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인구와 투자의 미래"(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8754939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확장판 (한·미·중·일 인구 변화, 부의 지도를 바꾼다)

홍춘욱  | 에프엔미디어
15,300원  | 20240220  | 9791188754939
출산율 세계 최저, 노령화 속도 세계 최고 베이비붐 세대 은퇴까지, 이러다가 나라 망하나? 중국 인구도 감소하는 시대, 새로운 기회가 펼쳐진다 인구 구조 변화를 읽으면 돈의 흐름이 보인다 한국의 출산율은 이미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노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돼 향후 50년도 못 가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절반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노동 공급의 큰 축을 맡아왔고 가장 부유한 세대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겹치면서 “이러다간 나라 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현실로 닥친 인구절벽은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투자자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가장 신뢰받는 애널리스트’(조선일보·에프앤가이드 선정)로 명성을 쌓은 홍춘욱 박사(현 프리즘투자자문 대표)가 이 책에서 급격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자산시장 대변동에 대비하는 투자 지침을 제시한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 경제에 큰 충격을 주고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이 암울해진다는 우려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홍 박사는 향후 10년간은 경기 전망이 밝다고 본다. AI 시대가 열리면서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고 기업의 비용이 절감되며 노동시장이 유연해지면서 자본 투자도 확대될 것으로 봐서다. 이 책은 투자자들에게 △실질금리 하락에 대비하고 △한국 자산과 미국 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하며 △부동산은 클러스터 지역에 집중하는 한편 해외 부동산 상장 리츠(REITs)에 투자하는 등 다변화해 인구 변화로 인한 ‘자산시장 대변동’을 기회로 만들라고 주문한다. 금, 하이일드 채권 등 대체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방안을 비롯해 추천 ETF와 미국 리츠 ETF 리스트까지 친절하게 제시한다. 글로벌 투자의 시대인 만큼 중국과 일본의 변화도 놓쳐서는 안 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급격한 고령화를 겪는 두 나라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며 중국은 피하되 일본 시장을 노리라고 책은 권한다. 홍 박사는 “변화의 시기에는 멀리 보는 자가 이긴다”며 “장기 전망을 놓치지 말라”고 강조했다.
9791195887347

인구와 투자의 미래 (경제 위기론에 흔들리지 않는 명쾌한 투자 강의)

홍춘욱  | 에프엔미디어
0원  | 20170403  | 9791195887347
애널리스트 홍춘욱의 경제 팩트, 인구절벽 가설과 경제위기론의 진실! ‘58년 개띠’로 대표되는 한국 베이비 붐 세대의 선두 집단이 이제 곧 60세에 도달한다. 1957년부터 1974년까지 18년 동안 태어난 약 1,800만 명이 줄지어 은퇴기를 맞이하는 것이다. 이 거대한 인구 집단이 은퇴하면 우리 경제와 자산시장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일본의 사례에 주목하는 사람들은 베이비 붐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한국은 큰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들이 은퇴하면 생산활동인구가 감소하고, 경제가 어려워지며, 결국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몰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이야기다. 과연 그럴까? 이 책 『인구와 투자의 미래』의 저자이자 조선일보와 에프엔가이드가 ‘가장 신뢰받는 애널리스트’로 선정한 키움증권 홍춘욱 박사는 다연코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체험담이 아니라 각종 데이터와 통계, 거시적인 세계 경제의 흐름 등 그 근거를 들어 살펴본다. ‘퍼펙트 스톰’이나 ‘외환위기’ 등 선정적인 전망으로 ‘인구절벽 공포’를 부추기는 ‘선지자’들에 대한 팩트 폭격이다. 인구감소보다 중요한 것은 자산시장의 버블 여부다. 저자는 일본의 자산시장이 붕괴한 것은 인구감소가 아니라 그동안의 자산시장 버블이 꺼졌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 인구 특성이나 자산시장 특성으로 봐도 은퇴 세대는 시장을 떠받칠 세력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저자는 시장분석에만 그치지 않고 한국 자산시장의 여력, 인구 동학, 정책 측면 등을 차분하게 분석해 제시한다. 또한 저금리 시대에도 가능한 복리투자의 방법, 자산시장의 상관관계를 고려해 위험을 분산하는 포트폴리오 투자의 요령 등을 안내한다. 특히 투자자 성향과 자산 상태를 고려해 공략 가능한 상품과 투자 방법, 고배당주와 미국 리츠(REITs) 상품의 특성까지 상세히 설명해 큰 흐름을 읽고 이를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을 충실하게 담았다.
9791160072051

인구와 부동산의 미래 (인구 변화의 궤적에 숨겨진 부동산 투자의 비밀)

김순환  | 한스미디어
14,070원  | 20171215  | 9791160072051
앞으로 10년, 인구 변화가 만드는 부의 흐름을 찾아라! 이전 50년의 인구 변화에서 이후 10년의 투자 전략을 세운다 2017년 8월 고령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와 인구 감소라는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러나 한국 인구의 고령화가 부동산 시장에 불리한 것만은 아니다. 안정적인 자산 운용을 지향하는 인구가 그만큼 늘어난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인구 변화는 한국 부동산 시장에 다양한 역동성을 보여줄 것이다. 1∼2인 가구 급증과 저출산 고령화는 이미 주거시설과 관련 상품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기도 했다. 신간 《인구와 부동산의 미래》는 우리의 눈 앞에 다가온 인구 감소라는 주제를 부동산 투자의 측면에서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에 대한 향후 10년간의 대응책을 소개한 책이다. 시대를 막론하고 경제의 핵심 요체는 바로 인구였으며, 인구의 변화에 따라 국가와 도시는 흥망성쇠를 반복했다. 눈앞에 다가온 ‘인구절벽’의 위기에서 대한민국의 부동산 투자는 과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 이것은 지금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질문일 것이다. 부동산 시장과 정부 정책을 20여 년 동안 지켜봐 온 저자는 이번 책에서 한국 부동산 시장이 인구 변화와 함께 어떻게 부침을 거듭해 왔는지, 앞으로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냉철하게 분석했다. 독자는 이 책에서 미래 부동산 시장 변화와 투자의 방향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검색어 "인구와 투자의 미래"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