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62445310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0-06-10
책 소개
목차
제1장 한국 근대시와 기차가 놓인 길
1. 서론
2. 풍경으로서의 근대와 북쪽을 향한 철로
3. 근대의 이중성과 주체의 양가성
4. 결론
제2장 정지용의 ‘집’ 찾기와 여로
1. 서론
2. 이미지즘의 전개와 詩作 경향
3. ‘집’ 이미지의 변모 양상
4. 결론
제3장 백석 시와 토포필리아
1. 서론
2. 공간론의 심상지리와 인문지리학의 장소론
3. 과거의 공간과 기억의 장소애
4. 여행자의 시선과 현실의 장소감
5. 만주의 무장소성과 고향에의 회귀의식
6. 결론
제4장 해방기 문학의 내적 형식과 길 모티프 연구
-이용악의 시와 허준의 「잔등」을 중심으로
1. 서론
2. 두 작가의 길 떠나기와 그 여로
3. 길 위의 두 작가와 그 내면풍경150
4. 결론
제5장 박봉우 시의 ‘나비’와 비상
1. 서론
2. 이데올로기를 비상하는 ‘나비’
3. 근대 지향의 ‘나비’와 근대에 저항하는 ‘나비’
4. 광기로서의 ‘나비’
5. 결론
제6장 바람의 시인-조태일론
1. 바람의 이미지와 그 이중성
2. 근대의 바람, 억압과 부자유의 동력학
3. 근대에 대한 사유와 저항 의지
4. 근대의 성찰과 근원적 생명력의 회귀
5. 고향으로부터 고향으로 부는 바람
제7장 그대에게 가는 풍경 혹은 나를 찾아가는 시간
-양병호, <시간의 공터>(모아드림, 2004)론
1. 카오스, 가상과 현실의 경계
2. 그대를 향한 두 갈래의 길
3. 그대와 나의 거리
4. 그대와 나, 그리고 우리가 놓여진 시간
제8장 이용악의 「북쪽」 읽기
1. 서론
2. 「북쪽」의 구조와 의미
3. 북쪽의 의미, 전근대와 근대의 변증
4. 남쪽의 의미, 중심에 대한 욕망과 좌절
5. 결론
제9장 신동엽의 「香아」 읽기
1. 서론
2. 「香아」의 의미 따라가기
3. 근대와 근대화의 논리 -“무지개 빛 허울”과 “기생충의 생리”
4. 사이비근대화와 식민질서 -“얼굴 생김새 맞지않는 발돋음의 흉내”
5. 현실극복을 위한 대안적 전망 -“우리들의 고향 병들지 않는 고향”을 위하여
제10장 김수영의 「어느날 古宮을 나오면서」 읽기
1. 서론
2. 정당함과 정당하지 못함 혹은 옹졸함과 옹졸하지 않은 것
3. 중심과 주변에 대한 소시민의 자기풍자
4. 결론
제11장 신경림의 「아버지의 그늘」 읽기
1. 서론
2. 아버지, 전통과 고향의 상징적 계보학
3. 아버지의 그늘, 지양과 지향의 변증적 자기 연민
4. 결론
제12장 한국 근대시와 영미시의 영향 관계 읽기
1. 들어가며
2. 소년, 최남선과 바이런
3. 태서문예신보, 김억과 예이츠
4. 진달래꽃, 김소월과 예이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