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당신이 보지 못한 한국전쟁, 포로와 판문점

당신이 보지 못한 한국전쟁, 포로와 판문점

전갑생, 김용진, 최윤원 (지은이)
뉴스타파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당신이 보지 못한 한국전쟁, 포로와 판문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당신이 보지 못한 한국전쟁, 포로와 판문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9893324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06-25

책 소개

당신이 보지 못한 한국전쟁 시리즈 3권. 시리즈의 전작과 마찬가지로 뉴스타파 해외사료수집팀이 미국 국립문서기록청(NARA) 등에서 수집한 한국전쟁기 포로와 판문점 관련 사진과 영상, 도면, 지도 등을 선별해서 수록했다. 또 공동 편저자인 성공회대 전갑생 교수와 뉴스타파 김용진, 최윤원 기자가 해제를 붙였다.

목차

프롤로그
1장 존재로서의 포로
2장 장소로서의 수용소
3장 포로 재교육
4장 판문점과 포로 협상
5장 판문점과 DMZ

저자소개

전갑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 뉴스타파 전문위원과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와 냉전평화연구센터장.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냉전기 포로, 수용소, 학살 그리고 세계 여러 아카이브 조사 방법과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김용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스타파 기자,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교수,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 ICIJ 회원, 다큐멘터리 감독. KBS 탐사보도팀장과 뉴스타파 대표를 역임했다. 다큐 영화 <압수수색-내란의 시작>, <족벌- 두 신문 이야기>를 연출했다.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당신이 보지 못한 한국전쟁> 3부작 시리즈를 기획 연출했다. 저서로 <압수수색> <친일과 망각> <그들은 아는, 우리만 모르는> 등이 있다.
펼치기
최윤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스타파 데이터개발팀 팀장으로 일한다. 데이터를 주로 다룬다. 박근혜·최순실 40년 우정 동영상, 노무현 친필메모 266건, 동백림 사건 서훈 공적서 등을 발굴 보도했다. 저서로는 <세상을 바꾸는 데이터저널리즘 with 뉴스타파>(공저), <윤석열과 검찰개혁>(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글씨체를 살펴보면 붓 같은 필기구로 쓴 글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혈흔 같은 게 글자 주변에 묻어있어 혈서로 보인다. 우리 현대사의 한 순간에 그대로 멈춰버린 이미지. 이 소리 없는 아우성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이들은 어떻게 이 열차에 타게 됐을까? <프롤로그 중>


한국전쟁 동안 포로로 잡힌 조선인민군 간호장교와 간호병은 모두 668명이다. 이들은 정전협정 이후 단 한 명도 빠지지 않고 북한 송환을 선택했다. 이들은 ‘2부산(병원) 포로수용소’ 6수용동(2개 천막)에서 아동 25명(영유아 4명 포함)과 함께 집단 수용됐다. <프롤로그 중>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포로수용소에서 17만여 명이 이런 카드에 등록됐다. 하지만 이 기본인적기록 카드에서 포로 특성을 규정하는 ‘반공포로’ 라든지 ‘친공포로’, ‘악질포로’라는 단어는 찾아볼 수 없다. 포로를 구분하는 이런 수식어는 언제, 누가, 왜 붙였는지, 한국전쟁기 포로라는 존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살펴보자. <1장. 존재로서의 포로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