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한국 정치사상사의 재구성)

강정인, 김영수, 손현주, 유불란, 이상익, 장인성, 전재호, 정종모, 황종원 (지은이)
후마니타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한국 정치사상사의 재구성)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4373958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더 빨리 서구를 따라잡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였을 때는, 우리 사회가 밟아온 근대화의 경로를 반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국가적 비전을 정립하는 과제는 뒤로 미루어졌다. 맹목적으로 서구의 가치를 ‘표준’으로 삼는 인식의 편향성, 즉 서구중심주의를 지양해야 한다는 데서 작업은 출발한다.

목차

책 출간에 붙여

제1부 한국 정치사상의 전통
1장 이상국가의 구성원: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과 맹자의 ‘사민’_이상익
2장 조선조 김시습론과 절의론: 남효온, 윤춘년, 이이, 박세당의 김시습 전기를 중심으로_김영수
3장 ‘제 나라에 대한 의리’의 정치적 함의 문제: 최명길의 주화론을 중심으로_유불란

제2부 전통 사상의 새로운 지평
4장 소수자 담론으로서 유학의 가능성: 캉유웨이 『대동서』를 중심으로_정종모
5장 최시형의 생태학적 사유와 평화_황종원
6장 유길준의 문명사회 구상과 스코틀랜드 계몽사상: 유길준, 후쿠자와 유키치, 존 힐 버튼의 사상연쇄_장인성

제3부 한국 정치사상의 현재
7장 박정희 시대의 국가주의: 국가주의의 세 차원_강정인
8장 2000년대 한국의 ‘극단적’ 민족주의에 관한 비판적 연구: ‘국수주의 역사학’의 존립 기반을 중심으로_전재호
9장 한국인의 가치관과 미래 선호 가치_손현주・강정인

참고문헌

저자소개

강정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대 졸업(1977)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정치학 박사(1987)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89-2020) 저서 : 『자유민주주의의이념적초상』(1993), 『소크라테스, 악법도법인가?』(1994),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2004),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교차와 횡단의 정치사상』(2019 : 편저) 역서 : 『플라톤의 이해』(1991), 『마키아벨리의 이해』(1993), 『홉즈의 이해』(1993), 『마르크스에 있어서 필요의 이론』(1990), 『현대 민주주의론의 경향과 쟁점』(1994 : 공역), 『로크의 이해』(1995 : 공역), 『로마사 논고』(2003 : 공역), 『군주론』(2008 : 공역)
펼치기
전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연구 : 담론과 정책을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옌칭(Harvard-Yencing) 연구소 초빙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박정희 대 박정희』, 『키워드 한국 정치사』, 『민족주의들 :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와 특성』이 있다.
펼치기
전재호의 다른 책 >
장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공부하고 도쿄대학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개항기 한일 국제정치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 한일 정치사상사, 동아시아 개념사이다. 저서로 『장소의 국제정치사상』(서울대학교출판부, 2002),『근대한국의 국제관념에 나타난 도덕과 권력』(서울대학교출판부, 2006),『메이지유신』(살림, 2007),『동아시아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상상』(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서유견문: 한국보수주의의 기원에 관한 성찰』(아카넷, 2017), 『현대일본의 보수주의』(연암서가,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동경대학교 대학원 법학부의 객원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건국의 정치-여말선초 혁명과 문명 전환』『한국정치사상』(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현대정치와 군부』,『서양정치철학사』(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황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중국철학을 연구했다. 현재 단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장재철학』 『주제 속 주희, 현대적 주희』(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법으로 읽는 중국 고대사회』(공역), 『논어, 세 번 찢다』 등이 있다.
펼치기
유불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국비유학생으로 도일, 도쿄대학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일본정치사상사를 공부하면서, 1883년부터 1943년이라는 동아시아 근대의 가장 핵심 시기에 대한 방대한 일기를 남긴 윤치호와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한중일과 미국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국제적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상의 핵심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하던 그를 통해, 어떤 고정된 교설이 그저 일방적으로 전파-수용된 것이 아니라, 문명화와 관련된 유동적인 의견들이 흘러들고 또 흘러 나가면서 윤치호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문명론 수용자들이 그런 능동적인 논의과정에서 어떤 ‘계산’을 거쳐 문명화지상론의 길을 결단하게 되는지를 추적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경희대 공공거버넌스 연구소 및 서강대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를 거쳐 현재는 서울대 LnL(기숙형 대학) 시범 사업단에서 전담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위논문 이래의 문제의식인 동아시아 단위의 사상적 상호작용의 분석과 그에 입각한 동아시아 공동체 문제에 천착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정체성이라는 전략」(2022) 및 Whose Law to Apply? -Kwon I-jin’s Official Report of a 1707 Waegwan Legal Dispute(2020) 와 「정한론, 혹은 방편으로서의 ‘조선’」(2018) 등이, 저서로는 『역사화해의 이정표 1 : 이론적 기초를 찾아서』(2020) 및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2018,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손현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하와이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미래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학술연구교수이자 시간강사로서 재직 중이다. 한국의 대안미래와 인공지능혁명시대에 실현 가능한 바람직한 사회의 미래를 연구하고 있으며, 초연결성?초지능성의 사회에서 인간?로봇?공동체가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고자 한다.
펼치기
이상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1995년 성균관대학교에서 “한말 절의학파와 개화파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유가 사회철학 연구』(2001), 『유교전통과 자유민주주의』(2004), 『주자학의 길』(2007), 『현대문명과 유교적 성찰』(2018), 『한국성리학사론』(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정종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쳤고, 대만의 국립중앙대학에서 박사를 취득했다. 서강대 글로컬한국정치사상연구소 전임연구원, 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조교수를 거쳤다. 석사 논문에서는 주자(朱子)의 인설(仁說)을 다루었고, 박사 논문에서는 정명도(程明道)의 철학을 논의했다. 주로 송명 유학의 발전과 전개 및 현대 신유학의 지적 전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현대유학에서 극기복례 해석 논쟁과 그 의미」, 「주자의 사상채 비판은 정당한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