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

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

이타쿠라 키요노부 (지은이), 오세현 (옮긴이)
지호락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8,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733805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11-02

목차

헌사 --------------------------------------------------- 3
일러두기 ----------------------------------------------- 4
머리말 ------------------------------------------------- 5
역자의 말 ---------------------------------------------- 7
차례 --------------------------------------------------- 9

제1부 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 ------------------------------ 15
1. 지금 왜 「즐거운 수업」인가? – 창간사 ------------------- 16
● 즐거운 것을 더욱 즐겁게! ● 교육을 근본적으로 재검토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수업서를!

2. 「즐거운 수업」 사상 – 「이해하는 수업」과 「즐거운 수업」 --- 22
● 교육은 으레 좋은 것인가? ● 과거, 엘리트를 위한 공부는 확실히 도움이 되었다 ● 교육이 보급되면 될수록 학습의욕은 떨어진다 ● 모방의 시대는 지났다 ● 즐겁게 배운 지식이야말로 몸에 밴다 ● 신선미 없는 교육내용에 대한 반감 ● 책이 전제적인 모습을 발휘할 때 ● 재미없는 수업일수록 우등생이 탄생된다

3. 교육학을 「근대과학」으로 처음 확립한 사상과 방법 ------- 46
● 가설실험수업과 즐거운 수업의 관계 ● 수업이 즐겁지 않은 가장 큰 원인은 「강요」에 있다 ● 근대과학으로서 교육학을 확립하기 위한 과제 ● 가설실험수업의 역할 ● 가설실험수업의 해결 방법 ● 과학은 모든 것을 한꺼번에 해결하지 않는다 ● 즐거운 수업은 서서히

4. 「자신의 훌륭함」을 발견하는 수업 ----------------------- 61
● 본격적인 문화에 대한 신뢰 ● 교육계에 부족한 모방의 전통 ● 과학은 어디가 훌륭한가? ● 모든 사람이 알 수 없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 수업을 바꾸는 길은 과학의 관점을 바꾸는 일 ● 교사의 일 ● 나의 훌륭함의 사회성 ● 입학과 졸업
5. 어른들이 즐겁게 배우는 시대 -------------------------- 76
● 즐거운 수업은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히 ● 점점 어두워지는 교육계의 화제, 그것은 왜? ● 옛날에는 밝았던 교육의 화제 ● 망가진 것은 문화인·지식인들이지 아이들이 아니다 ● 착실한 모방 위에서 창조성을 ● 학문ㆍ예술ㆍ문화 그 자체의 되묻기로 시작할 것 ● 멋진 아이들의 모습이 보이는 즐거운 수업 ● 정치나 제도의 개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오늘날의 교육 문제 ●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수업계획의 개발을

제2부 수업서란 무엇인가? --------------------------------- 87
1. 수업서란 무엇인가? ----------------------------------- 88
● 수업서와 수업의 법칙성 추구 ● 수업 법칙의 연구와 수업서의 보급 ● 교육방법 및 교육내용의 구체화 ● 어린이의 자유로운 생각을 연장하는 속박 ● 모두의 공유 재산(수업서)을 만든다 ● 수업서의 구상과 연구 운동

2. 보이지 않는 기체를 잡자 ------------------------------ 104
● 드라이아이스란?(문제와 실험) ● 드라이아이스 이야기

3. 정치ㆍ교육사상과 과학교육(상)(永田英治와 공동 집필) ----- 122
● [문제1] 근대적인 학교제도의 성립 ● [문제2] 어떤 교육내용을 중시했는가? ● [문제3, 4] 문부성의 방침 전환(학제서문과 교육에 관한 포고문)

4. 정치ㆍ교육사상과 과학교육(하)(永田英治와 공동 집필) ----- 137
● [문제5] 문부성의 방침 전환과 과학교육의 변화 ● [문제6] 소학교 이과교육 시기 ● [문제7] 소학교 저학년 이과교육의 시작 ● [문제8] 패전을 전후한 이과교육의 인식 변화 ● [문제9] 일본에서 이과교육 기초가 마련된 시기

5. 수업서 읽는 법 --------------------------------------- 153
● 수업서는 누가 읽는가? ● 실물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다 ● 힌트 읽는 법 ● 용어의 정의나 원리ㆍ법칙의 설명문 취급법 
● 「읽기자료」 읽는 법ㆍ사용법

6. 「문제를 만들어라」라는 [문제]를 잊지 않도록 ------------- 161
● 새삼스럽게 다시 제안한다 ● 「정말 알겠다」는 어떤 의미인가?

