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여진어 사전

여진어 사전

(A Jurchen-Korean-English Dictionary)

최범영 (지은이)
나무바야
5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600원 -10% 0원
2,700원
45,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여진어 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여진어 사전 (A Jurchen-Korean-English Dictionary)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9806132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3-02-02

책 소개

여진어 사전은 여진어-한문-한국어-영어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몽골어, 만주어 설명도 함께 되어 있어 다양한 언어를 접할 수 있고 여진어뿐만 아니라 한국어에 대한 이해도 도움을 준다.

목차

머리말 5

1. 여진어 사전 11

2. 경원 여진글자 비 275

3. 대금 득승타송비 283

4. 구봉 석벽 기공비 301

5. 여진 진사 제명비 307

6. 누르건 영녕사비 323

7. 사람이름 사전 335

저자소개

최범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충북 청원에서 태어남 학력_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국어국문학 부전공) 졸업(학사) ·충남대학교 지질학과 대학원(석사) ·소르본느 대학(구 피에르와 마리 퀴리 대학)(이학박사) 경력_ ·1984년~2021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재직 ·2002년 대한지질학회 학술상 수상 ·2003년 김선억상 수상 ·2007년 과학기술총연합회 지질과학 분야 논문상 수상 ·2003년~2004년 땅이름 [한겨레신문]에 72회 연재 ·2007년~2009년 사람이름 [한겨레신문]에 100회 연재 시집_ ·하눌타리 외사랑(예원출판사, 2003) ·연이 걸린 둥구나무(현대시문학사, 2005) ·고봉밥 어머니(다시올문학사, 2013) 저서_ ·말의 무늬(종려나무, 2010) ·바람에도 흔들리는 땅(소명출판, 2015) ·빨간 의자(소명출판, 2017) ·게스트하우스 아말릴리스(종려나무, 2018) ·설탕 두 스푼(종려나무, 2019) ·여진어 사전(나무바야, 2023) ·거란어 시가와 거란 글자(나무바야, 2023) ·고려의 언어와 지리(나무바야, 2023) 논문_ ·Depth dependency of stress ratios during the sedimentation of NW Gyeongsang Basin (Cretaceous), southeast Kore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013) ·광개토왕의 남정과정(역사21, 1, 1~53, 2003) ·18세기 춘천의 慶州李氏家 호적문서에 등재된 사람이름의 특성(장서각, 30, 256-290, 2013) ·쌍화점의 역사학(한국전통문화 13, 149-183, 2014) ·신라어에서의 외래 요소(한국전통문화 15, 7-65, 2015)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여진족은 금나라를 세우고 글자를 만들었다. 이와 같은 사정은 거란이나 몽골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의 발해에도 문자가 있었다고 <구당서>는 증언하고 있다. 고려 또한 설총의 향찰을 간소화 형태이지만 고려글자가 있었다. 이 시기에 중국은 남송이 되어 세계 정세에서 큰 역할을 한 것 같지는 않다. 당시 독립국가-황제 국가-의 국제 표준으로 글자가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했던 것 같다. 돌이켜 보면 세종임금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유림의 반발은 바로 조선이 여진이나 거란, 서하, 몽골, 발해처럼 독립국가이길 원하면 안된다는 주장으로도 이해된다. 그럼에도 독립국가는 자신의 글자를 가져야 한다는 당시 국제 표준을 끝까지 관철한 세종임금이야말로 나라를 나라답게 만든 임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머리말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