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맞얽힘

맞얽힘

(맞선 둘은 하나다)

이철 (지은이)
움직이는책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원 -10% 0원
1,050원
17,850원 >
18,900원 -10% 0원
0원
1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맞얽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맞얽힘 (맞선 둘은 하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7632716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1-11-09

책 소개

우리가 그동안 알고 있던 동양 고전에 대한 해석과는 다르다. 동양 고전에 대한 새롭고 탁월한 해석을 통해 인류의 미래를 밝힐 통찰과 지혜를 제시한다.

목차

서론 | 맞얽힘, 새로운 세계관의 출현 ……………………………·· 13

1장 | 노자, 맞얽힘 법칙을 말하다 ………………………………… 35
1. 노자 사상의 뿌리는 주역이다 37
2. 만물은 맞얽힘성을 지닌다 45
3. 맞얽힘으로 처세하라 59
4. 만물은 맞얽힘으로 스스로 이룬다 77
5. 만물은 맞얽힘으로 운행한다 81
6. 맞얽힌 두 인소는 서로 뒤바뀐다 83
7. 극에 달하면 되돌아간다 85
8. 만족과 겸손, 물극필반을 피하는 방법 87
9. 수중守中, 물극필반을 피하는 방법 94
10. 장구長久, 궁극의 욕망 96

2장 | 공자, 나와 남의 맞얽힘을 말하다 ………………………… 101
1. 공자, 노년에 주역의 원리를 깨닫다 103
2. 인仁, 나와 남의 맞얽힘 115
3. 맞얽힌 두 존재, 군자와 소인 137
4. 문질빈빈, 맞얽힘의 처세법 140
5. 예禮는 절제와 멈춤을 뜻한다 143
6. 맞얽힘을 아는 자는 즐겁게 오래 산다 151

3장 | 손자, 맞얽힘으로 병법을 만들다 ………………………… 155
1. 맞얽힘으로 승부를 계산하라 157
2. 계산이 끝났으면 전쟁은 졸속으로 끝내라 165
3. 지피지기知彼知己 – 적과 나의 맞얽힘 168
4. 세勢는 같음과 다름의 맞얽힘 174

4장 | 장자, 맞얽힘의 상대성 이론 ……………………………… 179
1. 장자, 언어의 맞얽힘을 말하다 181
2. 옳음과 그름은 맞선 둘이지만 하나다 189
3. 만물은 스스로 이룬다 200
4. 삶과 죽음은 맞얽힌 두 인소의 상호전화이다 202
5. 심재心齋, 맞선 둘이 하나임을 인식하라 207
6. 좌망坐忘, 나를 잊으면 만물과 하나가 된다 215
7. 소요유, 맞얽힘을 체득한 자의 유유자적 221
8. 신진화전薪盡火傳, 궁극의 경지 228

5장 | 중용, 물극필반을 피하는 방법 …………………··……… 235
1. 중中은 비움과 절제를 뜻한다 237
2. 중화中和, 자연과 인간의 조화 244
3. 지극한 성誠은 신神과 같다 249

6장 | 평천하, 궁극의 이익 ……………………………………… 253
1. 배움의 목표는 천하평이다 255
2. 수신修身, 좋아하면서 그 악함을 알라 259
3. 평천하, 치우침이 없는 사회 262

7장 | 세계 생성의 원리와 운행 법칙 …………………··……… 277
1. 도법자연 道法自然: 세계는 스스로 생성한다 279
2. 일음일양 一陰一陽: 맞선 둘은 얽힌 하나이다 283
3. 기정상생 奇正相生: 맞얽힌 둘은 서로를 낳는다 287
4. 양자동출 兩者同出: 맞얽힌 둘은 동시에 나타난다 289
5. 생생위역 生生謂易: 맞얽힘이 또 다른 맞얽힘을 낳는다 292
6. 강유상추 剛柔相推: 맞얽힌 두 인소는 서로 밀어낸다 296
7. 물극필반 物極必反: 맞얽힌 두 인소의 뒤바뀜 299
8. 통변위사 通變謂事: 세계는 맞얽힘이 만드는 변화의 총체 303
9. 음양상인 陰陽相因: 우연과 필연의 맞얽힘 307
10. 길흉유인 吉凶由人: 인간사의 맞얽힘은 인간에게 달렸다 310

