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인문과학대학 > 일본학과 > 1학년
· ISBN : 978892005144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1-25
책 소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교재는 크게 4부로 나누어 집필했다.
제1부 「일본의 지리와 생활문화」에서는 일본열도의 지리적 특징과 지역의 다양성, 일본인의 생활문화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일본열도의 지리적인 위치와 지형, 자연환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열도를 8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의 특징과 교통망, 경제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 아가 현대 일본인의 생활문화를 잘 보여 주는 인생의례를 고찰했다.
제2부 「일본역사의 전개」에서는 원시 및 고대, 중세, 근세의 시기로 구분하여 일본에서 문화가 언제 시작되었으며,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변천했는가의 큰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전근대 일본의 주요 도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학습은 일본역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제3부 「근현대 일본정치」에서는 근대국가 일본이 형성되는 과정과 메이지유신의 혁신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또한 패전 후 현대 일본정치의 성립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천황제와 역사 인식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일본 정치문화의 여러 특징을 살펴보고, 현대 일본정치의 주요 쟁점을 조망했다.
제4부 「제국 일본의 탄생과 전쟁국가의 길」에서는 서구 열강의 세계진출과 함께 대두된 저들과의 무한경쟁이라는 생존의 위기하에서, 메이지유신 이후 근대화를 추진해 나가던 일본이 왜, 그리고 어떻게 ‘전쟁국가’의 길이라는 선택지를 택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목차
제1부 일본의 지리와 생활문화
제1장 일본열도
1. 영 토 4
2. 지형적 특징 11
3. 기 후 17
4. 자연재해 20
제2장 지역의 구분
1. 지역 차원에서 본 일본열도 28
2. 도도부현의 광역자치체 29
3. 시정촌의 기초자치체 35
4. 8개의 지역구분 40
제3장 지역의 경제활동
1. 지역 간 경제격차의 구조 56
2. 주요 공업지역 60
3. 주요 농업지역 67
4. 지역을 연결하는 철도교통망 72
제4장 일본인의 생활문화
1. 생활 속의 의례 82
2. 출산과 육아 84
3. 성인식 92
4. 약혼식과 결혼식 94
5. 장례와 제례 98
6. 야쿠도시와 도시이와이 101
제2부 일본역사의 전개
제5장 원시 및 고대
1. 구석기 및 신석기(조몬) 시대 108
2. 야요이시대 109
3. 야마토조정의 시대 111
4. 율령정치의 완성 115
5. 헤이안시대 118
제6장 중 세
1. 가마쿠라시대 126
2. 무로마치시대 130
3. 무로마치시대의 산업과 사회 133
4. 센고쿠시대 134
5. 무로마치문화 135
제7장 근 세
1.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치 142
2. 에도시대의 정치와 사회 145
3. 에도시대 중기의 정치와 사회
4. 에도시대 말기의 정치와 사회
제8장 전근대 일본의 주요 도시
1. 나라(奈良)
2. 교토(京都)
3. 가마쿠라(鎌倉)
4. 에도(江?)
제3부 근현대 일본정치
제9장 근대국가 일본의 형성
1. 페리의 내항과 막부말기
2. 메이지유신과 근대국가 만들기
3. 자유민권운동의 고양과 메이지헌법
4. 제국 일본과 계속되는 전쟁들
제10장 현대 일본정치의 성립과 전개
1. 미국의 점령통치와 전후개혁
2. 평화헌법의 정착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3. 55년체제의 성립과 고도성장기 일본정치
4. 냉전질서의 변동과 일본의 정치외교
제11장 일본의 천황제와 역사인식
1. 근대 일본천황제의 성립과 전개
2. 현대 일본의 상징천황제
3. 천황의 전쟁책임과 역사인식 문제
4. 역사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심층
제12장 일본 정치문화의 특징과 21세기의 주요 쟁점
1. 지정학적·언어사회학적 측면에서 본 일본의 정치문화
2. 정치적·사회적 전통과 일본의 정치문화
3. 2 1세기 현대 일본정치의 주요 쟁점과 표류하는 일본정치
4. 3·11 사태와 근대 일본시스템의 성찰
제4부 제국 일본의 탄생과 전쟁국가의 길
제13장 문명개화
1. 개화기의 ‘개화’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2. 당시 일본이 맞닥뜨렸던 현실 들여다보기
제14장 근대화 후발주자들의 개화
1. 일본 특유의 개화를 저해하는 요소
2. 독립과 문명화의 관계
제15장 ‘전쟁국가’의 길과 그 비판
1. 대국화의 유혹
2. 현실주의를 앞세운 군비확장은 정말로 현실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