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동물 일반
· ISBN : 9791197669316
· 쪽수 : 101쪽
· 출판일 : 2022-04-22
목차
서문
이 책을 읽으실 분들께
꼭 읽어주세요!
제1장 신장의 형태와 하는 일
1. 신장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2. 소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3. 신장은 소변을 만드는 것 외에 어떤 기능을 하나요?
제2장 신장 질환 이해하기(part I)
1. 신장 질환이란?
2. 급성 신부전과 만성 신부전은 어떻게 다른가요?
1) 급성 신부전
① 증상
② 진단
③ 치료
2) 만성 신부전
① 증상
② 진단
③ 치료
3. 신장 질환에 취약한 품종이 있나요?
1) 개
2) 고양이
4. 신장 질환의 단계, 치사율 및 예상 수명
1) 신장 질환의 단계
2) 치사율 및 예상 수명
① 급성 신부전의 경우
② 만성 신부전의 경우
제3장 신장 질환 이해하기(part II)
1. 신장에 문제가 생기면 몸에는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2. 신장에 문제가 생겼는지 평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3. 신장 질환 진단을 위해 어떤 검사가 필요한가요?
제4장 신장 질환에 처방되는 약과 역할, 기타 치료
1. 신장 질환의 단계별 관리 방법이 다른가요?
1) 수액 치료
2) 항구토제와 식욕 촉진제
3) 인 흡착제
4) 빈혈 치료제·철분 제제
5) 칼시트리올(활성비타민D)
2. 신장 보조제는 정말 도움이 되나요?
3. 신장 보조제 중에 유산균이 많던데 먹이는 게 좋을까요?
4. 혈액 투석은 언제 필요한가요?
제5장 신장 질환과 식이 관리
1. 만성 신부전 환자의 영양 관리 이해하기
1)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영양 관리(1단계)
① 신장이 아픈데 고기를 줘도 될까요?(인 제한)
② 신장 손상 속도를 지연시키는 영양소들
2) 임상 증상 완화를 위한 영양 관리(2~4단계)
① 단백질 제한
② 가용성 식이섬유
3) 대사불균형 최소화를 위한 영양 관리(2~4단계)
① 나트륨(소금)
② 칼륨
4) 에너지 요구량 충족을 위한 영양 관리(2~4단계)
5) 기호성을 높이기 위한 요령
2. 신장 질환용 간식과 사료 라벨에서 꼭 확인해야 할 영양 성분은 뭘까요?
3.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급여할 수 있는 보조제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장내 인 흡착 보조제
2) 장내 요독 물질 흡착 보조제
① 레날
② 레날 어드밴스
③ 아조딜
3) 신장 섬유화 저해 보조제
4) 칼륨 보충제
4. 혈액 검사 결과가 정상 수치가 되면 일반 음식을 먹여도 될까요?
제6장 신장 질환이 있는 아이들의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점
1. 평상시 관리 방법
1) 식이 관리
2) 충분한 물 급여
2. 신장 질환의 합병증
3. 언제 병원을 가야 할까요?
이 책을 펴내며
책을 마무리하며
[부록] 약을 쉽게 먹이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