7. 교과서란 무엇인가 ------------------------------------ 164
● 교사와 학생의 교육활동을 상호 속박하는 책 ● 「권위」로서의 교과서 ● 학생용 교과서 사용금지 시대의 과학교육 ● 수업서 개발과 획일적인 교과과정 ● 교과서적인 책이란 무엇인가? ● 책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것 ● 절실한 내용은 수업서 없이도 배운다

제3부 즐거운 수업의 전개 --------------------------------- 183
1. 교육에서 「예상」의 의미 ------------------------------- 184
● 예상대로 들어맞을 때의 기쁨과 마음의 평안 ● 교육 속에서 예상의 축적 ●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서 예상 ● 예상을 세우며 읽는다 ● 야생종과 재배종 씨앗의 발아가 주는 교훈 ● 예상할 수 없는 사회에서 교육 다양성의 중요성 ● 민들레 발아 실험(스즈키 타카시)

2. 담담한 수업을 재검토한다 ----------------------------- 199
● 아이의 활동이 눈에 보이는 수업만이 좋은 수업인가? ● 아이의 기분을 알기란 어렵다 ● 감동의 연속만으로는 녹초가 되고 만다 ● 토론이 거의 없는 고교에서 가설실험수업 ● 담담한 수업을 위한 조건

3. 숙달과 이해에 대해서 --------------------------------- 207
● 몰라도 「할 수 있다」라는 것 ● 미래에 맡길 꿈과 이해 중시의 전통 ● 간단하게 바뀌는 진심론과 명분론 ● 숙달과 이해의 모순론 ● 스스로 훈련을 시킬 정도의 흥미와 결단

4. 즐거운 수업과 반복 연습(드릴)의 구조 ------------------- 218
● 두 종류의 재미있는 수업 ● 마음에 여유를 가져오는 즐거운 수업 ● 또 하나의 즐거운 수업 ● 외우는 것의 즐거움 ● 드릴이 없는 테스트라니 ● 감동하기 위해서도 드릴 ● 테스트 없는 드릴이란? ● 즐거움을 기준으로 한다 ● 기본적인 것은 학교에서 ● 즐거운 공부의 길을 찾다 ● 즐거움을 추구하면 드릴에 해당한다 ● 경쟁 구조-과도한 경쟁과 적절한 경쟁 ● 당근과 채찍의 상호 전환

5. 학력 보장과 즐거운 수업 ------------------------------ 241
● 학력 보장이라는 말 ● 즐거운 수업이라는 말 ● 기초 학력이란 무엇인가? ● 인간은 왜 공부하는가? ● 사회가 요구하는 학력 ● 자신감과 의욕을 강하게 하려면 ● 반정볼-신 발견 신 실험 코너 ●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시각과 사고방식이 필요 ● 새로운 자연의 시각과 사고방식 ● 수준을 높이면 즐거워지는 공부 ● 고대 그리스 문화와 일반 서민 ● 역사에 대한 시각과 사고방식을 창조하는 일

제4부 교재에 관한 생각 ----------------------------------- 265 1. 「신종합독본」 작성 운동의 제창 ------------------------- 266
● 「상식」은 어디서 가르칠 것인가? ●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지식

2. 좋은 교재는 학년을 불문한다 -------------------------- 279

3. 「읽기 교육」의 복권을 --------------------------------- 282
● 책의 보급과 교육의 시작 ● 「독서백편 의자현」의 교육적 의의 ● 독창성에 대한 고집보다 충실하게 읽는 것의 중요성 ● 가설실험수업과 읽기 수업

4. 문장 쓰는 법ㆍ쓰게 하는 법 --------------------------- 293
● 나 자신의 체험으로부터 ● 누구를 위해 글을 쓸 것인가? ● 읽어 줄 사람을 찾아주는 일 ● 글 머리 쓰기 연구 ● 생각하면서 쓰는 즐거움 ● 문장의 부분과 전체 ● 수업 감상문이 글쓰기 교육의 출발점? ● 모순된 표현에서 볼 수 있는 문장이 숨결 ● 논리적인 문장을 쓰기 위해서 ● 접속사 사용법

