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91197617096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11-24
책 소개
목차
PROLOGUE 아이가 ‘감정’을 느낄 때 어른은 ‘문제’를 기억한다
Part I
감정의 풍경
아이는 어떻게 느낄까?
사랑 • 죄책감과 책임감 • 소속감과 우정 • 자부심 • 정의감과 공평함 • 지루함 • 존재감 • 배신감, 불신과 명예 • 혐오감과 역겨움 • 압박감과 해방감 • 슬픔 • 부끄러움, 창피함과 수치감 • 무력감 • 화, 분노, 거부감 • 불평과 미움 • 공황과 절망감 • 놀라움, 감탄과 경악 • 관심과 호기심 • 열광과 열정 • 그리움 • 기쁨과 행복 • 공감과 예민함 • 외로움 • 피로감 • 시기와 질투심 • 공허감 •
자기 효능감 • 상실감 • 불안과 두려움 • 보호와 안전감 • 염려와 신뢰감 • 무감정 • 안정감 •
정체성 • 자존감
Part II
아이의 감정과 마주하기
뇌과학이 보는 감정 | 느낌은 감정이란 이름으로 뇌에 기록된다
공부와 감정 | ‘쓸모 있다’는 감정은 학습을 촉진한다
감각의 대면 | ‘관계의 경험’이 아이의 희로애락을 결정한다
보는 것과 보여주는 것, 눈빛과 대면하기 • 목소리, 소리와 대면하기 • 잡기와 붙잡히기, 이해와 대면하기 • 밀기와 당김, 압력과 대면하기 • 기댐, 의지와 대면하기
감정의 가면 | 아이가 ‘감정을 속일 때’ 일어나는 일들
감정의 내면화 | 아이가 ‘감정에 갇힐 때’ 일어나는 일들
어른의 감정 | 아이의 감정으로부터 부모가 배워야 할 것들
부록1
감정을 잘 다루는 아이로 키우는 5가지 원칙
부록2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대할 때 생각해야 할 5가지 원칙
리뷰
책속에서
어린아이의 이타적인 사랑은 무조건적이며, 자기 포기에 가깝게 보이기도 합니다. (적어도 처음에는) 깊은 신뢰에 빠지고, 눈이 먼 것처럼 보입니다. 근본적으로 아이는 사랑하는 사람과 자신을 동일시하고, 처지를 바꿔 생각하고, 이해하고, 인정하고, 용서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실수할 확률이 다소 높기는 하지만) 아이는 사랑하는 사람의 기대를 감지할 능력이 있고, 또 사랑하는 사람의 기대를 충족시킬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_사랑
아이의 소속감에는 분명한 특징이 있습니다. 소속감은 구체적인 감정인 경우가 드물다는 것입니다. 대개는 편안하고 행복하게 느껴지는 그런 느낌입니다. 하지만 소속감은 위협받거나 사라지려 할 때 그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쫓겨나거나 버려지거나 혹은 배신을 당할 때, 계속 무시당하거나 노력이나 수고에 대한 응답이 없을 때, 소속감은 깨지거나 사라집니다. 또 아이가 또래 집단 내 다른 사람과 다를 때, 더 똑똑하거나 어쩌면 재능이 뛰어날 때, 예민하거나 느리거나 다른 사람보다 쉽게 흥분할 때도 소속감이 위협받습니다. _소속감
지루함이라는 말속에는 다른 복잡한 감정들이 숨겨져 있을 수 있습니다. 지루함은 때로 구체적이고, 파악 가능한 감정이며, 종종 이해와 다른 관심 사이에서 다른 것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는 감정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지루함을 기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분은 감정보다 불분명하고, 파악하기 어렵고, 더 폭넓게 작용합니다. _지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