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김일성 사망일"(으)로 북프라이스의 도서 검색결과 입니다.
9788946081871

김일성 전기

표도르 째르치즈스키(이휘성) (지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35,000원  | 2022-06-23  | 9788946081871
북한의 제도와 북한 사람의 운명을 만든 이는 바로 북한의 설립자인 김일성이다. 사회주의권 몰락 이후 그는 중국식 개혁개방의 길을 거부했는데, 당시 많은 사람들은 이 정권이 곧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권은 건재하다. 저자는 각국의 자료들을 활용해 북한 설립자 김일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서술했다.
9791189809331

김일성 - 하

유순호 (지은이)  | 서울셀렉션
62,000원  | 2020-08-20  | 9791189809331
1912년 출생부터 1945년 평양으로 귀향하기까지 김일성의 33년 동안의 행적을 1930~40년대 만주 무장 항일투쟁을 중심으로 집중 조명했다. 저자는 20여 년 가까이 동북 3성의 항일투쟁 관련 지역 전체를 도보로 답사하며 자료를 수집했다.
9791189809324

김일성 - 중

유순호 (지은이)  | 서울셀렉션
55,000원  | 2020-08-20  | 9791189809324
1912년 출생부터 1945년 평양으로 귀향하기까지 김일성의 33년 동안의 행적을 1930~40년대 만주 무장 항일투쟁을 중심으로 집중 조명했다. 저자는 20여 년 가까이 동북 3성의 항일투쟁 관련 지역 전체를 도보로 답사하며 자료를 수집했다.
9791189809317

김일성 - 상

유순호 (지은이)  | 서울셀렉션
48,000원  | 2020-08-20  | 9791189809317
1912년 출생부터 1945년 평양으로 귀향하기까지 김일성의 33년 동안의 행적을 1930~40년대 만주 무장 항일투쟁을 중심으로 집중 조명했다. 저자는 20여 년 가까이 동북 3성의 항일투쟁 관련 지역 전체를 도보로 답사하며 자료를 수집했다.
9788963571263

모스크바와 김일성

시모토마이 노부오 (지은이), 이종국 (엮은이)  | 논형
22,000원  | 2012-06-15  | 9788963571263
북한 정권의 형성과정에서 구소련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를 외교사료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두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9788995832400

김일성 장군

유길만 (지은이)  | 광성
11,000원  | 2006-07-15  | 9788995832400
9788990607195

김일성 장수건강법

석영환 (지은이)  | 팜파스
9,500원  | 2004-10-15  | 9788990607195
김일성장수연구소 출신의 한의사가 북한의 자연요법과 민간요법을 함께 소개하며 김일성의 장수비법을 밝히는 책이다. 잠을 자면서도 건강을 생각했다는 김일성답게, 건강에 얽힌 재미난 일화가 많이 담겨있다.
9788995081907

박정희 김일성

서대숙, 전형택 (지은이)  | 화전문고
33,000원  | 1999-10-15  | 9788995081907
한국 현대사를 이끌었던 두 인물- 남한의 박정희와 북한의 김일성을 다룬 사진집이다. 1931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해 실력자로 첫걸음을 내딘 김일성과 41년 만주군관학교에 입학한 박정희의 사진을 시작으로 한국사에 획을 그은 중요 사건을 담은 사진자료를 생생한 역사기록과 함께 다양하게 수록하고 있다.
9788946073791

김일성 전기 (양장)

표도르 째르치즈스키(이휘성) (지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46,000원  | 2022-06-23  | 9788946073791
북한의 제도와 북한 사람의 운명을 만든 이는 바로 북한의 설립자인 김일성이다. 사회주의권 몰락 이후 그는 중국식 개혁개방의 길을 거부했는데, 당시 많은 사람들은 이 정권이 곧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권은 건재하다. 저자는 각국의 자료들을 활용해 북한 설립자 김일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서술했다.
9791189809300