5. 실험으로 확인하는 산수ㆍ수학 수업 --------------------- 308
● 나와 수학교육 ● 즐거운 수업과 산수ㆍ수학교육 ● 수학적 감각을 몸에 익히는 교육 ● 실험으로 확인하는 산수ㆍ수학교육을 ● 실험하는 수학교육 연구의 지침

6. 암기수업을 재검토한다 ------------------------------- 319
● 암기수업의 거부감과 즐거움 ● 초등학교 시간표에 짜여 있던 암기 시간 ● 교육학의 가르침과 개인적 체험 ● 암기를 싫어했던 나의 체험 ● 기술에서 기본 연습의 의미 ● 암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7. 놀이와 수업 ----------------------------------------- 331
● 놀이와 수업은 대립하는 것인가? ● 자유와 속박의 차이로 구별할 수 없다 ● 아이들은 교육의 주인공으로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 ● 사회의 요구는 변한다 ● 즐거움의 다양성을 찾는다 ● 선택된 놀이로서 과학ㆍ예술

8. 기술과 사회-만들기 수업의 즐거움과 난점 --------------- 341
● 수제(手製) 존중 사상을 배제하다 ● 공부보다 노동이 즐거운 이유는 왜일까? ● 어떤 것을 만들면 좋을까? - 즐거움이 기본 ● 만들기 수업의 난점 - 이치에 깊이 들어가지 마라! ● 사회과 역사교육의 기초로서 「만들기 수업」의 문제점

9. 만들기 수업의 사고방식 ------------------------------- 350
● 가설실험수업과 만들기 수업 ● 달고나 만들기 수업의 경우 ● 농작물 재배 수업의 즐거움도 잊지 말고 ● 과학의 지속 관찰과 즐거운 작물 재배 수업의 차이 ● 만들기 수업의 교재 선택 기준 ● 기술ㆍ기능이 특별히 필요없는 만들기 수업 ● 모든 사람이 창의적인 활동을 기대하는 시대 ● 모든 아이가 다 할 수 있을 때까지 가르치는 것의 중요성 ● 혼자 궁리하기보다는 따라 하면서 확실하게 잘 할 수 있도록 ● 만들기 수업의 한계

10. 견학론 --------------------------------------------- 366
● 어떤 곳을 견학하면 좋을까? ● 누구와 함께 보는 것이 즐거울까? ● 수족관 견학기 ● 과수 시험장 견학기 ● 디즈니랜드에서 배울 점 ● 지금 당장 쓸 수 있게 ● 과학박물관 견학 안내서(아라이 키미타케)

「즐거운 수업 사상」을 읽고 (편지 후기) ------------------ 383
● 즐거움만으로 좋다 ●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문제로서 즐거운 수업 ● 교육의 상식 되묻기 ● 과학적 연구와 민주주의와의 결합

◆ 이타쿠라 키요노부의 집필 논문 일람 ------------------ 393

저자소개

이타쿠라 키요노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0년 도쿄 시타마치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교양학부를 졸업하고, 물리학사 연구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국립교육연구소 명예 연구원이며, 이타쿠라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 개개인의 예상과 가설로 문제를 던지고 실험을 하여 결론을 도출해내는 ‘가설실험수업’을 제창해 과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가설실험수업 실천 활동의 하나로 월간지 《즐거운 수업》을 창간하기도 했다. 《지구는 정말 둥글까?》 《과학과 방법》 《생활 속 발명 이야기》 《역사적 견해와 생각》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오세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지리산 빨치산에 쫓겨 피란 중에 하동군 청암면 평촌리에서 태어나 묵계리 청학동에서 자람 하동고·경상대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졸업 일본 동북대(東北大)대학원 박사과정 수료(교육학박사) 일본 니이가타(新潟) 한국교육원장 경남과학고 학교장으로 정년퇴임 번역서 『물리발상법』, 『즐거운 수업 사상』 등 5권 현재 묵계 청학동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묵계동천과 학로계』 집필 중 번역 감수 : 니이가타시에서 한국어 통역 안내사 등으로 활동 중인 야기모토 케이코(柳本 圭子)·히라먀마 미카(平山美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