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209022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09-01
책 소개
목차
서론 위험, 사회, 미디어: 세 개념의 만남
1장 ‘위험’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위험’과 그 주변 개념들 ㅣ 위험을 이해하는 접근 방식
2장 위험은 개인의 문제인가, 공동체의 문제인가
위험의 개인성과 공동체성 ㅣ 두 도시 이야기 ㅣ 위험 문제를 공동체 문제로 보기 ㅣ 공동체 자원 ㅣ 커뮤니케이션 하부 구조 ㅣ 우리는 어떻게 위험을 ‘우리의 문제’로 접근할 것인가
3장 위험 상황에서 사람들은 왜 연대와 적대의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가
위험, 연대, 적대 ㅣ 연대하는 인간들, 적대하는 인간들 ㅣ 연대와 적대의 모순을 설명하는 이론들 ㅣ 디지털 연대, 디지털 적대 ㅣ 줄다리기: 뭉크와 고야 사이에서
4장 미디어는 위험의 해결자인가, 위험의 촉진자인가
미디어의 다섯 가지 차원과 위험 ㅣ 위험 사회에서 미디어 환경은? ㅣ 미디어 환경 속에서의 위험 저널리즘과 위험 보도의 문제 ㅣ 위험 보도의 수용 ㅣ 바람직한 위험 보도
5장 우리는 왜 위험을 과대, 과소평가하는가
위험 인식 ㅣ 위험의 특성에 따른 지각 ㅣ 휴리스틱에 의존하는 지각 ㅣ 위험 지각자들의 특성에 따른 위험 인식 ㅣ 위험 인식 이후 관련 정보의 추구와 처리
6장 위험은 뉴스 미디어에서 어떻게 구성되는가
실제 위험 빈도와 뉴스 미디어에 구성된 위험 빈도는 다르다 ㅣ 위험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외면한다 ㅣ 위험은 정치화된다 ㅣ 위험 관련 사회 갈등이 첨예화된다
7장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는 위험의 도피처인가, 의미의 자원인가
위험 상황과 엔터테인먼트 이용 ㅣ 쾌락적 대 비쾌락적 동기 ㅣ 엔터테인먼트 이용과 스트레스 적응 ㅣ 엔터테인먼트 이용과 스트레스 적응 효능감 ㅣ 위험 사회와 엔터테인먼트 소비 경험: 재미와 의미
8장 소셜 미디어는 위험을 해결하는가, 촉진하는가
위험 상황에서 강력한 비공식적 채널로서의 소셜 미디어 ㅣ 재난민의 소셜 미디어 기반 연대를 통한 집단 문제 해결 ㅣ 위험 대처에 대한 사회적 지지 교환의 장으로서 소셜 미디어 ㅣ 소셜 미디어 의존 모델과 자아불확실성 누그러뜨리기 ㅣ 소셜 미디어 정보의 허구성 ㅣ 소셜 미디어 정보의 극단성 ㅣ 소셜 미디어 자체의 위험
9장 미디어 장치는 위험한 자유인가, 안전한 구속인가
기술로서 미디어 ㅣ 디지털 미디어의 풍경 ㅣ 장치의 의미와 기능 ㅣ 팬데믹과 미디어 장치 ㅣ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간
10장 미디어는 사랑을 지지하는가, 혐오를 자극하는가
사회의 마음 ㅣ 정동이란 무엇인가 ㅣ 정동으로의 전회 ㅣ 디지털 위험 사회의 정동 공중 ㅣ 정동 공중의 모습 ㅣ 혐오의 정동 공중 ㅣ 사랑의 정동 공중
11장 미디어는 평등에 기여하는가, 불평등을 악화하는가
위험 사회의 울퉁불퉁함 ㅣ 위험의 중첩성 ㅣ 평등을 위한 사회 운동과 미디어의 역할 ㅣ 코로나19 팬데믹과 불평등 ㅣ 디지털 노동과 경쟁 체제 ㅣ 미디어에 그려진 플랫폼 노동자
12장 게임오버인가, 업사이클은 가능한가
위험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윤리 ㅣ 진실과 주체 ㅣ 파레시아의 요건 ㅣ 비판의 윤리 ㅣ 파레시아와 역사의 미결정성 ㅣ 취약성의 정치 ㅣ 디지털 미디어와 대중의 진실 실천 ㅣ 급진적 희망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