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98528520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5-06-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남북, 적대국에서 우호국으로 그리고 글로벌로
1. 국제관계 속의 남북관계
2. 이승만 대통령의 북진통일론은 틀렸다!
3. 6·15의 길과 6·25의 길
4. 아직도 끝나지 않은 6·25 한국전쟁
5. 오고가면 통일이다!
6. 일본의 군국주의와 그 몰락
7. 이토의 길과 안중근의 길
8. 디아스포라 코리안 – 일본
9. 디아스포라 코리안 – 고려인
10. 디아스포라 코리안 – 미국
11. 콘스탄티노플에서 이스탄불로
-유럽과 아시아의 관문
12. 울란바토르와 칭기스칸
13.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를 품은 나라
14. 유럽연합이 주는 교훈
15. 미중 패권경쟁 시대, 코리아의 역할
16. 미국 대외 전략 변화와 한반도 평화
17. 세계는 지금 전쟁 중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18. 세계는 지금 전쟁 중
-팔레스타인 전쟁이 주는 교훈
19. 12·3 계엄 사태와 한미동맹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동맹
20. 여성이 만들어가는 한반도 평화
21. 미 의회의 한반도 평화선언 결의안
22. 정전협정 70년,전쟁을 끝내고 평화로!
-워싱턴DC에서 진행된 시민평화 운동
23. 민화협 프랑스협의회와 함께하는 공공외교를 기대한다
나가며: 피스메이커를 완성하는 길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2024년 12월 3일 친위쿠데타를 감행한 윤석열 대통령을 4개월에 걸친 헌법소원을 통해 파면했다. 공권력에 의한 피 흘림 없이 평화적으로 내란을 제압한 것이다. 해방 이후 인민민주주의 혁명을 완성했다고 자찬했지만, 세월이 흘러 관료주의와 시대착오적 3대 세습 정권을 유지하는 북한에 비해 도덕적 우위는 우리에게 있다. 종북(從北)의 이유도 명분도 없음이 명백하다.
북한은 2023년 말 남북관계를 교전 중에 있는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했다. 2021년 8차 당대회에서는 노동 당 규약 전문에 있던 남조선혁명론을 수정했다. 어쩌면 북한이 새로운 길로 먼저 들어섰는지 모른다. 전쟁이 아닌 상생의 길로 들어서기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세월이 흘러도 답은 같다. 평화를 위해서 남은 북을, 북은 남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남에서 북으로, 북에서 남으로 오가는 길을 더 다양하고 넓게 만들어야 한다. 서로 오가는 길에 어려움이 없을 때 사실상의 통일은 시작될 것이다. 과정으로서의 통일은 오고가야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