한다 ● 「정말 알겠다」는 어떤 의미인가?
7. 교과서란 무엇인가 ------------------------------------ 164
● 교사와 학생의 교육활동을 상호 속박하는 책 ● 「권위」로서의 교과서 ● 학생용 교과서 사용금지 시대의 과학교육 ● 수업서 개발과 획일적인 교과과정 ● 교과서적인 책이란 무엇인가? ● 책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것 ● 절실한 내용은 수업서 없이도 배운다
제3부 즐거운 수업의 전개 --------------------------------- 183
1. 교육에서 「예상」의 의미 ------------------------------- 184
● 예상대로 들어맞을 때의 기쁨과 마음의 평안 ● 교육 속에서 예상의 축적 ●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서 예상 ● 예상을 세우며 읽는다 ● 야생종과 재배종 씨앗의 발아가 주는 교훈 ● 예상할 수 없는 사회에서 교육 다양성의 중요성 ● 민들레 발아 실험(스즈키 타카시)
2. 담담한 수업을 재검토한다 ----------------------------- 199
● 아이의 활동이 눈에 보이는 수업만이 좋은 수업인가? ● 아이의 기분을 알기란 어렵다 ● 감동의 연속만으로는 녹초가 되고 만다 ● 토론이 거의 없는 고교에서 가설실험수업 ● 담담한 수업을 위한 조건
3. 숙달과 이해에 대해서 --------------------------------- 207
● 몰라도 「할 수 있다」라는 것 ● 미래에 맡길 꿈과 이해 중시의 전통 ● 간단하게 바뀌는 진심론과 명분론 ● 숙달과 이해의 모순론 ● 스스로 훈련을 시킬 정도의 흥미와 결단
4. 즐거운 수업과 반복 연습(드릴)의 구조 ------------------- 218
● 두 종류의 재미있는 수업 ● 마음에 여유를 가져오는 즐거운 수업 ● 또 하나의 즐거운 수업 ● 외우는 것의 즐거움 ● 드릴이 없는 테스트라니 ● 감동하기 위해서도 드릴 ● 테스트 없는 드릴이란? ● 즐거움을 기준으로 한다 ● 기본적인 것은 학교에서 ● 즐거운 공부의 길을 찾다 ● 즐거움을 추구하면 드릴에 해당한다 ● 경쟁 구조-과도한 경쟁과 적절한 경쟁 ● 당근과 채찍의 상호 전환
5. 학력 보장과 즐거운 수업 ------------------------------ 241
● 학력 보장이라는 말 ● 즐거운 수업이라는 말 ● 기초 학력이란 무엇인가? ● 인간은 왜 공부하는가? ● 사회가 요구하는 학력 ● 자신감과 의욕을 강하게 하려면 ● 반정볼-신 발견 신 실험 코너 ●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시각과 사고방식이 필요 ● 새로운 자연의 시각과 사고방식 ● 수준을 높이면 즐거워지는 공부 ● 고대 그리스 문화와 일반 서민 ● 역사에 대한 시각과 사고방식을 창조하는 일
제4부 교재에 관한 생각 ----------------------------------- 265 1. 「신종합독본」 작성 운동의 제창 ------------------------- 266
● 「상식」은 어디서 가르칠 것인가? ●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지식
2. 좋은 교재는 학년을 불문한다 -------------------------- 279
3. 「읽기 교육」의 복권을 --------------------------------- 282
● 책의 보급과 교육의 시작 ● 「독서백편 의자현」의 교육적 의의 ● 독창성에 대한 고집보다 충실하게 읽는 것의 중요성 ● 가설실험수업과 읽기 수업
4. 문장 쓰는 법ㆍ쓰게 하는 법 --------------------------- 293
● 나 자신의 체험으로부터 ● 누구를 위해 글을 쓸 것인가? ● 읽어 줄 사람을 찾아주는 일 ● 글 머리 쓰기 연구 ● 생각하면서 쓰는 즐거움 ● 문장의 부분과 전체 ● 수업 감상문이 글쓰기 교육의 출발점? ● 모순된 표현에서 볼 수 있는 문장이 숨결 ● 논리적인 문장을 쓰기 위해서 ● 접속사 사용법
5. 실험으로 확인하는 산수ㆍ수학 수업 --------------------- 308
● 나와 수학교육 ● 즐거운 수업과 산수ㆍ수학교육 ● 수학적 감각을 몸에 익히는 교육 ● 실험으로 확인하는 산수ㆍ수학교육을 ● 실험하는 수학교육 연구의 지침
6. 암기수업을 재검토한다 ------------------------------- 319
● 암기수업의 거부감과 즐거움 ● 초등학교 시간표에 짜여 있던 암기 시간 ● 교육학의 가르침과 개인적 체험 ● 암기를 싫어했던 나의 체험 ● 기술에서 기본 연습의 의미 ● 암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7. 놀이와 수업 ----------------------------------------- 331
● 놀이와 수업은 대립하는 것인가? ● 자유와 속박의 차이로 구별할 수 없다 ● 아이들은 교육의 주인공으로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 ● 사회의 요구는 변한다 ● 즐거움의 다양성을 찾는다 ● 선택된 놀이로서 과학ㆍ예술
8. 기술과 사회-만들기 수업의 즐거움과 난점 --------------- 341
● 수제(手製) 존중 사상을 배제하다 ● 공부보다 노동이 즐거운 이유는 왜일까? ● 어떤 것을 만들면 좋을까? - 즐거움이 기본 ● 만들기 수업의 난점 - 이치에 깊이 들어가지 마라! ● 사회과 역사교육의 기초로서 「만들기 수업」의 문제점
9. 만들기 수업의 사고방식 ------------------------------- 350
● 가설실험수업과 만들기 수업 ● 달고나 만들기 수업의 경우 ● 농작물 재배 수업의 즐거움도 잊지 말고 ● 과학의 지속 관찰과 즐거운 작물 재배 수업의 차이 ● 만들기 수업의 교재 선택 기준 ● 기술ㆍ기능이 특별히 필요없는 만들기 수업 ● 모든 사람이 창의적인 활동을 기대하는 시대 ● 모든 아이가 다 할 수 있을 때까지 가르치는 것의 중요성 ● 혼자 궁리하기보다는 따라 하면서 확실하게 잘 할 수 있도록 ● 만들기 수업의 한계
10. 견학론 --------------------------------------------- 366
● 어떤 곳을 견학하면 좋을까? ● 누구와 함께 보는 것이 즐거울까? ● 수족관 견학기 ● 과수 시험장 견학기 ● 디즈니랜드에서 배울 점 ● 지금 당장 쓸 수 있게 ● 과학박물관 견학 안내서(아라이 키미타케)
「즐거운 수업 사상」을 읽고 (편지 후기) ------------------ 383
● 즐거움만으로 좋다 ●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문제로서 즐거운 수업 ● 교육의 상식 되묻기 ● 과학적 연구와 민주주의와의 결합
◆ 이타쿠라 키요노부의 집필 논문 일람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