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라시아와 한반도의 비전 평화·통일·통합

유라시아와 한반도의 비전 평화·통일·통합

유경석, 김해순, 신만섭, 정무형, 이승주, 오종문, 진윤일 (지은이)
지혜사랑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라시아와 한반도의 비전 평화·통일·통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라시아와 한반도의 비전 평화·통일·통합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9882211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7-15

책 소개

한반도와 더 나아가 동아시아는 30여년 전 냉전해체 이래로 갈등과 충돌 위기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남북한은 2019년 북미간 하노이 협상 결렬 이후 대결구도가 심화되고 있고, 미중간의 경제적, 군사적 마찰 또한 역내 안보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목차

서문 / 4

제1부 평화·통일·통합의 이론적 이해

01 오리엔탈리즘과 탈식민평화: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평화 연구의 한계와 대안 이승주
Ⅰ. 들어가는 말 / 21
Ⅱ. 제국주의의 유산과 탈식민주의 / 23
1. 제국주의의 유산: 어제와 오늘 / 23
2. 오리엔탈리즘과 탈식민주의 / 24
1) 담론으로서 오리엔탈리즘과 문화적 헤게모니 / 24
2) 후기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 28
Ⅲ. 자유주의평화와 탈식민평화 / 31
1. 신식민주의의 산물: 자유주의평화 / 31
2. 탈식민평화와 그 대안 / 35
Ⅳ. 결론과 시사점 / 41

02 통일에 대한 이해와 통합의 이론적 논의 김해순
Ⅰ. 들어가기 / 49
Ⅱ. 통일에 대한 이해와 통합의 이론적 논의 / 50
1. 통일에 대한 이해 / 50
2. 통합의 이론적 논의: 어제와 오늘 / 51
1) 통합에 대한 이론적 이해 / 51
2) 통합의 토대로써 사회적 결속력(응집력)(social cohesion) / 57
3) 사회 결속(응집력)의 정도에 대한 분석 도구 / 64
Ⅲ. 결론 / 75

제2부 한반도 분단과 갈등: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미국의 한반도 정책

03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뒤틀어진 한일관계 신만섭
Ⅰ. 들어가면서 / 85
Ⅱ. 광복 이후 한일관계가 근본적으로 뒤틀어진 배경,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86
1.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한국 관련 쟁점조항 / 87
1) ‘패전국 일본이 한국의 독립을 인정’한다? / 87
2) 한국은 어떻게 태평양전쟁 승전국의 지위에서 지워졌나? / 89
2. 샌프란시스코 조약이 낳은 사생아, 한일기본조약과 한일청구권협정 / 93
1) 한일기본조약의 쟁점 / 93
2) 한일청구권협정의 쟁점 / 94
Ⅲ. 한반도 병탄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 / 97
1. 일본의 한반도 ‘식민지 지배’는 무효다 / 98
2. 식민지 배상요구 / 100
3. 반인륜(인도)범죄(crimes against humanity) / 103
1) 위안부, 강제징용인 동원에 대한 한일 간 개인배상청구권 논란 / 104
2) 위안부, 강제징용인 동원은 ‘반인륜범죄’다 / 105
Ⅳ. 나가면서 / 109
1. 승전국 지위, 식민지 배상, 전쟁강제동원 단죄/ 109
2.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 110

04 정전 70년: 미국의 패권정책과 뒤틀린 한반도 평화 유경석
Ⅰ. 들어가기 / 115
Ⅱ. 연합국의 한반도 정책: 한반도 분단 배경, 남북한 정부 수립 / 117
1. 제2차 세계대전 승전국의 종전관리 협정: 한반도 자치능력 박탈 / 117
2. 미국과 소련의 동북아 전략 및 한반도 분단과 남북한 정부 수립 / 118
3. 미국의 핵심 전략: 핵폭탄, 한미군사협정 체결 / 120
4. 한반도 분단의 대내외적 요인 / 121
Ⅲ. 한반도 분단 고착화 / 122
1. 6.25 전쟁 / 122
2. 샌프란시스코 조약과 한반도 / 124
Ⅳ. 미국의 동북아 정책과 북한 핵 의제화: 남북한 관계 변화와 대북 핵 정책 / 125
1. 미국의 동북아 정책과 남북한 관계 변화 / 125
2. 미국의 북한 핵 의제화와 남한의 북한 핵에 대한 정책 / 127
V. 미국의 대북 핵무기 통제정책과 남한의 대북 핵 개발에 대한 정책 변화 / 129
1. 미국의 핵 발전소 대신 에너지 수요를 위한 북한 경수로 건설 시도 / 130
2. 북한의 핵 문제와 북·미관계의 파열과 함께 찾아 온 남북관계의 파탄 / 132
3. 윤석열 정부의 대북 강공과 ‘강 대 강’으로 치닫는 남북관계 / 135
4.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과 동북아의 긴장 고조 / 136
Ⅵ. 결론: 평화의 길을 모색하는 제안 / 137

제3부 평화·통일·통합을 위한 정책

05 한반도의 봄을 위한 경제적 상호의존의 증대와 평화 구축 오종문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47
Ⅱ. 경제적 상호의존과 군사분쟁 이론 / 150
Ⅲ. 경제적 상호의존과 군사분쟁 연구 설계 / 154
1. 연구범위 / 154
2. 모형, 변수 설정 / 156
1) 종속변수: 군사분쟁 / 경제적 상호의존 / 157
2) 통제변수 / 159
Ⅳ. 경제적 상호의존과 군사분쟁 분석 / 162
1. 경제적 상호의존과 군사분쟁 기초통계 분석 / 162
2. 경제적 상호의존과 군사분쟁 관계 회귀분석 / 165
Ⅴ. 결론 및 한계 / 172

