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의 진로선택
· ISBN : 979119905137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5-08-06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AI 시대에도 빛나는 직업들
수공업 현장의 이야기
-자동차 정비사 022
: 아이스크림 판매원에서 자동차 튜닝 업계 스타가 된 지미 펠카
-바이올린 제작사 052
: 미텐발트의 바이올린이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이유
-제빵사 076
: 450년 전통을 자랑하는 독일 최장수 베이커리, 아들(ADL)
-모피 제작사 097
: 모피의 재해석, 비닐이 아닌 자연을 입으세요!
-도자기 화가 126
: 유럽 최초의 도자기 제조소, 마이센
-목각 피규어 제작사 151
: 에르츠산맥에는 천사의 마을이 있다
-맥주 양조사 176
: 천년의 양조장, 바이엔슈테판
-정형제화 제작사 | 족부 치료사 202
: 당신의 발 건강을 책임집니다
-모자 제작사 226
: 패션의 완성은 머리 위에서
-지붕 기술자 249
: 하늘 정원을 짓는 사람들
-수술 기구 제작사 275
: 바늘보다 가느다란 수술 가위
-플로리스트 303
: 꽃과 향기의 잔치를 디자인하다
부록
직업교육 지원 절차 32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독일의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직업교육에 참여하는 반면, 한국에서는 일부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의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부담스러운 비용이 주요한 요인일 수 있다. 이러한 제도적 한계로 인한 미흡한 부분은 국가 차원에서 보다 책임감 있게 모니터링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직업교육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큰 이유는 학생들의 취업률을 기준으로 학교를 평가하는 시스템에 있다고 본다. 높은 취업률은 학교의 교육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여겨지며,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데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성향이나 관심사, 재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낮은 임금일지라도 채용을 보장하는 기업들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훈련생들에게 상식 이하의 육체적, 정신적, 감정적 노동을 강요하는 열악한 환경으로 이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