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747540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07-01
책 소개
목차
1 프롤로그
건축과 자존감
2 자존감을 잃은 지방 건축
지방 건축이라 불리는 것
메가트렌드와 지방
건축에서의 지방성과 자존감
지방 건축의 발버둥
건축가들의 자존감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3 절반으로 채운 온전함
20세기의 꿈: 내 집 마련
자투리땅과 틈새 찾기
작지만 큰집: 월내 반쪽집
반쪽집 그 이후: 창고의 탄생
진숙이네: 절반으로 온전함을 채우다.
4 오래된 시간에서 되찾은 자존감
부산의 구조: 산복도로
역사, 풍토와 대화하다: 초량
이슬 씨의 도시민박, 모닝듀
오래된 골목길, 비꼴로 (Vicolo)
유로폼 노출콘크리트: 저비용 공법
비꼴로가 만들어낸 작은 변화의 물결
5 함께 살아감의 가치
아파트 불장과 다세대주택
건축가VS업자
각자의 꿈을 실현하는 다세대주택
모여가:여덟 가구 30명이 모여서 집을 짓다.
새로운 도시 주거의 대안으로
6 다르게 보는 순간의 희열
도심의 새로운 땅: 옥상
옥상라움
옥상의 변신과 활용
7 에필로그
자존감을 찾아가는 건축
저자소개
책속에서
건축을 통해서 만들어진 자존감은 선한 영향력으로 사회관계 망에 전이되고, 우리의 삶은 풍요로워진다. (새로운 도시 주거의 대안으로)
자존감을 찾아가는 건축을 시작하면, 도시는 그 지역만이 갖고 있는 기후, 햇빛, 바다, 지형과 함께 만들어 낼 수 있는 건축을 위한 최고의 캔버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건축 작업은 건축물의 색상, 재료, 형태로 실현되면서 도시에 새로운 감흥과 어메니티를 선물한다. (자존감을 찾아가는 건축)
우리 사회에서 집의 의미는 매우 크기 때문에,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집뿐만 아니라 집을 짓는 과정에서 얻는 가치를 통해서 자존감이 올라갈 수가 있다. 그렇게 자존감을 고려한 건축을 경험하고, 이용하면서, 평소 결핍으로 억압된 것들이 서서히 풍요로움으로 변하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 (자존감을 찾아가는 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