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91198061331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4-06-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I. 보태평 保太平 6
1. 희문 6
1-1. 영신 희문 8
1-2. 전폐 희문 10
1-3. 전폐 희문-2 11
1-4. 진찬 풍안지악 12
1-5. 진찬-2 13
1-6. 초헌 희문-2 14
1-7. 초헌 희문-3 15
2. 계우 16
2-1. 기명 17
2-2. 기명-2 18
3. 의인 19
3-1. 귀인 20
4. 형광 22
4-1. 형가 23
5. 보예 24
5-1. 집녕 25
6. 융화 26
6-1. 융화-2 27
6-2. 융화-3 28
7. 승강 29
7-1. 현미 32
8. 창휘 33
8-1. 용광 34
8-2. 용광-2 34
9. 정명 35
9-1. 정명-2 36
9-2. 정명-3 36
9-3. 중광 37
10. 대동 38
10-1. 대유 41
11. 역성 42
11-1. 역성-2 43
II. 정대업 定大業 44
12. 소무 44
12-1. 아헌 소무 47
13. 독경 48
13-1. 독경-2 49
14. 선위 50
14-1. 선위-2 52
15. 탁령 55
15-1. 탁정 56
16. 혁정 57
16-1. 혁정-2 61
17. 신정 62
17-1. 신정-2 64
18. 개안 66
18-1. 분응 68
19. 지덕 69
20. 휴명 71
20-1. 총유 72
21. 순응 73
21-1. 순응-2 74
22. 정세 75
22-1. 정세-2 76
23. 화태 77
23-1. 영관-2 78
24. 진요 79
25. 숙제 81
26. 영관 82
26-1. 철변두 옹안지악 83
26-2. 송신 흥안지악 84
III. 발상 發祥 85
27. 희광 85
28. 순우 87
29. 창부 88
30. 영경 89
31. 신계 90
32. 현휴 91
33. 정희 92
34. 강보 93
35. 응명 94
36. 가서 95
37. 화성 96
IV. 봉래의 鳳來儀 97
38. 전인자 97
39. 여민락 98
40. 치화평 101
41. 취풍형 103
42. 후인자 107
V. 종묘악장 宗廟樂章 108
49. 제사 악장 108
50. 관창 109
51. 전폐 110
52. 익조 악장 111
53. 도조 악장 112
54. 환조 악장 113
55. 태조 악장 114
56. 공정왕 악장 115
57. 태종 악장 116
58. 음복 117
59. 철변두 118
60. 목조 영녕전 악장 119
VI. 문소전악장 文昭殿 樂章 120
61. 환환곡 120
62. 미미곡 121
63. 유황곡 122
64. 유천곡 123
65. 정동방곡 124
VII. 환구제례악 圜丘祭禮樂 125
66. 영신 희문지악 125
67. 전폐 희문지악 126
68. 진찬 융안지악 127
69. 초헌 기명지악 128
70. 아헌 선위지악 129
71. 종헌 탁정지악 132
72. 철변두 성안지악133
73. 송신 영안지악 134
74. 창수지곡 135
75. 경근지곡 138
VIII. 그밖에
74. 봉황음 139
75. 횡살문 146
76. 고려 처용가 148
77. 자하동 155
78. 만전춘 159
79. 보허자 163
80. 수룡음 166
저자소개
책속에서
종묘제례를 아악 버전의 종묘악장으로 할 것인지 조상을 우리 음악으로 모시고 싶어 했던 세종임금의 음악으로 할 것인지 논쟁에서 일단 아악 버전이 승리를 거둔 듯하다. 세조 때가 되어서 세조는 아악인 종묘 악장을 버리고 세종임금의 보태평과 정대업을 재편하여 정식으로 종묘제례악의 기본 틀을 설정하였다. 더불어 세조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환구제례악도 아악 버전뿐만 아니라 속악 버전도 마련하였다. 영조 때 지어진 대악후보의 종묘제례악은 세조 때 종묘제례악보다 높이 조옮김 되어 있으며 이는 남악에서 여악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세종 때 명나라 사신이 와서 여악女樂을 하면 안 된다고 하여 남악男樂으로 바꾼 듯하나 후대에 다시 여악으로 바꾼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1892년 출간된 속악원보는 대악후보의 종묘제례악을 충실히 따르고 있지만 일부는 편곡한 흔적도 엿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