김일성 세트 - 전3권

유순호 (지은이)  | 서울셀렉션
150,000원  | 2020-08-20  | 9791189809300
1912년 출생부터 1945년 평양으로 귀향하기까지 김일성의 33년 동안의 행적을 1930~40년대 만주 무장 항일투쟁을 중심으로 집중 조명한 책이다. 저자는 1982년부터 20여 년 가까이 동북 3성의 항일투쟁 관련 지역 전체를 도보로 답사하며 자료를 수집하였다.
9791196009304

김일성 평전 - 상

유순호 (지은이)  | 지원인쇄출판
55,000원  | 2017-01-25  | 9791196009304
그동안 잘못 알려진 우리 민족의 항일독립운동사의 상당부분이 수정되어야 하는 의미가 있다. 신격화 되고 우상화되었던 북한의 김일성이란 인물의 실상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며, 통일 후의 한민족사 기술에도 객관적인 기초가 마련된 셈이다.
9788997871247

김일성 신화의 진실

김용삼 (지은이)  | 북앤피플
34,000원  | 2016-06-04  | 9788997871247
김일성을 수식하는 용어를 분해해 보면 ‘만주’ ‘항일’ ‘무장 독립운동’ 등 세 덩어리로 의미가 분절된다. 저자는 역사적 기록을 통해 그 세 덩어리의 실체를 추적한다. 선입관이나 가치관을 버리고 동북아 관계사적 관점에서 김일성의 행적을 추적한다.
9791195724215

김일성 바로 알기

최영재 (지은이), 당근포스트 (그림)  | 아시아투데이
5,000원  | 2016-02-29  | 9791195724215
9788958640578

소설 김일성 1

이항구 (지은이)  | 이가서
9,500원  | 2005-01-05  | 9788958640578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를 비롯한 북한 권력층 인물과 여러 계층의 북한 주민의 생활상을 형상화한 소설. 남한 출신으로 월북 후 군인, 노동자, 김일성 수행비서, 작가 등 다양한 생활을 해온 지은이가 북한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소설 형식을 통해 제시한다.
9788958640585

소설 김일성 2

이항구 (지은이)  | 이가서
9,500원  | 2005-01-05  | 9788958640585
9788958640592

소설 김일성 3

이항구 (지은이)  | 이가서
9,500원  | 2005-01-05  | 9788958640592
9788957511299

백두산을 팔아먹은 김일성

김기찬 (지은이), 정유진 (엮은이)  | 눈과마음(스쿨타운)
7,500원  | 2004-01-15  | 9788957511299
조총련에서 활동한 이력을 지닌 지은이는 300년에 걸친 국경분쟁의 역사를 살펴보는 동시에, 민족의 재산을 사물화한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죄를 고발하고 있다.
9788975272394

김일성 리더십 연구

이태섭 (지은이)  | 들녘
25,000원  | 2001-06-20  | 9788975272394
김일성의 리더십을 북한 사회의 독특한 체제적 특성인 '수령 체계'의 성립 배경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한 연구서.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인 「북한의 집단주의적 발전 전략과 수령 체계의 확립」을 기본으로 수정과 보완을 거듭한 10년 연구의 산물이다.
9791198565907

특명 : 김일성 시신을 확인하라!

류재복 (지은이), 김기우 (엮은이)  | 정경시사FOCUS
20,000원  | 2024-01-01  | 9791198565907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압축한 인생 서사. 남과 북, 진정한 평화를 위해 목숨 건 도박으로 <특명>을 수행한 류재복 특수임무유공자의 실화를 소설가 김기우가 엮어냈다. 특수임무를 수행하며 냉각된 남북 관계의 돌파구를 찾는 류재복 회장의 스펙터클 실화 장편소설이다.
9791196721046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김민준, 김영란, 박명훈, 박영준, 신은섭, 이형구 (지은이)  | 민족재단
10,000원  | 2022-06-15  | 9791196721046
“통일을 하려면 북한을 알아야 하고, 북한을 알려면 북한의 지도자를 알아야 한다.” 북한의 선대 지도자인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관하여 3040세대 연구자들이 연구를 시작했다. 2022년 최신 학술연구 성과를 모은 이 책이 북한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