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7737541
· 쪽수 : 139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로컬노믹스 2022』를 펴내며
왜 로컬노믹스인가?
Part 1. 전통시장 활성화
1장: 시장기능마저 잃어간다
#전통시장, 무엇이라 정의되는가
#전통시장 활성화 성과가 더딘 첫 번째 이유, 문제는 시장 자체다
#유독 화재에 취약한 이유: 노후화
#전통시장 쇠퇴의 두 번째 이유, 기후의 문제와 라이프스타일 변화
#전통시장의 기능은 먹자골목과 다르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도심의 대형 전통시장, 도심지 낙후의 원인
2장: 네덜란드 마크탈에서 배운다(시민을 위한 복합 거점 공간)
#‘개선’만으로는 개선되지 않는다
#두 번째 변신을 진행중인 용산전자상가 일대
#마크탈 사례: 신축 주상 복합에 전통시장을 입주시키자
#전통시장 상인들의 재정착, 용적률 확대와 기부채납으로 해결할 수 있어
#저밀도 지구 전통시장, 시민공간과 창업시설을 포함해 고밀도화해야
#당장 복사해 붙여넣기식 사업을 중단하라
#보행약자 접근성, 배송문제 해결 등 과제중심으로 활성화해야
Part 2. 로컬상권 활성화
3장: 군집성에 초점을 맞춰라!
#같은 듯 다른... 상권과 입지란 무엇인가?
#점과 면이라는 서로 다른 공간
#공공정책은 상권을 형성할 수 있는가
#공공정책 입장으로 풀기 어려운 난제도 있다: 명동 사례
#상권은 왜 단절되는가?
#상권이 단절되는 지역의 유형: 병원, 공장 일대
#군집성을 살려야 상권이 살아난다
#건물을 깎아내서라도 길을 넓혀라!!
#논란이 계속되는 신촌 ‘차 없는 거리’
#상권은 소비자와 사업자의 집단 의사결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
4장: 수익을 올리겠다는 각오로 투자해야
#상권의 자생력을 키우지 못하는 상권 활성화 정책
#상권 활성화에 건물주를 참여 시키자
#어느 상권에도 ‘착해야 할 건물주’는 없다
#건물주가 배제된 상권 활성화 사업은 본질적으로 보조금 지급 사업일 뿐
#지자체, 상권 활성화를 수익 창출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시장의 영역에서는 시장의 논리가 적용돼야
Part 3. 로컬도시 활성화
5장: 로컬 부흥을 위한 기업도시
#기업이 만드는 산업단지, 기업도시
#벌써 20년 되어 가는 기업 도시, 현재 어떤가?
#해외 기업도시 성공의 조건: 지리적·인문적 정주여건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과 첨단의 조화가 이루어진 곳이 기업도시 적합지
#기업도시 추진의 한계
#로컬에서 잘 할 수 있는 산업에서 출발해야
#지자체와 정부는 로컬과 관련한 정보를 자원화 하는데 집중해야
#낙농·축산강국 덴마크에게 배우자
6장: 은퇴 도시 가능할까?
#노인은 도시에 살고 싶어 한다
#은퇴도시를 준비해야 하는 이유
#은퇴도시는 청년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줄 수 있다: 미국 CCRC, 일본 웰스랜드 이니셔티브의 성공사례
#요양시설을 도시화하는 것이 필요
#한국에서의 시도와 실패, 은퇴도시가 의료접근성 격차 해소의 계기가 될 수 있어
#은퇴도시는 정체된 수도권 신도시와 원도심에 활기 불어 넣을 신산업
에필로그:
로컬 경제 활성화, 결국 시장이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