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91197506901
· 쪽수 : 210쪽
· 출판일 : 2021-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머리말
제1부 유아세례의 기초
제1장 동일하신 한 분 하나님과 성경의 통일성
유아세례 반대자 | 몇 가지 문제점 | 동일하신 한 분 하나님 | 성경의 통일성
제2장 삼위 하나님의 사역과 유아세례
삼위 하나님의 구원 사역 | 성부 하나님의 선택과 유아 |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과 유아 |
성령 하나님의 적용(효력 있는 부르심)과 유아
제2부 구약성경과 유아세례
제3장 할례와 유아세례
할례와 세례: 적대 관계 & 그림자(Shadow)와 실체(Reality) | 언약의 표 | 혈통적 & 오직 은혜 | 할례와 유아세례
제4장 출애굽 교리문답과 유아세례
출애굽: 옛 언약 시대의 가장 큰 사건이자 거푸집(Mold) | 자녀 교육: 묻고 답하라! | 손의 표적 | 두 눈 사이에 붙어 있는 말씀 | 유아세례와 교리문답 교육 | 길갈 교리문답: 새 유월절, 새 출애굽
제5장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언약의 자녀
시내산 언약과 모압 언약 | 여호와 앞에 서 있는 언약의 자녀 | 예배와 성경 봉독 앞에 서 있는 언약의 자녀
제3부 예수님과 유아세례
제6장 예수님께서 받으신 할례와 유아세례
할례를 받으신 예수님 | 율법의 요구에 순종하신 예수님
제7장 언약의 자녀로 자라신 예수님과 유아세례
누가복음과 “인자”이신 예수님 | 새 아담이자 하나님의 아들로서 순종하시는 예수님 | 언약의 자녀로 성장하신 예수님 | 새 아담이자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을 따르는 언약의 자녀
제8장 유아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과 유아세례
어린 아기를 예수님께 데려온 부모 | 제자들의 꾸짖음과 예수님의 노하심 | 언약 백성의 특권과 의무: 하나님께 나아가 복을 받음 | 언약 백성의 특권과 의무: 예수 그리스도께 나아와 복을 받음 | 유아세례, 그리고 언약 백성의 특권과 의무
제4부 사도들과 유아세례
제9장 예수님께서 제정하신 세례와 오순절의 세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정하신 세례 | 오순절 성령 강림과 세례
제10장 고넬료와 루디아의 가정에 시행한 세례
고넬료의 집에서 시행한 세례 | 루디아의 가정에 시행한 세례
제11장 빌립보와 고린도에서의 세례
빌립보 간수의 가정에 시행한 세례 | 사탄의 집 바로 곁에서 건설되는 주님의 교회 | 고린도에서 시행한 세례
제12장 짝 믿는 가정과 유아세례
고린도교회 안의 짝 믿는 가정의 자녀 | 갓난아기 시절의 디모데
제5부 한 세례 안에서 건설되는 새 가족
제13장 새 가족
언약과 선택 | 언약 백성이 출생하는 세 가지 통로 | 혈통을 초월한 새 가족
제14장 한 세례
두 종류의 세례인가?: 물세례와 성령세례 | 두 종류의 세례인가?: 유아세례와 성인세례 | 세례들(?) & 씻는 규례 | 용어에서 오는 오해 | 합법적인 세례의 세 요소
성구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경은 유아들을 언약 공동체(교회)의 일원으로 보며, 그들 역시 언약의 표와 인(印)을 가져야 한다고 일관성 있게 계시합니다. 성경이 유아들을 삼위 하나님의 구원 사역의 대상으로 말씀한다면, 누가 무슨 권세로 이 아이들을 세례의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겠습니까?
성부의 선택과 성자의 구속뿐 아니라 성령 하나님의 효력 있는 부르심 역시 값없이 주시는 은혜의 사역입니다. 만일 성부께서 선택하시고 성자께서 구속하시는 대상에 해당하는 유아들에게 성령 하나님의 효력 있는 부르심이 미칠 수 없다고 주장하는 이가 있다면, 그는 사실상 은혜 교리를 부인하고 있는 셈입니다.
언약의 자녀에게 세례를 베푸는 것으로 육신의 부모와 영적인 부모(직분자와 수찬회원)의 책임을 다했다고 착각하면 안 됩니다. 유아세례는 이후 교리문답 교육을 거쳐 (성찬에 참여하는) 공적 신앙고백(입교)으로 나아갑니다. 이를 통해 우리의 자녀들은 유월절 어린양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을 배웁니다. 그들은 옛 출애굽을 넘어 새 출애굽을 배웁니다. 광야생활을 지나 길갈의 열두 돌을 세우고, 이 복음으로 세상을 정복하는 전사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