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781840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2-04-01
책 소개
목차
I. 서론: 르네상스 문화와 종교개혁
1. 두 시대의 접속점 위에 서 있는 칼뱅
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관계
나) 르네상스의 두 조류: 텍스트의 발굴, 그 이상의 것
다) 르네상스 문화 심층의 경향성
2. 르네상스 문화를 가능케 한 사회적 변동과 관념의 변화들
가) 우주론적 보편체계의 부정과 새로운 질서의 요구
나) 형이상학과 위계적 질서의 거부
다) 르네상스 시대 인간관의 전환
라) 르네상스의 인간관과 수사학적 문화
마) 새로운 인간관에서의 이상적 그리스도인
바) 르네상스 문화 속의 종교적 동인과 그 한계
II. 인문주의 조류 속의 칼뱅
1. 인문주의의 개념과 성격
가) 인문주의의 어원적 정의
나) 인문주의의 사회적 상황
다) 인문주의의 수사학 정신과 스콜라주의
2. 인문주의의 사상적 기능
가) 철학적 신조(doctrine)인가, 정신적 자세(mentality)인가?
나) 인문주의와 기독교 신학
III. 칼뱅 신학 속의 인문주의
1. 칼뱅 신학의 구조와 특성
가) 신본주의와 인문주의
나) 칼뱅 신학의 특성: 중심교리인가 인식론적 원리인가?
2. 칼뱅의 신학적 인식론
가) 이중 신지식론(Duplex Cognitio Dei)
나) 칼뱅의 인식론의 배경
3. 칼뱅의 수사학적 신학
가) 칼뱅 신학과 수사학 정신
나) 수사학적 신학의 특징: 목적성과 상황성
다) 언어와 문체
IV. 결론: 신학적 인문주의자 칼뱅
1. 종교개혁을 위한 인문주의의 기여
2. 에라스뮈스와 칼뱅
[부록] 칼뱅 연구사
신학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
칼뱅 전기 연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신학의 특성은 교의적 내용을 어떤 지성 구조에 담아내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바가 크다. 또한 인문학적 지식이란 현학적 정보의 축적이 아니라 지식을 발견하는 사고 과정을 자극하고 성숙시키는 지식이다.
칼뱅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두 요소를 온몸으로 반영하는 인물이라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 될 것이다. 따라서 칼뱅 신학의 통전적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시대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작업이 필히 선행되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