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에도시대를 생각한다

에도시대를 생각한다

(도쿠가와 3백 년의 유산)

쓰지 다쓰야 (지은이), 김선희 (옮긴이)
빈서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에도시대를 생각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에도시대를 생각한다 (도쿠가와 3백 년의 유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고대/중세사
· ISBN : 9791198063984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23-01-23

책 소개

에도 말기와 메이지유신 전환기를 주로 공부하는 박훈 교수는 도쿠가와 시대를 다룬 연구서가 매우 적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한일관계가 나빠질수록 서로를 알아야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그간 외면되었던 일본 근세와 근대의 주요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빈서재 출판사는 이에 호응하여 연구총서를 준비했다.

목차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들어가는 말 . . . . . . . . . . . . . . . . . . . . . . . 13
제 1 장 ‘일본적’ 문화의 형성 . . . . . . . . . . . . . 19
1.1 이른바 ‘일본적’인 것과 근세 . . . . . . . . 19
1.2 일본 고전 문화의 영상 완성 . . . . . . . . 28
1.3 이국취미 문화의 일본화-선 . . . . . . . . . 40
1.4 선종 문화와 일상생활 . . . . . . . . . . . 48
1.5 일본적 유학의 성립 . . . . . . . . . . . . . 55
1.6 일본의 문화적 자립 . . . . . . . . . . . . . 66
1.7 쇄국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75
제 2 장 새로운 국가의 성장과 전개 . . . . . . . . . 83
2.1 ‘일본적’ 문화 형성의 배경 . . . . . . . . . 83
2.2 국가의 공백기 . . . . . . . . . . . . . . . . 86
6
2.3 공의公儀의 성립 . . . . . . . . . . . . . . . 94
2.4 가정家政에서 국정으로 . . . . . . . . . . . 104
2.5 다테 사회를 향한 저항의 좌절 . . . . . . . 115
2.6 행정 관료의 역할 . . . . . . . . . . . . . . 124
2.7 근세 사회의 맹점 . . . . . . . . . . . . . . 137
2.8 ‘사私’ 세계의 성장 . . . . . . . . . . . . . . 144
제 3 장 ‘근대화’ 일본의 기반 형성 . . . . . . . . . 151
3.1 우민관의 수정 . . . . . . . . . . . . . . . . 151
3.2 민중의 지식욕 . . . . . . . . . . . . . . . . 160
3.3 문화의 상품화 . . . . . . . . . . . . . . . . 166
3.4 지적 시민 사회 . . . . . . . . . . . . . . . 176
3.5 외래문화의 수용 . . . . . . . . . . . . . . . 196
3.6 새로운 격물궁리 . . . . . . . . . . . . . . . 204
나오는 말 . . . . . . . . . . . . . . . . . . . . . . . . . 219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3
장별 주요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223
에도시대 막부 관직 구조 . . . . . . . . . . . . . 227
역자 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231
찾아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235

저자소개

쓰지 다쓰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6년 도쿄 출생으로 1948년 도쿄대학 문학부 국사학과를 졸업했다. 요코하마 시립대학 이학부 교수를 거쳐 동 대학 명예교수, 센슈대학 문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문학 박사로 전공은 일본 근세사이다. 주저로 『교호개혁 연구(享保改革の硏究)』, 『에도 막부(江戶幕府)』,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선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히로시마대학에서 『조선과 일본 지식인의 자타인식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사상사 전공. 현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대한제국·식민지 조선의 철도 여행 안내』, 『에도시대를 생각한다』, 『일본 정치사상사』, 『에도 유교와 근대의 知』 등을 번역하고, 공저로 『일본사 시민강좌』(근간), 『일본 근세 유학과 지식의 활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본 문화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가 외래문화, 특히 중국에서 전래된 것임은 새삼스레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적’ 문화의 대표라고 생각되는 것들이 실은 전래된 당초에는 ‘이국적’이었기 때문에 지식인들에게 환영받았다가, 근세에 들어선 후 그것이 ‘일본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고 할 만한 것이 있다. 첫손가락에 꼽을 만한 것이 바로 선(禪)이다.


근세의 쇄국에 대해 나름의 견해를 서술하겠다. 결론부터 말하면 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 특히 정책 실시에 관한 후세의 논평은 그 의의와 공과라는 점에서 심히 부당한 부담을 지웠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현대 일본인의 국제성 결여조차 근세 쇄국의 후유증인 것처럼 말하기도 하는데 일본인의 섬나라 근성이 단순히 쇄국 때문이라고 할 수 없다.


기타무라 도코쿠는 『도쿠가와 시대 평민적 이상』에서 “겐로쿠 문학을 비하하여 일본 문학의 치욕”이라 간주하는 설에 반대하며 “일본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평민의 목소리”라 주장하면서 평민적 이상의 발로이자 일본의 생명 표현이라 평가하였다. 그러면서 “도쿠가와 3백 년의 저변에 흐르는 큰 강물이 눈앞을 가로지를 때 나는 이를 즐겨 관찰한다. 누가 알겠는가. 도쿠가와 시대에 땅 밑에서 흐르던 큰 강물은 메이지의 정치적 혁신에 막혀 멈출 수 있는 것이 아님을”이라고 논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