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98178503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3-01-30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지역 신문사의 시대구분
제1절 지역 신문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전제 17
제2절 광주·전남지역 신문사의 시대구분과 이 책의 범위 19
제 2 장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지역신문의 발아기(1899∼1945년)
제1절 구한말 근대적 신문의 기본 성격 27
제2절 구한말 일본인 지역신문의 등장 31
제3절 일제강점기 광주·전남의 일본인 지역신문 33
1. 〈목포신보〉 34
1) 창간 경위 34
2) 〈목포신보〉의 변천 과정과 지면 구성 36
2. 〈광주일보〉 38
1) 창간 경위 38
2) 〈광주일보〉의 변천 과정과 지면 구성 39
제4절 일제강점기 광주·전남 지역의 신문 구독경향 42
1. 광주·전남지역 한글 신문의 구독 실태와 경향 46
2. 광주·전남지역 일본어 신문의 구독 실태와 경향 53
1) 국내 발행 일본어 신문의 구독 실태와 경향 54
2) 일본 발행 수입 일본어 신문의 광주·전남지역 구독 실태와 경향 58
3) 일제강점기 전남과 경북의 신문 구독 실태 비교 61
3. 일제 강점기 신문 구독의 성격과 함의 66
제5절 일제강점기 광주·전남 일본어 지역신문의 역할과 보도
1. 전남도평의회 한·일 의원 분규 편파보도 사건 73
2.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 〈광주일보〉의 허위 선동 보도 75
제6절 일제의 언론통제정책과 광주·전남 지역신문의 통폐합 79
제 3 장 미군정기 : 지역신문의 태동과 형성기(1945~1948년)
제1절 언론환경과 지역신문 87
제2절 광주·전남지역 지역신문 현황 91
1. 〈전남신보〉 → 〈호남신문〉 91
1) 창간 91
(1) 창간 배경 91
(2) 경영 주체의 변화 91
(3) 이은상과 〈호남신문〉 94
2) 제작의 특성 96
3) 지면의 특성 97
(1) 〈호남신문〉으로 제호 변경 98
(2) 전국 최초의 가로쓰기 체제 99
(3) 역사적 인물, 문화 중심의 연재물 101
4) 조직 운영의 특성 102
(1) 주식회사 체제 103
(2) 사시와 사기, 사장 제정 104
(3) 보급체제의 특성 105
5) 휴간 및 정간 107
6) 여순사건과 사진기자 이경모 108
2. 〈광주민보〉 → 〈동광신문〉 110
1) 창간 110
(1) 창간 주체 110
(2) 〈동광신문〉으로 제호 변경 113
2) 보수우익 성향의 경영 주체 114
3) 제작 및 지면의 특성 116
(1) 제작 상황 116
(2) 지면의 특성 118
(3) 취재 시스템 118
(4) 주요 특집 및 연재물 119
4) 보급체제의 특성과 구독료 120
5) 한국전쟁으로 자동 소멸 122
3. 〈조선중보〉 → 〈광주신보〉 122
1) 창간 122
(1) 창간 주체 122
(2) 초기 논조 124
2) 〈광주신보〉로 제호 변경과 폐간 조치 125
3) 경영 주체의 잦은 교체 127
4) 제작 및 지면의 특성 128
(1) 나주 반석근 사건 특종 128
(2) 출입처 제도와 기자단 결성 128
4. 〈목포신보〉 → 〈목포일보〉 130
1) 창간 130
2) 〈목포일보〉로 개제 131
3) 정간 및 폭행 사건 131
5. 〈대중보〉 → 〈대중신문〉 → 〈여수일보〉 132
제 4 장 이승만 정권기 :정파적 지역신문 정립기(1948~1960년)
제1절 언론환경과 지역신문 137
제2절 광주·전남의 지역신문 142
1. 〈호남신문〉 142
1) 한국전쟁으로 인한 정간과 복간 142
2) 기관지 〈전남일보〉와 소유권 갈등 143
3) 이은상 복귀 후 〈호남신문〉 지면 변화와 특성 144
(1) 지면 변화와 특성 145
(2) 취재 시스템의 변화와 특성 145
(3) 인쇄시스템의 변화와 특성 146
(4) 보급체제의 변화와 특성 148
