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98323958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4-06-10
목차
1부
친일시와 식민담론
16 • 1. 서론
17 • 2. 사이비오리엔탈리즘과 식민정책학
24 • 3.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의 거리
31 • 4. 친일시의 논리와 민족주의
44 • 5. 결론
1950년대 모더니즘시론
40 • 1. 서론
50 • 2. 반전통과 새로운 질서의식
61 • 3. 한국적 모더니티를 향한 모더니스트의 자기 모색
71 • 4. 결론
1990년대 시와 리얼리즘 논쟁의 전개양상
75 • 1. 서론
78 • 2. 시와 리얼리즘 논쟁 검토
96 • 4. 결론
86 • 3. 실제 작품 분석을 통한 몇 가지의 관점
현대시의 문학적 체험과 알레고리
98 • 1. 서론
100 • 2. 한국현대시와 알레고리적 수사
107 • 3. 계몽의 구조와 해석 주체의 이중성
115 • 4. 결론
한국 현대시와 속도
117 • 1. 서론
118 • 2. 전근대/근대/탈근대의 속도와 인문학적 성찰
123 • 3. 첨단의 노래와 질주의 욕망
133 • 4. 정지의 미와 느림의 치유
145 • 5. 결론
2부
김수영의 「거대한 뿌리」 읽기
148 • 1. 서론
149 • 2. 이남/이북식 앉음새와 김병욱이라는 강자
160 • 3. 전근대와 근대의 변증법, 탈식민 선언이 놓이는 자리
170 • 4. 결론
김지하의 시와 탈식민성
172 • 1. 서론
174 • 2. 시와 정치 혹은 정치적 상상력의 시적 형상화
182 • 3. 전통의 발견, 형식 미학의 전유와 되받아쓰기
189 • 4. 반근대 또는 근대 껴안기로서의 생명사상
198 • 5. 결론
김창술 시의 근대성
200 • 1. 서론
203 • 2. 근대의 지향과 지양의 경계
211 • 3. 현실의 모순과 근대의 이중성
227 • 5. 결론
218 • 4. 민족해방 의식과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거리
백석 시와 탈식민적 글쓰기
229 • 1. 서론
231 • 2. 기억하기, 시간의 공간화와 사유된 시간
239 • 3. 저항하기, 탈이분법적 글쓰기와 반근대
249 • 4. 결론
유진오 시 읽기
251 • 1. 서론
258 • 2. 해방기 현실과 현실의 문학적 형상화
269 • 3. 창 안과 창 밖, 창과 창의 거리
281 • 4. 결론
신경림의 후기시와 혼종적 민중상
283 • 1. 서론
287 • 2. 민중의 시적 알레고리, 풍자성과 우의성의 간극
297 • 3. 중심의 일면성과 다의적 민중상
313 • 4. 결론
3부
고은 시에 나타난 군산지역 형상화의 의미
316 • 1. 군산을 살짝 들추면 우리의 아픈 현대사가 쏟아진다
319 • 2. 만인보' 속의 군산과 '군산' 속의 만인보
327 • 3. 혼종의 시공간과 문화적 식민성
333 • 4. 군산을 살짝 들추어야 하는가, 살짝 감추어야 하는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전북지역 시문학의 탈식민성
340 • 1. 서론
342 • 2. 근대의 이중성과 지역문학의 양가성
351 • 3. 전복적 상상력, 기억하기와 전유하기
368 • 4. 결론
전북 지역 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369 • 1. 서론
370 • 2. 전북 지역 시문학의 연구 현황
381 • 3. 근대문학, 지역문학, 전북 지역 시문학의 정체성과 과제
389 • 4. 결론
391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