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야기/디자이너/디자인 실기
· ISBN : 979119832523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4-02-26
책 소개
목차
인사말 | 최슬기
여는 글 | 김린, 김형재
연표
• 배리어프리 연표 | 조예진
좌담
• 라운드 테이블
기획
• 우리는 모두 이 안에 함께 있습니다:
신체적, 정서적 미술관 접근성 향상 프로그램과 쉬운 글 해설 기획하기 | 추여명
• 모두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모두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웹, 모바일) 접근성에서 타이포그래피 | 김대년
• 접근성: 감각 기호로 번역되는 시청각 기호 | 서수연
• 쉬운 정보가 말하는 정보 접근성 | 주명희, 홍사강
프로젝트
• 점자 만들기 키트, ‘점킷’ | 노유리
• 프리즘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 원희승
• 초과하는 몸, 엇갈리며 연결되는 말 | 이주현
• 점자와 그림을 같은 자리에 놓기: 대체 텍스트에서 병렬 텍스트로 | 이솜이
• 시각예술 전시의 접근성을 위한 배리어프리 실천하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제23회 졸업 전시의 배리어프리 기획을 기반으로 | 박정원
• 서울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에서 모두의 1층까지 | 홍윤희
• ‘유니버설 디자인’, 디자이너들이 찾는 유토피아: 그러나 존재하지 않은 | 정태영
부록
• 접근성 작업자를 위한 키워드 사전 | 이충현
비평
• 긴장과 설렘으로 만난 타이포그래피의 세계 | 장근영
• 배리어프리 예술을 원합니다 | 김환
• 공연이 전시가 될 때:
손영은의 〈종이울음〉과 양위차오의 〈칠판 스크리보폰〉 | 김뉘연
• 타이포잔치 2023 리뷰 | 제임스 채
• 하이 리스트 하이 리턴: 《부산현대미술관 정체성과 디자인》 | 김수은
• 에벌레 시절부터 지켜본 범나비 | 심우진
논고
• 기능적 이미지의 참조적 활용을 통한 창작과 그 예시 | 배민기
• 형태와 구조 분석을 통한 한글 명조체 세분법 제안
—sm세명조, sm신명조, sm신신명조, 산돌명조, 윤명조를 중심으로 | 박미정
• 점자를 포용하는 타이포그래피 및 인쇄를 위한 지침들 | 조예진
새로운 계절
• 왜 이렇게 오래 걸렸나? | 니나 파임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2022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2023
학회
참여
저자소개
책속에서
배리어가 없는 완벽한 환경을 구현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중요한 것은 나의 행동이 변화를 일으키는 믿음이다.
-「배리어프리 연표」
일반적으로 문턱을 없애는 것을 배리어프리(barrier-free)라고 부르지만, 눈에 보이는 배리어를 없엔 곳에도 여전히 배리어가 존재한다. 따라서 ‘배리어가 없다’ 혹은 ‘배리어를 없앤다’는 의미보다 ‘배리어를 인식하고 그 존재를 확인한다’는 것에 무게를 둔 표현을 뜻한다.
-「배리어프리 연표」
… 디자인과 시각 미술 안에서 접근성이라는 것 자체를 개념화하기도 하는 것 같아요. 디자이너 혹은 작가 자신이 접근성을 이해하고 있고 이렇게 색다르게 다룰 수 있음을 과시하는 식의 미학적 접근 사례들을 접한 적이 있고, 그런 시도들은 오히려 접근성이 정말 필요한 사람들을 소외시키기에 불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라운드 테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