4) 전남 특산품 전시회 등 주요 사업 148
5) 자진 휴간 후 폐간 150
2. 〈광주신보〉 152
1) 속간호 발간 선두 152
2) 사옥의 변천 153
3) 제작의 특징 153
4) 지면의 특징 154
5) 여순사건 오보와 나주 쌍가락지 사건 특종 155
6) 주요 사업 156
7) 쇠퇴와 발행 중단 157
3. 〈전남일보〉 159
1) 창간 159
(1) 속간 형식의 창간 159
(2) 창간 주체 161
2) 지면의 특성 163
(1) 제호 글자체의 변천 163
(2) 사시 163
(3) 지면 크기와 면수 164
(4) 기사체 164
3) 제작의 특성 164
(1) 제작부서 164
(2) 인쇄시스템 166
(3) 보급체제 및 구독료 167
4) 사옥 변천사 168
5) 다양한 연재물 169
6) 주요 사업과 캠페인 170
4. <목포일보> → <호남매일신문> 171
5. 〈여수일보〉 172
제 5 장 박정희 정권기 :상업주의 지역신문의 성장기(1961~1980년)
제1절 언론환경과 지역신문 177
1. 박정희 정권의 언론 통제정책 177
2. 언론기업의 성장 183
3. 박정희 정권 시기 언론자유 투쟁 187
제2절 광주·전남 지역신문 현황 190
1. 〈전남일보〉 191
1) 외형적 성장 191
(1) 발행면수와 부수의 증가 191
(2) 제작시설 확충 및 투자 193
(3) 경영다각화 시도 195
(4) 취재인력 증가 및 지사·특파원 파견 198
(5) 보급망 확충과 배달시스템 변화 200
(6) 금남로 시대의 개막 201
(7) 활발한 문화사업 202
(8) 부속기관 207
2) 신문 편집 제작 209
(1) 지면 구성의 변화 209
(2) 사설 위치의 변화 209
(3) 주요 특집 및 연재물 210
(4) 광고 내용 216
3) 〈전남일보〉 창간 및 속간 관련 논란 217
2. 〈전남매일신문〉 221
1) 창간 221
(1) 창간 배경 및 창간 주체 221
(2) 언론사 정비작업에서 생존 224
(3) 경영 주체의 변화 226
2) 발행의 특성 229
(1) 사시 및 창간호의 특성 229
(2) 발행 체제 및 발행 면수 230
(3) 구독료 231
(4) 제작시설 231
3) 지면의 특성 232
(1) ‘로컬 프레스’를 표방한 편집과 지면 제작 232
(2) 지방판, 광주판, 전북판 발간과 이동편집국, 속보 데스크 운영 234
(3) 주요 특집 및 연재물 234
(4) 전남 푸대접론 236
4) 조직구조의 특성 237
(1) 제작부서 237
(2) 부설기관 및 자매지 창간 238
(3) 행사 및 사업 239
(4) 캠페인 240
5) 새 경영진 체제의 사세 확장 240
6) 사옥의 변천사 242
7) 폐간 245
(1) 5·18민주화운동 보도 검열과 제작 거부 245
(2) 창간 20년 만에 강제 통폐합 248
(3) 지령 5806호로 종간호 발행 249
(4) 폐간 당시 현황 252
제 6 장 전두환 정권기 :지역신문 암기(1980~1987년)
제1절 언론통폐합 조치를 전후한 언론환경 255
1. 신군부의 등장과 언론사 통폐합 조치 255
1) 언론인 해직 256
2) 언론사 통폐합 조치 261
2. 〈전남일보〉 중심의 통폐합 배경 266
1) 통폐합 당시 로비설 266
2) 〈전남일보〉가 흡수사가 된 배경 270
제2절 〈광주일보〉의 창간 273
1. 창업주와 발행인 273
1) 창간 배경 273
2) 창업주, 발행인 274
3) 창간일과 제호, 사시 등 274
4) 사옥 이전 및 확장 275
2. 지면 제작의 특성 277
1) 창간호 지면 제작 277
2) 신문제작 시스템과 발전 279
3. 통폐합 이후 변화와 갈등 281
1) 직제 변화 281
2) 노동조합의 탄생 282
3) 통폐합 이후 내부 갈등과 극복 282
제3절 주요 문화사업 285
1. 주요 문화/체육 사업 285
2. 월간 〈예향〉 발간 287
제4절 성장과 시련 290
1. 1도 1사 시절의 성장과 한계 290
2. 김남중의 성장과 시련 293
참고문헌
1. 연속간행물 296
2. 논문 296
3. 단행본 298
4. 기타 자료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