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지식의 지배"(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20037955

호모 이밸루쿠스 (평가지배사회를 살아가는 시험 인간)

김민주  | 지식의날개
14,850원  | 20201015  | 9788920037955
수학능력시험 도중에는 항공기 이착륙마저 멈추는 나라. 시험의 난이도는 전 국민의 관심을 받고, 그 결과에 모든 사람이 울고 웃는. 나는 평가지배사회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시험 인간, 호모 이밸루쿠스입니다. 이 세상에, 대한민국 사람처럼 시험에 목매는 사람들로 가득 찬 사회가 또 있을까?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이쁘네, 잘생겼네 등의 평가 환경에 노출되고, 수없이 평가하고 평가받으면서 시험에 친숙하고 익숙한 호모 이밸루쿠스Homo Evalucus로 자라난다. 특히 공정이 최대 화두로 부각된 한국 사회에서 시험은 그 결과가 강력한 근거가 되어 경쟁우위의 지위와 자격 획득의 정당성을 확보해 주면서 가치가 나날이 높아지는 중이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평가를 하고 또 평가받는 것을 너무도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평가에 지배받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한다. 평가지배사회는 인간을 매우 효과적으로 지배하고 있고, 평가지배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인간은 그에 걸맞게 적응한 호모 이밸루쿠스가 되었다. 그리고 진화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9788989047308

근대 초기 매체의 역사 (매체로 본 지배와 반란의 사회 문화사)

베르너 파울슈티히  | 지식의풍경
22,500원  | 20070308  | 9788989047308
매체로 달라진 역사, 매체로 촘촘해진 역사 매체를 통해 지배와 반란의 사회 문화사를 살펴보는 〈근대 초기 매체의 역사〉. 매체는 인간의 지식과 세계관을 저장하고 전달하면서 사회적 방향을 잡아주고 지배적 힘이 되기도 했다. 역사적으로 보면 제사장과 신녀, 설교자, 춤과 연극도 매체였고 입상이나 궁전도 매체였다. 또한 서신, 신문, 잡지도 역시 매체였다. 저자는 이러한 매체가 없이는 문화도, 사회 변화도 없었다고 말한다. 이 책은 베르너 파울슈티히의 '매체의 역사' 시리즈 중 하나로, 1권 「제의적 성격을 지닌 매체」와 2권「중세의 매체와 공공영역」의 후속편이다. 근대 초기에 지배와 반란 사이에서 사회 변화를 이끌었던 매체 문화의 역사를 살펴본다. 르네상스, 초기 자본주의, 종교개혁, 절대주의, 신문의 탄생 등 근대 초기의 역사적 사건들을 매체를 통해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9791160802979

지식의 세계사 (베이컨에서 푸코까지, 지식권력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해왔는가)

육영수  | 휴머니스트
18,900원  | 20191007  | 9791160802979
진보와 번영을 약속한 서구 사상의 역사, 그 이면에 감춰진 권력의지를 통찰하다! 30여 년간 지식권력의 세계사를 탐구하며 사상과 역사를 한 번에 꿰어낸 역작 지식의 세계사: 베이컨에서 푸코까지, 지식권력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해왔는가》는 서구의 사상적 근대성을 ‘지식권력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풀어쓴 책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볼테르, 제러미 벤담, 프리드리히 니체, 지크문트 프로이트, 미셸 푸코 등 근현대 유럽 최고의 지성들이 길어 올린 사유를 시대적 맥락과 함께 살피고 있어 사상과 역사를 단 한 권으로 읽을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오늘날의 세계를 만든 서구 사상이 어떤 권력의지에 따라 만들어졌는지를, 그리고 비판적인 사상가들마저 보편성의 환상에 얼마나 깊이 얽혀 있었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30여 년간 계몽주의와 지식권력의 역사를 탐구한 육영수 교수가 오랜 연구 끝에 유럽 근현대 지성사를 우리의 시선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각별하다. 《지식의 세계사》는 근대 지식에 깔린 유럽중심주의를 성찰하고 근대성의 유령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어, 지금의 세계를 역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검색어 "지식의 지배"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