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99055605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5-01-13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1 자그마한 책방 둘
2 책과 사업, 그 시작
3 들고 있는 패와 타이밍
4 내스비
5 1963년
6 해군으로 떠나다
7 스튜어트 섬, 그리고 랜스를 만나다
8 사제관에서 일하다
9 항해를 떠나다
10 잠시 도둑이 되어
11 다시 비극이
12 라바울 도착
13 걱정하세요
14 집에서 온 편지
15 사라지다
16 순순히 가지 마오
17 매드해터 맨션
18 결혼, 대마초 그리고 동물들
19 마법 같은
20 더 저항하고, 덜 순응하라
21 청소년 지원 활동
22 집에서 비추는 빛
23 집으로
24 랜스의 모험
25 아들을 찾아서
26 파란 눈의 소년
27 세상 끝 책방
28 홈스트리트
감사의 글
리뷰
책속에서
뉴질랜드 남섬 끝자락에 마나포우리 호수가 있다. 호숫가 힐사이드 로드에서 홈스트리트로 들어서면 작고 화사한 책방이 보인다. ‘자그마한 책방 둘’이다. 비스듬히 마주 서 있는 책방은 온통 초록 수풀로 둘러싸여 있다. 곳곳에 독특한 소품이 자리하며 반려동물 몇 마리도 오가고 있다. 사뭇 궁금증을 자아내는 곳이다. 9월 말에서 4월 중순까지 매일 아침 나는 이 ‘자그마한 책방 둘’의 문을 연다. 뉴질랜드 남섬의 아름다운 풍광이 한눈에 펼쳐지는 남부경관도로와 힐사이드 로드 교차로 한쪽에 작고 산뜻한 녹색 자동차가 서 있다. 나의 1961년식 피아트 500이다. 이 자동차에는 ‘뉴질랜드에서 가장 작은 서점’이라는 문구가 간판처럼 쓰여 있다. 아침이 되면 먼저 홈스트리트 모퉁이에 ‘책방 열림’ 알림판부터 세워놓는다. (…) 은퇴 후 즐거운 ‘취미’로 이 책방을 열어야겠다고 마음먹었을 때, 내 나이는 일흔이었다.
해군 병원에서 간호하는 일은 정말 즐거웠다. 첫해에는 매일 아침 강의를 들으며 1959년 런던에서 발간된 508페이지 분량의 왕립해군 병상 직원 안내서로 공부했다. 여기에는 각종 질환, 임종 간호, 외과, 치과, 정신과, 약리학, 독성학 등 많은 의학 과목이 포함되어 있었다. 우리는 여자 병동, 남자 병동, 외과 병동, 수술실, 격리 병동 등에서 실제 병동 실습을 수행했다. 실습 교육은 병상 승무원이 바다로 파견되었을 때 익혀야 할 모든 것을 다루었다. 그럼에도 왜 우리는 3년 후 제대할 때 아무런 자격증도 취득하지 못했을까? 왜 우리는 오클랜드의 주요 병원과 연계되지 못하고 공인 간호사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할 수 없었을까? 왜 우리는 남자들처럼 실제로 바다에 나가지 못했을까? 1986년에서야 마침내 여자들은 비전투용 선박에서, 이후에는 모든 종류의 선박에서 근무할 수 있게 되었다.
사제관에서 일하는 동안 나는 행복했지만, 한편으로는 암울했던 시절 내 영혼을 갉아먹으며 커진 절망감을 어떻게든 이겨내려고 애쓰고 있었다. 내가 할 수 있는 건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것뿐이었다. 한곳에 가만히 오래 머물면 머릿속의 공포가 나를 압도할 것만 같았다. 내가 할 수 있는 건 그 공포의 소용돌이가 나를 덮치기 전에 한발 앞서 계속 움직이는 것뿐이었다. (…) 한곳에 오래 머물러 있으면 모든 것이 벽이 되어 점점 좁혀 오는 것만 같았다. 떠나야 했다. 전보다 더 멀리 떠나야 했다. 때마침 뉴질랜드를 떠날 기회가 찾아왔고 나는 절망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이 절호의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