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학개론

일본학개론 (워크북 포함)

정현숙, 이영, 강상규, 유불란 (지은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3,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900원 -0% 0원
710원
23,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학개론 (워크북 포함)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인문과학대학 > 일본학과 > 1학년
· ISBN : 978892005144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1-25

책 소개

『일본학개론』은 지역학의 한 분야로서 일본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입문과목이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에서는 어문학 분야 외에 일본의 역사·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들 과목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일본학개론』은 앞으로 4년 동안 공부하게 될 여러 전공과목에 앞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이들 전공과목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과목이다. 따라서 일본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포괄적이면서도 균형 있게 다루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과목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교재는 크게 4부로 나누어 집필했다.

제1부 「일본의 지리와 생활문화」에서는 일본열도의 지리적 특징과 지역의 다양성, 일본인의 생활문화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일본열도의 지리적인 위치와 지형, 자연환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열도를 8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의 특징과 교통망, 경제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 아가 현대 일본인의 생활문화를 잘 보여 주는 인생의례를 고찰했다.

제2부 「일본역사의 전개」에서는 원시 및 고대, 중세, 근세의 시기로 구분하여 일본에서 문화가 언제 시작되었으며,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변천했는가의 큰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전근대 일본의 주요 도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학습은 일본역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제3부 「근현대 일본정치」에서는 근대국가 일본이 형성되는 과정과 메이지유신의 혁신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또한 패전 후 현대 일본정치의 성립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천황제와 역사 인식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일본 정치문화의 여러 특징을 살펴보고, 현대 일본정치의 주요 쟁점을 조망했다.

제4부 「제국 일본의 탄생과 전쟁국가의 길」에서는 서구 열강의 세계진출과 함께 대두된 저들과의 무한경쟁이라는 생존의 위기하에서, 메이지유신 이후 근대화를 추진해 나가던 일본이 왜, 그리고 어떻게 ‘전쟁국가’의 길이라는 선택지를 택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목차

제1부 일본의 지리와 생활문화


제1장 일본열도

1. 영 토 4

2. 지형적 특징 11

3. 기 후 17

4. 자연재해 20



제2장 지역의 구분

1. 지역 차원에서 본 일본열도 28

2. 도도부현의 광역자치체 29

3. 시정촌의 기초자치체 35

4. 8개의 지역구분 40



제3장 지역의 경제활동

1. 지역 간 경제격차의 구조 56

2. 주요 공업지역 60

3. 주요 농업지역 67

4. 지역을 연결하는 철도교통망 72



제4장 일본인의 생활문화

1. 생활 속의 의례 82

2. 출산과 육아 84

3. 성인식 92

4. 약혼식과 결혼식 94

5. 장례와 제례 98

6. 야쿠도시와 도시이와이 101



제2부 일본역사의 전개


제5장 원시 및 고대

1. 구석기 및 신석기(조몬) 시대 108

2. 야요이시대 109

3. 야마토조정의 시대 111

4. 율령정치의 완성 115

5. 헤이안시대 118



제6장 중 세

1. 가마쿠라시대 126

2. 무로마치시대 130

3. 무로마치시대의 산업과 사회 133

4. 센고쿠시대 134

5. 무로마치문화 135



제7장 근 세

1.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치 142

2. 에도시대의 정치와 사회 145

3. 에도시대 중기의 정치와 사회

4. 에도시대 말기의 정치와 사회



제8장 전근대 일본의 주요 도시

1. 나라(奈良)

2. 교토(京都)

3. 가마쿠라(鎌倉)

4. 에도(江?)



제3부 근현대 일본정치


제9장 근대국가 일본의 형성

1. 페리의 내항과 막부말기

2. 메이지유신과 근대국가 만들기

3. 자유민권운동의 고양과 메이지헌법

4. 제국 일본과 계속되는 전쟁들



제10장 현대 일본정치의 성립과 전개

1. 미국의 점령통치와 전후개혁

2. 평화헌법의 정착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3. 55년체제의 성립과 고도성장기 일본정치

4. 냉전질서의 변동과 일본의 정치외교



제11장 일본의 천황제와 역사인식

1. 근대 일본천황제의 성립과 전개

2. 현대 일본의 상징천황제

3. 천황의 전쟁책임과 역사인식 문제

4. 역사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심층



제12장 일본 정치문화의 특징과 21세기의 주요 쟁점

1. 지정학적·언어사회학적 측면에서 본 일본의 정치문화

2. 정치적·사회적 전통과 일본의 정치문화

3. 2 1세기 현대 일본정치의 주요 쟁점과 표류하는 일본정치

4. 3·11 사태와 근대 일본시스템의 성찰



제4부 제국 일본의 탄생과 전쟁국가의 길



제13장 문명개화

1. 개화기의 ‘개화’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2. 당시 일본이 맞닥뜨렸던 현실 들여다보기



제14장 근대화 후발주자들의 개화

1. 일본 특유의 개화를 저해하는 요소

2. 독립과 문명화의 관계



제15장 ‘전쟁국가’의 길과 그 비판

1. 대국화의 유혹

2. 현실주의를 앞세운 군비확장은 정말로 현실적인가?

저자소개

정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졸업(사회학석사·박사) 일본 사회·문화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저서: 『日本の自営業層』, 『일본만화의 사회학』, 『인구위기국가 일본』, 『추락하는 일본의 출산율이 한국보다 높은 이유』 등 역서: 『과학과 행복』, 『일본의 사회계층』, 『미야자키 하야오의 숨은 그림 찾기』, 『일본의 평화주의를 묻는다』(공역), 『죽음과 장례의 의미를 묻는다』(공역) 등
펼치기
강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국제관계론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일본의 정치외교, 동아시아 정치사상사이다. 한국과 일본의 건강하고 의미 있는 소통과 상생의 길, 동아시아 역사의 새로운 해석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제국 일본》, 《19세기 동아시아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19세기 동아시아 패러다임 변환과 다중거울》, 《동아시아 역사학 선언》, 《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 문화 1, 2, 3, 4》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국어문학과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졸업(문학석사·박사) 일본 중세사, 한일관계사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명예교수 저서: 『倭寇と日麗関係史』, 『잊혀진 전쟁, 왜구』,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와 고려 말 왜구』 등 역서: 『중세 왜인의 세계』, 『일본문화사』 등
펼치기
유불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국비유학생으로 도일, 도쿄대학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일본정치사상사를 공부하면서, 1883년부터 1943년이라는 동아시아 근대의 가장 핵심 시기에 대한 방대한 일기를 남긴 윤치호와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한중일과 미국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국제적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상의 핵심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하던 그를 통해, 어떤 고정된 교설이 그저 일방적으로 전파-수용된 것이 아니라, 문명화와 관련된 유동적인 의견들이 흘러들고 또 흘러 나가면서 윤치호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문명론 수용자들이 그런 능동적인 논의과정에서 어떤 ‘계산’을 거쳐 문명화지상론의 길을 결단하게 되는지를 추적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경희대 공공거버넌스 연구소 및 서강대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를 거쳐 현재는 서울대 LnL(기숙형 대학) 시범 사업단에서 전담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위논문 이래의 문제의식인 동아시아 단위의 사상적 상호작용의 분석과 그에 입각한 동아시아 공동체 문제에 천착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정체성이라는 전략」(2022) 및 Whose Law to Apply? -Kwon I-jin’s Official Report of a 1707 Waegwan Legal Dispute(2020) 와 「정한론, 혹은 방편으로서의 ‘조선’」(2018) 등이, 저서로는 『역사화해의 이정표 1 : 이론적 기초를 찾아서』(2020) 및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2018,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