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91198700988
· 쪽수 : 433쪽
· 출판일 : 2025-03-0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개정판 서문
2025년판 서문
제 1 부 예수님께서 주님이신 교회의 모습
1. 예수님께서 주인이 되시는 교회의 모습
2. 교회 절기에 대한 바른 이해
제 2 3. 공예배의 방향: 칼빈과 개혁신학의 성경적 입장에서 본 한국 교회 예배 개혁의 과제_47
4. 헌상에 대한 성경 신학적 이해_85
제 2 부 교회의 예배
3. 공예배의 방향: 칼빈과 개혁신학의 성경적 입장에서 본 한국 교회 예배 개혁의 과제
4. 헌상에 대한 성경 신학적 이해
3. 3. 공예배의 방향: 칼빈과 개혁신학의 성경적 입장에서 본 한국 교회 예배 개혁의 과제_47
4. 헌상에 대한 성경 신학적 이해4
제 3 부 교회의 제도와 직분들
5. 개혁파 교회 제도와 교회의 직원들
6. 해외 교회의 임직자 선출, 교육, 사역 분담의 모범적 사례
7. 목사직과 설교에 대한 바른 이해
8. 개혁파적 목회는 어떤 것인가?
9. 한국 교회의 연합 문제에 대한 교의학적인 한 성찰
제 4 부 성숙한 교회를 위하여
10. 교회 회원의 바르고 성숙한 의식
11. 다른 종파나 다른 종교와의 관계
12. 성경과 현실 모두를 중시하는 성경 독자들로서의 그리스도인
13. 전체 구조로 본 요한 계시록 이해
14. “영성”개념의 문제점과 성경적 경건의 길
제 5 부 교회와 세상
15. 우리가 지향하는 건강한 교회는 과연 어떤 교회인가?
16. 기독교적 문화 변혁론부록참고 문헌7성숙한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월이 가도 이 책에서 제시하는 ‘성경적인 방향’으로 한국 교회가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은 더욱 강하게 일어난다. 교회가 그와 다른 방향으로 나갈 때는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
필자가 섬기는 언약 교회에서는 직분자들이 이 책을 가지고 직분에 대한 공부와 교회에 대한 공부를 한다. 그런데 얼마 전에 여수의 백초 교회에서 제직들을 훈련시킬 때 이 책을 읽히고 같이 생각하게 하셨다는 말씀을 들었다. 깊이 감사해 하면서 많은 교회들이 그런 예들을 본받아 갔으면 한다. 더욱 많은 사람들이 이 길로 같이 나가기를 바라면서 다시 이 책을 세상에 내보낸다. ”(2025년판 서문 중에서)
“성육신은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가져오시고, 진행시켜 나가시는 사역의 기초가 되는 일이다. 성육신 없이는 하나님나라가 이 땅에 침입할 수 없다. 성육신 하신 성자가 계셔야 그가 하나님 나라의 온전한 의를 보이시고, 그 의를 가르치시며, 그 의를 우리에게 가져다주실 수 있다. 결국 예수님은 이 땅 위에 하나님 나라를 세우시고, 십자가의 구속 사건을 통해서 우리로 그 나라 백성이 되게 하시고, 이 땅에서 이미 그 나라 백성으로 살며, 이 땅에서 진행하고 성장하며 충만해 가는 그 나라의 극치를 대망하도록 하기 위해 이 땅에 오신 것이다. 이것이 성탄의 기본적인 의미다.(1장 중에서)
“우리의 문화 변혁적 사역은 근본적으로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구속 사역에 의존하는 것이며, 그것을 우리에게 적용시키시는 성령님의 사역에 부속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문화 변혁 사역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열매로 나타나야 하며(의식적으로 그리스도와 상관없는 문화적 활동은 기독교 문화 사역이 아니다!), 그 동기에 충동력의 근원이 성령 하나님에게 있다(따라서 기독교 문화 사역은 반드시 영적인 활동이어야만 한다!). 의식적으로 그리스도와 성령님께 의존하는 문화 변혁 사역만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문화 사역이며, 우리를 창조하시고 구속하신 하나님의 의도를 실현하는 사역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문화 변혁 사역은 결국 중생의 열매이다. 그리고 그런 것만이 하나님 나라적[神國的]인 것이다. 중생한 마음과 존재로부터 나오지 않는 문화 사역은 하나님 나라적인 것일 수 없고, 따라서 영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의식적으로 성경에 온전히 표현된 하나님의 경륜 전체를 통해서 가르침을 받은 사람들이 그 성경적 가르침에 따라서 자신들의 개인적 사회적 삶을 주께 다 드리는 헌신의 삶으로 표현되는 문화적 활동이 요청된다.”(16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