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여진어 사전 (A Jurchen-Korean-English Dictionary)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9806132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3-02-0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9806132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3-02-02
책 소개
여진어 사전은 여진어-한문-한국어-영어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몽골어, 만주어 설명도 함께 되어 있어 다양한 언어를 접할 수 있고 여진어뿐만 아니라 한국어에 대한 이해도 도움을 준다.
목차
머리말 5
1. 여진어 사전 11
2. 경원 여진글자 비 275
3. 대금 득승타송비 283
4. 구봉 석벽 기공비 301
5. 여진 진사 제명비 307
6. 누르건 영녕사비 323
7. 사람이름 사전 335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진족은 금나라를 세우고 글자를 만들었다. 이와 같은 사정은 거란이나 몽골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의 발해에도 문자가 있었다고 <구당서>는 증언하고 있다. 고려 또한 설총의 향찰을 간소화 형태이지만 고려글자가 있었다. 이 시기에 중국은 남송이 되어 세계 정세에서 큰 역할을 한 것 같지는 않다. 당시 독립국가-황제 국가-의 국제 표준으로 글자가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했던 것 같다. 돌이켜 보면 세종임금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유림의 반발은 바로 조선이 여진이나 거란, 서하, 몽골, 발해처럼 독립국가이길 원하면 안된다는 주장으로도 이해된다. 그럼에도 독립국가는 자신의 글자를 가져야 한다는 당시 국제 표준을 끝까지 관철한 세종임금이야말로 나라를 나라답게 만든 임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머리말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