결론 | 맞얽힘으로 세계관을 바꾸자 ……………………………… 313

주역편 1장 | 갑골복, 길은 길이고 흉은 흉이다 ……………··… 327
1. 갑골문, 삼천 년의 세월을 뚫고 나타나다 329
2. 갑골복, 상징을 이용한 미래 예측 336
3. 길과 흉이라는 상징의 등장 344
4. 갑골복 치는 방식 346
- 한 번은 긍정으로 한 번은 부정으로 묻는다
- 다른 날에 이어서 묻는다
- 같은 사안에 대해 세 명이 동시에 묻는다
- 갑골복과 주역점을 같이 친다
5. 세계는 대립 구조로 이루어졌다 360
6. 은나라와 함께 사라지다 362
주역편 2장 | 주역, 길은 흉이고 흉은 길이다 ………………··… 367
1. 태극기 놓고 주역도 모른다 369
2. 주역의 원리 378
- 주역점, 법칙과 숫자를 이용한 미래 예측
- 주역점은 맞얽힘 원리로 만들었다
- (양)과 (음)의 유래는 숫자
- 8괘는 세 명이 동시에 점을 쳤을 때 일어나는 8가지 사건
- 64괘는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64가지 사건
3. 주역이 생각하는 것들 389
- 괘卦, 길과 흉의 맞얽힘이 만든 사건
- 길과 흉은 서로 뒤바뀐다
- 변화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 극에 달하면 반면으로 뒤바뀐다
- 삼재三才, 하늘·땅·사람의 연결
- 자연과 사람의 맞얽힘
- 길과 흉은 나로부터 비롯된다

4. 주역은 어떻게 점치는 책에서 철학서가 되었나? 411
- 8괘에 상징을 부여하다
- 소리는 모든 곳에 존재한다
- 점을 부정하다
- 주역과 점술의 분리
- 덕이 운명을 결정한다

주역편 3장 | 역전, 맞얽힘을 기호화하다 ……………………·· 431
1. 주역을 해설하다 433
2. 맞얽힘을 기호로 표시하다 438
3. 효위설, 새로운 괘효 해석법 441
4. 장생長生, 궁극의 이익 448

주역편 부록 | 주역점 치는 방법 ………………………………·· 451

덧붙임 글 | ‘맞얽힘’이라는 용어에 대하여 …………………… 475

참고 문헌 ……………………………………………………………·· 477

저자소개

이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 고전을 연구하고 있는 독립연구자이다. 십수 년 동안 《주역》 《시경》 《서경》 《춘추》 《한비자》 《논어》 《장자》 《맹자》 《공자가어》 《사기》 《백서 노자》 《백서 주역》 등 고전을 공부했다. 그중에서도 《주역》을 ‘서로 반대되는 것들이 하나의 쌍, 짝’을 이루고 있다는 ‘대립쌍’의 원리로 파악하여, 《주역》에 대한 일목요연한 이해를 대중들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해 왔다. 공무원 노동운동을 할 때 주경야독 하고, 이후 출판 사에 다니다 쓴 《경성을 뒤흔든 11가지 연애사건》으로 뜻하지 않게 작가의 길로 들어선 이래, 두 번째 저서 《조선의 백과사전을 읽는다》가 문체부가 뽑은 우수출판콘텐츠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 밖에 《가슴에는 논어를, 머리에는 한비자를 담아라》 《논어 암송》 《맞얽힘: 맞선 둘은 하나다》 등의 저술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 이 책에서 나는 지금으로부터 삼천 년에서 이천 년 사이에 고대 중국의 사상가들이 이 세계의 생성원리가 맞얽힘임을 밝혀냈으며 그로부터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 이후 맞얽힘의 사상은 전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맞얽힘이 우리의 직관이나 상식과 맞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상징의 사용, 한자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겹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있음과 없음이 서로를 낳고’의 원문은 ‘유무상생有無相生’이다. 우리는 상생相生이라는 단어를 서로 같이 살자는 뜻으로 사용하는데, 이 해석은 틀렸다. 상생은 같이 살자는 뜻이 아니라 ‘서로를 낳는다’는 의미다. 서로를 낳는다는 맞선 두 인소가 서로의 존재근거이고, 나의 적이 나의 존재근거라는 뜻이다. 나의 경쟁자가 나의 존재근거이고, 나와 극렬하게 대립하는 자가 나의 존재근거이다. 나의 존재근거를 없애면 나도 사라진다. 나의 경쟁자를 없애면 나도 사라진다. 그러므로 내가 존재하려면, 내가 살려면 나와 맞서는 자가, 나와 대립하는 자가 있어야 한다. 남이 있어야 내가 산다. 따라서 맞선 두 존재는 조화할 수밖에 없다. 조화를 이루어야 서로 살 수 있다.


▶ 나는 남을 만들고 남은 나를 만든다. 관계는 서로를 만든다. 이것이 바로 관계의 맞얽힘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