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9119825521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3-04-24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1장 일본의 근대화와 문화재의 탄생
1. 일본의 근대화, 그 서막과 문화재 파괴
2. 폐불훼석에서 고기물 보존 정책으로
2장 일본의 보물
; 시대별 보물의 수집, 제작과 축적
1. 보물의 시작
2. 신보에서 현세적 보물로 – 고분의 부장품
3. 일본의 불교시대와 아스카 불교문화
4. 아스카불교의 전령 – 한반도 불상의 존재 방법
5. 호류지法隆寺 – 일본 고대문화의 표상
6. 일본의 탄생과 나라시대
7. 헤이안시대의 국풍문화
8. 중세 무가시대 – 전쟁과 선문화의 시대
9. 일본의 근세 – 센코쿠시대, 에도시대, 메이지시대의 문화유산
3장 근대일본과 문화재 정책
1. 박람회와 문화재
2. 미술의 부상 – 국가적 대사업으로서의 미술
3. 일본 국립미술관의 설립과 종착점
4. 일본문화재 제도의 완성
5. 이웃나라 문화재의 약탈과 활용
6. 전시 일본문화재의 소개
4장 오늘날 일본의 문화재, 문화유산
1. 패전과 문화재
2. 일본 약탈문화재의 반환
3. 일본의 세계유산
마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계를 통틀어 가장 대표적인 복제 문화재는 일본의 이세신궁이다. 이곳은 7세기 창건 때부터 20년마다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식년천궁을 꾸준히 시행해왔다. 이세신궁의 기존 목조건물을 해체하고 새로운 목재를 이용해 새 건물로 교체하는 것이지만 신궁 본래의 건축 양식과 기법을 고수하여 원래 신궁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라 신궁의 철저한 복제라고 할 수 있다.
메이지 유신정부는 1873년 5월부터 6개월간 개최된 스위스 빈 박람회에서 세계에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일본의 존재감을 터트리고 수출품 확대라는 실리를 챙긴다는 전략을 짰다. 이에 따라 이국적인 문화를 갈망하는 서구국가들의 기호에 영합하여 극히 일본적인 제품을 선보여 신비하고 독특한 문화의 나라라는 이미지 연출에 주력했고, 서양인들의 이국 취향과 오리엔탈리즘에 강렬히 어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