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9104716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왜 지금 ‘팬데믹 윤리’인가?
서론: 감염병 윤리의 철학적 재구성
1부 ― 팬데믹 위기와 철학의 소명
1장 팬데믹은 사회, 정치, 규범 영역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
1. 사회 영역: 감염의 사회학, 불평등한 재난
2. 정치 영역: 통치의 형식과 민주주의의 경계
3. 규범 영역: 규범 질서의 혼란과 공중보건의 의무
2장 위기 상황에서 철학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3장 철학함의 복원: 누구나 개념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2부 ― 개념공학과 감염병 윤리의 재설계
1장 이론적 고찰
1. 개념공학이란 무엇인가?
2. 개념공학적 재구성: 세계, 개인‐사회, 인간
2장 실천적 고찰
1. 개념공학의 실제
2. 대중의 참여와 넛지
3. 도리(道理)로서의 감염확산방지 의무
결론: 호모 인펙티부스와 철학의 새로운 소명
저자소개
책속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은 감염병이라는 의료적, 행정적 재난은 물론이고, 우리가 오랫동안 당연하게 받아들여 온 인식체계와 가치체계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 규범적인 위기이기도 했다. 다시 말해, 팬데믹은 우리가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가치를 우선시해야 하며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근본적으로 재고하도록 만든 계기였다.
우리는 이제 ‘건강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그동안 당연시 해왔던 숨은 가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물어야 한다. 그 물음의 범위를 인간 내부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동물–환경 간의 상호침투성과 의존성 전체로 확장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철학적 자원이 되는 것이 바로 ‘하나의 세계, 하나의 건강 (One World, One Health)’이라는 패러다임이다.
향후 유사한 감염병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 우리는 방역정책의 형평성과 투명성뿐 아니라, 정치적 대표성과 참여의 윤리적 구조를 새롭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철학은 여기서, 단지 ‘통치의 정당성’을 비판하는 수준을 넘어, ‘재난 상황에서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를 공동으로 사유하는 인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