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01251516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1-06-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문
1부. 변화를 가로막는 세 가지 미신
1장. 특별한 사람 vs 특별한 장소 : 인플루언서 미신
오프라 오류 | 에어로스미스 제스처 | 주저하는 CEO | 오피니언 리더와 인플루언서 미신 | 베를린 연구 | 타흐리르 광장에서 일어난(그리고 일어나지 않은) 일 | 아랍의 봄 분석 | 적절한 장소
2장. 행동은 바이러스처럼 전염되지 않는다 : 바이럴리티 미신
약한 유대의 중요성 | 중복성 효과 | 스탠리 밀그램의 엽서 실험 | 약한 유대의 약점 | 트위터 지진 | 페이스북의 블루 서클 | 바이러스 주형
3장. 위대한 혁신이 실패하는 이유 : 고착성 미신
구글의 그레이프프루트 문제 | 한국의 양자 도약 | 구글의 또 다른 그레이프프루트 문제 | 짐바브웨 실험
2부. 변화를 일으키는 자의 각본 : 전염 인프라 설계하기
4장.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 복잡한 전염의 발견
채택을 방해하는 네 가지 장애물 | 친구들의 힘 | 네트워크의 기하학 | 건강 동호회 실험
5장. 밈, 봇, 정치적 변화 : 복잡한 전염의 작용
해시태그의 속도 | 등호의 속도 | 아이스버킷과 그 밖의 밈에 관하여 | 사회적 선을 위한 봇
6장. 전염 인프라 : 넓은 가교의 중요성
네트워크의 틈새를 활용해 출세하는 방법 | 개방형 혁신 시대 | 해시태그 탈취 사건 | 퍼거슨 혁명
7장. 우리와 같은 사람들, 우리와 다른 사람들 : 관련성 원리
나와 비슷하게 건강한(혹은 덜 건강한) 사람 | 관련성의 세 가지 규칙 | 원리 1: 믿을 수 있는 원천 | 원리 2: 연대를 만들라 | 원리 3: 정당성을 확립하라
3부. 25% 티핑 포인트
8장. 뉴 노멀을 찾아서
마녀사냥의 힘 | 코페르니쿠스의 패러다임 전환 | 유치원에 간 비트겐슈타인
9장. 비트겐슈타인과 미투, 그리고 문화적 변화의 비밀
이름 게임 | 티핑 포인트 이후 | 티핑 포인트 역이용 전략
10장. 눈덩이의 힘 : 티핑 포인트 유발 요인
이웃 관찰 | 산탄총, 은제 탄환, 눈덩이 | 말라위 실험 | 옥수수 혁명 | 1000개의 지붕 전략
4부. 부조화와 붕괴와 혁신의 발견
11장. 혁신의 최적화
〈해밀턴〉이 보여준 마술 | 브로드웨이가 조화를 이루는 방식 | 팀의 협력 방식에 관한 새로운 과학 | 그물 팀의 힘 | 중국의 불꽃놀이 네트워크 문제
12장. 편견, 믿음, 변화 의지
NASA의 기후 변화 연구 | 네트워크는 편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아주 느리게 확산된) 의학의 혁신 | 피부색에 따른 카테터 차별? | 탈편향 네트워크 | 바깥쪽 가장자리의 전문가들 | 코치의 마음을 바꾸는 법
13장. 변화를 위한 일곱 가지 전략
전략 1: 전염성에 의존하지 마라 | 전략 2: 혁신가를 보호하라 | 전략 3: 네트워크 주변부를 활용하라 | 전략 4: 넓은 가교를 구축하라 | 전략 5: 관련성을 만들라 | 전략 6: 눈덩이 전략을 사용하라 | 전략 7: 발견을 향상시키고 편향을 줄이는 네트워크를 설계하라 | 이러한 전략들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감사의 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성공적인 사회 변화의 열쇠는 정보가 아니라 규범에 있다는 게 핵심이다. 소셜 네트워크는 단순히 어떤 개념과 행동이 이 사람에게서 저 사람에게로 흘러가는 관이 아니다. 우리가 그러한 행동을 보고 개념을 해석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프리즘이기도 하다. 새로운 개념이 우리에게 어떤 방식으로 다가오는가에 따라 우리는 그것을 거부하기도 하고 받아들이기도 한다. (……)
이 책의 목표는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가 어떻게 그 기능을 발휘하는지 보여줌으로써 사회 변화의 수수께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거리의 시위에서부터 조직의 새로운 경영 전략에 이르기까지(그리고 건강에 좋은 식단의 확산에서부터 태양 에너지의 채택에 이르기까지) 소셜 네트워크는 사회 변화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힘이다.
-「서문」
오프라 윈프리가 트위터를 사용한 것은 트위터가 성공한 이유가 아니라, 트위터의 성공이 가져온 결과이다. 2009년 1월부터 트위터는 매달 기하급수적 성장을 거듭해 2월에 800만 명이던 사용자가 4월 초에는 약 2000만 명으로 치솟았다. 사실, 오프라가 트위터를 사용한 것은 트위터의 성장 가속도가 정점에 이르렀던 무렵이다. 그 후로도 성장은 계속했지만 더 느린 속도로 성장했다.
트위터의 성공에 관한 질문으로는 “어떻게 오프라의 힘을 빌려 트위터를 확산시켰느냐?”가 아니라, “오프라마저 트위터를 사용해 이익을 얻을 만큼 트위터가 그토록 성장한 비결은 무엇인가?”라고 묻는 편이 더 적절하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작은 스타트업 회사나 비주류 정치 캠페인, 미미한 이익 단체 등이 어떻게 잘 확립된 교우 관계 네트워크를 사용해 새로운 움직임을 누구나 아는 이름으로 만드는지 그 비결을 설명해준다. 그리고 여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소셜 네트워크의 스타가 아니라 주변 행위자들이다.
-「1장. 특별한 사람 vs 특별한 장소: 인플루언서 미신」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몇 주일 동안 독일의 유명한 사회학자 카를-디터 오프는 시위의 시발점인 라이프치히로 갔다. 그러고 나서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을 인터뷰했다. 오프는 사람들에게 물었다. "당신은 왜 시위에 참여했나요? 살해되거나 투옥되는 것이 두렵지 않았나요?" 이렇게 라이프치히 시민 1000명 이상을 붙잡고 대화를 시도했다. (……) 사람들을 봉기로 이끈 것은 단순히 시민 억압에 대한 분노가 아니었다. 가난으로 인한 좌절도 부의 꿈도 자유의 약속도 아니었다.
핵심 요인은 바로 소셜 네트워크였다.
독일 시민들이 베를린 장벽 시위에 가담한 것은 친구와 가족이 함께 가담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것을 함께 해냈다. 그것은 집단 공동의 사회적 협응 과정이었다. 자신과 같은 시민들이 시위에 가담하는 것을 본 사람들은 스스로 큰일을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겼고 자신도 거기에 참여해 거들길 원했다.
- 「1장. 특별한 사람 vs 특별한 장소: 인플루언서 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