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97856631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4-01-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남한의 민주화와 북한의 대남전략
1장. 남한의 민주화가 북한의 대남전략에 영향을 미칠까?
2장. 남한이 민주화되기 전 북한의 대남전략
3장. 남한과 북한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다른가?
2부. 1980년대, 남한 중간층의 대남혁명역량 편입
1장.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북한의 대남인식 및 전략
1.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남한정세
2. 대남인식・대응 : 독재세력 타도와 남조선 민주화 주장
3. 대남전략 : 민족해방 인민민주주의혁명론
4. 소결
2장. 6.10 민주항쟁과 북한의 대남인식 및 전략
1. 6.10 민주항쟁 당시 남한정세
2. 대남인식・대응 : 남한 중간층의 대남혁명역량 편입
3. 대남전략 : 민족해방 민주주의혁명론
4. 소결
3부. 1990년대, 남한 민주화세력 집권에 대한 기대감
1장. 김영삼 정부 출범과 북한의 대남인식 및 전략
1. 김영삼 정부 출범 당시 남한정세
2. 대남인식・대응 : 집권세력과 민주화세력 구별 짓기
3. 대남전략 : 자주적 민주정부론
4. 소결
2장. 김대중 정부 출범과 북한의 대남인식 및 전략
1. 김대중 정부 출범 당시 남한정세
2. 대남인식・대응 : 민주화세력 집권에 대한 기대감
3. 대남전략 : 민족공조론
4. 소결
4부. 결론
에필로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북한은 과거 남한 민주화운동 세력을 북한에 대한 보조적 역량으로만 인식했지만,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6.10 민주항쟁을 비롯한 민주화투쟁에서 이들의 변혁적 지향성을 발견한 뒤로는 이들을 더욱 조직화해 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확고한 대남혁명역량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인식하게 됐다.
남한 민주화세력의 역량 강화로 인한 기대감이 축적된 결과, 북한은 선거 등 합법적인 정치 공간을 활용한 방식으로 남조선혁명론을 확장해 자주적 민주정부론으로 나아갔다.
남한 민주화세력이 집권에 성공하면서 기존의 급진적 재야세력이 상대적으로 주변부화됨에 따라 북한은 당국 간 공조까지 포함하는 등 민족공조의 대상을 확대시켰지만, 미국과 공조하는 남한 정부를 비판하면서 미국에 맞서기 위한 민족공조론을 펼쳤다.
- 1부 ‘남한의 민주화가 북한의 대남전략에 영향을 미칠까?’ 중에서
권위주의 통치가 종식되고 민간인 정부가 최초로 집권하면서 북한이 선거 등 합법적인 정치 공간을 활용한 방식으로 남조선혁명론을 확장하려 했듯이 2021년 당 규약에 포함된 ‘사회의 민주주의적 발전’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1990년대에도 급진적 사회주의 세력과 학생운동이 약화돼 민중봉기를 통한 혁명의 성공 가능성이 줄어들자 북한이 남한 당국자들과의 접촉을 모색하며 ‘자주적 민주정부론’이 제기됐다. 하지만 1990년대나 당 규약에 ‘사회의 민주주의적 발전’을 명시한 지금이나 북한은 변함없이 한반도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 … 북한은 지난 수십 년간 남한 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와 대내외 정세 등을 반영해 전략・전술을 수정해왔다. 그중 ‘남한의 민주화’는 북한의 인식과 전략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요소였다.
- ‘에필로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