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

이동수, 유불란, 이병택, 김경희, 서희경, 이지수, 홍태영, 소진형 (지은이)
인간사랑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20원
23,030원 >
23,750원 -5% 0원
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8897418389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한국의 근대, 즉 구한말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근대인들이 어떤 이념적 생각을 하였고 그것이 어떻게 정치에 반영되었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서문 7

1장 한국의 정치적 전통과 이념 (이동수) … 11
2장 개화기 조선에서의 ‘의뢰심’이라는 문제 (유불란) … 73
3장 근대 이후 한국인과 자유의 문제 (이병택) … 107
4장 서구 국가사상의 수용과 건국헌법 (김경희) … 145
5장 헌법 전문과 대한민국 정통성 논의 (서희경) … 179
6장 막스레닌주의와 북한 (이지수) … 217
7장 과잉된 민족과 찾을 수 없는 개인 (홍태영) … 265
8장 제5공화국의 경제정책과 국민정체성의 변화 (소진형) … 307

저자소개

홍태영 (감수)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이자 현 안보대학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1-22년 한국정치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유주의, 민족주의, 공화주의, 근대와 탈근대의 정치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국민국가의 정치학』(2008), 『정체성의 정치학』(2011), 『국민국가를 넘어서』(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동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밴더빌트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 대통령실 정책자문위원,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장과 교무처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시민은 누구인가』(편저),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공저), Political Phenomenology(공저), “고대 그리스 비극에 나타난 민주주의 정신: ‘아테네’의 메타포를 중심으로”, “네덜란드공화국 건국기의 ‘통합의 정치’: 종교, 정치, 경제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근대국가 개념의 탄생—레스 푸블리카에서 스타토로』, 『마키아벨리—르네상스 피렌체가 낳은 이단아』, 『공화주의』 등이 있다.
펼치기
서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방문학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경희대 공공거버넌스 센터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저술로는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창비, 2012/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한국헌정사, 1948-1987』(포럼, 2020/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Truth and Reconciliation in South Korea(공저, Routledge, 2013)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역사적 기원(1898-1919)」(2006), 「남한과 북한 헌법제정의 비교연구(1947-1948)」(2007), 「한국헌법의 정신사」(2011), 「김성수와 한국민주당 연구」(2013), 「헌법적 쟁점과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1945-1950)」(2014), 「1950년대 후반 ‘포스트 이승만 정치’의 헌정사」(2016), 「이승만의 민주공화주의 정치운동 연구(1895-1899)」(2019), 「근현대 한국 연호의 변화 양상과 논쟁」(2022), 「大韓民國憲法前文と大韓民國の正統性に關する議論」(2017), 「War and Justice: Just Cause of the Korean War」(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병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럿거스대학교(Rutgers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으로 있다. 연구논문으로는 「흄의 법사상」, 「정파의 대립과 법치」, 「유럽통합과 장 모네의 정치사상」, 「자유주의와 공동성」, 「리처드 2세의 폐위와 헨리 4세의 등극」 등이 있다.
펼치기
유불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국비유학생으로 도일, 도쿄대학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일본정치사상사를 공부하면서, 1883년부터 1943년이라는 동아시아 근대의 가장 핵심 시기에 대한 방대한 일기를 남긴 윤치호와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한중일과 미국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국제적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상의 핵심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하던 그를 통해, 어떤 고정된 교설이 그저 일방적으로 전파-수용된 것이 아니라, 문명화와 관련된 유동적인 의견들이 흘러들고 또 흘러 나가면서 윤치호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문명론 수용자들이 그런 능동적인 논의과정에서 어떤 ‘계산’을 거쳐 문명화지상론의 길을 결단하게 되는지를 추적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경희대 공공거버넌스 연구소 및 서강대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를 거쳐 현재는 서울대 LnL(기숙형 대학) 시범 사업단에서 전담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위논문 이래의 문제의식인 동아시아 단위의 사상적 상호작용의 분석과 그에 입각한 동아시아 공동체 문제에 천착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정체성이라는 전략」(2022) 및 Whose Law to Apply? -Kwon I-jin’s Official Report of a 1707 Waegwan Legal Dispute(2020) 와 「정한론, 혹은 방편으로서의 ‘조선’」(2018) 등이, 저서로는 『역사화해의 이정표 1 : 이론적 기초를 찾아서』(2020) 및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2018,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소진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및 관심사는 17-19세기 유럽과 동아시아 사이의 번역, 지식의 유통, 수용이다. 공저로 Remapping the World in East Asia: Toward a Global History of the “Ricci Maps” 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