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91198111456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4-10-15
책 소개
목차
1. 오리지널 좀비관
‣ 좀비의 기원과 테트로도톡신 ‘영화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 과학 빼먹기 : 독성 물질의 활용, 보톡스
‣ 분노 메커니즘 ‘영화 <28일 후>’
- 과학 빼먹기 : 분노와 알코올의 상관관계
‣ 좀비 발생 원인과 면역 ‘영화 <월드워 Z>’
- 과학 빼먹기 : 자가면역질환
‣ 유전물질과 백신 개발 과정 ‘영화 <나는 전설이다>’
- 과학 빼먹기 : 항바이러스 치료제
‣ 복제 인간과 유전자가위 ‘영화 <레지던트 이블>’
- 과학 빼먹기 : 유전자가위의 활용
2. K-좀비관
‣ 기생충에 의해 좀비가 된 생물들 ‘영화 <연가시>’
- 과학 빼먹기 : 펜타닐에 의해 좀비가 된 사람들
‣ 약과 독 ‘드라마 <킹덤>’
- 과학 빼먹기 : 생사초의 탄생 배경
‣ 좀비 생물학 ‘영화 <부산행>’
- 과학 빼먹기 : 사후 신체 변화
‣ 노화와 회춘 ‘영화 <기묘한 가족>’
- 과학 빼먹기 : 채식주의의 종류
‣ 전염병과 SIR 모델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
- 과학 빼먹기 : 전염병의 기초감염재생산지수 비교
3. 별의별 좀비관
‣ 바이러스의 기원과 활용 ‘영화 <플래닛 바이러스>’
- 과학 빼먹기 : 바이러스의 최초 발견
‣ 전자파의 유해성 논란 ‘영화 <셀>’
- 과학 빼먹기 : 우주방사선
‣ 사랑과 호르몬 ‘영화 <웜 바디스>’
- 과학 빼먹기 : 옥시토신의 부작용
‣ 부성애와 모성애 ‘영화 <카고>’
- 과학 빼먹기 : 동물들의 후각 능력
‣ 생물의 군집 생활 ‘영화 <아미 오브 더 데드>’
- 과학 빼먹기 : 근친도로 보는 개미의 군집 생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빠. 영화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이 좀비 영화의 시조라면, 좀비라는 말은 대체 어디서 시작된 거야?”
좀비의 어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어. 하나는 콩고 어로 신을 의미하는 ‘은잠비Nzambi’에서 왔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아프리카 앙골라 북서부 지역의 언어인 킴분두어로 ‘망자의 넋’이란 의미를 담고 있는 ‘음줌배Nzumbe’란 단어에서 파생되었다는 설이야. 나중에 그러한 단어들이 서인도 제도 아이티섬 원주민의 토속 신앙인 부두교Voodoo와 만나면서 ‘좀비Zombie’라는 말로 재탄생했다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야.
- 오리지널 좀비관 본문: 좀비의 기원과 테트로도톡신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중에서
전염병의 기초감염재생산지수 비교
앞에서 말한 것처럼 기초감염재생산지수란 어떤 집단에서 최초로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생긴 이차감염자의 수를 말합니다. 이 수치가 클수록 감염 전파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1보다 크면 대유행, 1이면 풍토병, 1보다 작으면 전염병이 점차 감소함을 뜻합니다.
- K-좀비관 과학 빼먹기: 전염병과 SIR 모델 <지금 우리 학교는> 중에서
사람이 개, 돼지보다 후각 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 보세요.
- 별의별 좀비관 부성애와 모성애 ‘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