06 독일 통일과 동서방 국가들과의 통합 정책: 서독 정치 지도자들을 위주로 정무형·김해순
Ⅰ. 들어가기 / 179
Ⅱ. 독일 통일과 동서방 국가들과의 통합 정책: 서독 정치 지도자들 / 180
1. 서독 초대 총리 아데나워의 서방과의 통합 정책 / 180
1) 민주주의 초석을 놓고 외교 방향을 설정 / 180
2) 서방 국가와의 통합 정책, 반공주의를 넘어 소련과의 대화 추진 / 181
3) 서방 통합을 위한 대화와 화해: 이스라엘에 배상, 프랑스와의 엘리제 조약 체결 / 183
4) 서방 통합을 통해 유럽 경제 통합 촉진: 회원 국가들의 공동 번영
증대 도모 / 185
5) 서방 통합을 통한 안보 확보와 평화 유지 / 186
6) 서방 통합을 통한 정치적 갈등 해소와 민족주의 극복 노력 / 188
7) 연합국과 협력하며 서독의 독립성과 자율성 유지 / 189
2. 동독 및 동구권을 품은 브란트 동방정책 / 190
1) 브란트의 동방정책 / 191
2) 동서독의 기본조약 / 193
3) 브란트의 총리직에서의 사퇴 후 정치 활동 / 196
3. 슈미트의 동서독 대화를 통한 안보 확보와 미소의 미사일 감축 모색 / 196
1) 내독(동서독) 관계 심화 추구 / 198
2) 프랑스와의 관계 진전과 유럽 평화 통합 추구 / 198
3) 동서방 국가와의 안보와 데탕트를 위한 헬싱키 조약 / 199
4) 중거리 미사일 배치와 이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 201
4. 독일통일과 유럽통합을 달성한 콜 / 203
1) 안보 정책 계승 / 203
2) 독일과 프랑스 관계: 유럽통합의 기둥 / 204
3) 동독과의 관계 심화: 동독 총리 초대와 독일 통일 달성 / 205
Ⅲ. 결론 / 208

특별 기고논문

07 사회 통합을 위한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진윤일
Ⅰ. 서론 / 217
Ⅱ. ESG경영의 개념적·이론적 논의 및 구성 요소 / 218
1. ESG경영의 개념적·이론적 논의 / 218
2. ESG의 구성 요소: 기관별 차이점과 공통 요소 / 220
Ⅲ.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및 주요 요소 / 222
1.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필요성 / 222
2.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각 요소별 세부 내용 / 224
1) 환경경영(Environmental Responsibility) / 224
2) 사회책임 경영(Social Responsibility) / 226
3) 지배구조(Governance) / 229
Ⅳ.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평화와 사회 통합을 위한 사례들과 시사점 / 231
1.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평화와 사회 통합을 위한 사례들 / 231
2. ESG경영에 기반한 문화예술단체의 활동: 평화와 통합을 위한
기여점 도출 / 236
V. 결론 / 238

저자소개

유경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동 대학교 노동대학원에서 석사를, 경희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간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에서 운영실장을 역임하였다. 숭실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겸임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했다. (사)한국 ILO협회 연구위원, 국민권익신문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유라시아평화통합연구원 이사장이다. 저서는 『제4의 물결의 4중주: 4중혁명(4차산업혁명, 생명공학, 기본소득, 직접민주주의)으로 미리 들여다 본 다가 올 세상』(2018)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해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 정치학과에서 학ㆍ석사 학위를 하고 독일 빌레펠트대학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유라시아평화통합연구원 원장이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에서 한국학 학과장 및 부교수로 재직하였다. 미국 스탠포드대학 사회학과에서 객원연구원을 역임했고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평화의 거울: 유럽연합’(2022)을 포함 총 5권의 단독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공동저서 14권 및 다수의 논문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신만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툴루즈 사회과학대학(Universite des Sciences Sociales de Toulouse)에서 정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경대학교 등에서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평화통일시민연대 남북경협위원장으로 그리고 유라시아평화통합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은 "유라시아 물류 통로의 정치경제적 파급효과(2014)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정무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국무성 외교연구원에서 강사를 지냈고 귀국하여 호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한림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교수를 그리고 부산의 영산대학교에서는 교수와 학장으로 재직했다. 대통령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 문화부 및 과학기술부 장관 자문위원 등의 직책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광주 과학기술원 특별대사를 지내고 현재 국회 사단법인 한국조정협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승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오공과대학에서 경영학 학사를 그리고 독일 마그데부르크 대학에서 평화갈등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박사학위 준비 중이다. 독일 아프리카의미래(AfricAvenir International)라는 카메룬 배경의 비영리 기관에서 탈식민주의 관련 연구를 하였다. 현재는 유라시아평화통합연구원에서 청년연구위원장을 맡고 있다. 그 외에도 정부 장학금을 통해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협력부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바 있다.
펼치기
오종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북한학과에서 대외관계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국제관계학과 강사로 있으며 중앙대 동북아개발협력연구소 선임연구원, 연세대 통일클러스터센터 연구위원. 코리아연구원 연구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한반도 갈등 해결을 위한 평화적 통합 방향 모색』(2021), “남북한 교역의 변화와 군사적 갈등 관계”(2024), “남북한 인권과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 협력 방안”(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진윤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과 모스크바 국립음악원에서 한국인 최초로 비올라 연주 박사학위를 받았다. 목포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를 역임했으며 세계 유수의 음악 콩쿠르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부터 연주단체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Academy of Passion & Sharing APS symphonia)’을 창단해 대표와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무가와 현악 합주를 위한 씻김굿 中 제석거리』(2023),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및 평가지표 구성 요소”(2024)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