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인간관계
· ISBN : 978890115988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3-10-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우리가 이 도시에서 잃어버린 ‘진짜’ 관계를 찾아서
불. 안.
부재중 전화 0통, 아무도 날 찾지 않는다
뒷담화의 기쁨과 슬픔에 대하여
나를 숨죽이게 하는 타인의 시선들
불안하니까, 사람
당신은 내가 아니다, 우리는 다르게 적힌다
공감은 당신에 대한 나의 책임감
불안과 설렘, 그 사이에서
외. 로. 움.
나야 잘 지내지
우리는 가면무도회에 입장했다
누구나 뽑히지 않는 나무 밑동 같은 아픔이 있다
지구에 남은 마지막 공룡만큼
당신이 곁에 있어도 나는 외롭다
사랑은, 원할 때 곁에 있어 주는 것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먼저 용기 내기
인. 정.
내 안의 어린아이가 바라는 것
프로필 사진 속, 당신은 누구신지?
캐릭터가 된 현대인
부러우면 지는 거다?
무플보다는 악플
타인의 취향들과 공존하는 법
부모가 원하는 대로, 사회가 바라는 대로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처럼
처. 음.
누구나 처음은 떨린다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지금은 간 보는 중
몸은 의식보다 빠르다
나와 다른 유전자를 원하는 몸
첫인상의 환상과 함정
관계는 서로 들인 시간만큼 물든다
외. 모.
끌림의 시작, 외모
나의 모든 것은 기호가 된다
똑같은 얼굴의 여자들이 넘쳐 나는 거리
명품 가방은 날 빛내 주지 않는다
미녀는 외롭다
콤플렉스는 김태희에게도 있다
우리의 욕망이 만들어 낸 외모 계급 사회
대. 화.
이야기의 힘
우리가 언어에 섬세해졌을 때
인터넷 기사와 막장드라마에 우리가 빼앗긴 것들
나를 변화시킬 새로운 말
대화가 아닌 명령만 하는 어른들
자세한 이야기는 만나서 하자
침묵보다는 내숭, 내숭보다는 솔직함
진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개. 성.
원본은 사라지고 ‘짝퉁’만 넘쳐 나는 세상
진짜 나다움을 찾아서
위선도 계속되면 위선이 아니게 된다
꿈을 꾼다는 건 나를 믿는다는 것
내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내 안에 숨지 않게, 나에게 속지 않게
취향이 달라지면 우정은 소멸한다
‘지금의 나’를 넘어서서
이 시대가 낳은 ‘자뻑’이라는 병
갈. 등.
타인을 왜곡시키는 나의 선입견들
잘 알지도 못하면서
존재에는 언제나 맹점이 있다
내가 틀릴 수도 있다
참 어려운 그 말; 미안해, 고마워
약자만 지키는 예의
피한다고 끝나지는 않아
지금 공감과 소통을 말하는 이유
불화에서 변화로, 적대에서 경쟁으로
소. 통.
누구와도 일할 수 있는 사람
하는 일은 전문가, 관계는 어린아이
자신의 세계에 머문 채 ‘통’하려는 사람들
상품이 되어 버린 친절
달팽이처럼 살아가는 사람들
뫼비우스의 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세계
누군가에게 마음을 기울이면
건. 강.
‘차도남’과 ‘차도녀’로 살아가는 사람들
내 안의 구겨진 빨래, 콤플렉스에 말 걸기
너무 오래 써온 가면, 벗을 수 있을까
몸과 마음이 달라져야 생각도 달라진다
증오와 자기경멸의 상관관계
냉소적인 태도가 말해주는 것들
왜 유머러스한 사람이 좋을까
가장 경제적인 매력 발산법
쓰레기가 되는 삶들
깊. 이.
내가 준 건 ‘진짜 선물’이었을까
‘저녁이 있는 삶’이 우리에게 묻는 것들
너무 바빠 외로울 틈도 없다는 사람들
사랑도 관계도, 효율적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띄우는 부표, 약속
유목민처럼 관계 맺기
호감보다 얻기 어려운 미운 정
진짜 성공, 진짜 부자
에필로그
혼자, 또 함께, 뜨거운 사람으로 살고 싶다
참고한 책과 영화, 노래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더 이상 다른 사람 앞에서 불안하지 않을 때,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 관심도 없어질 때, 우리는 우리가 그토록 싫어하던 사람으로 늙어 가게 됩니다. 인생이 건조하고 우울해지는 것이죠. 불안의 다른 말은 설렘입니다. 설렘은 내가 다른 사람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p.26 '불안', ‘불안하니까, 사람’ 中
내가 하는 노력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누가 바랄지 생각해 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사실 알고 보면 우리가 쏟는 노력과 정성들은 타인보다는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일 때가 많습니다. (…)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이 아닌,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을 대해야 합니다.
p.28 '불안', ‘당신은 내가 아니다, 우리는 다르게 적힌다’ 中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은 정말 하고 싶은 말은 하지 못합니다. (…) 혹여 짐이 될까 누군가 다가오면 지레 손사래를 치고, 자신 또한 누군가에게 짐이 될까 속으로만 낑낑대는 사회가 되어 버렸습니다. 외롭고 슬프면서도 사람들에겐 “나야 잘 지내지”라는 텅 빈 말을 내뱉는, 지구에서 가장 불행하고 외로운 짐짝 같은 존재들로 변했습니다.
p.41 '외로움', ‘나야 잘 지내지’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