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88925406312
· 쪽수 : 303쪽
· 출판일 : 2012-11-20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뉴질랜드 음악과 교육과정 11
I. 뉴질랜드 교육의 개요 11
1. 교육제도 및 편제_11
2. 교육과정 구성 _13
II. 뉴질랜드 음악과 교육과정 16
1. 구성 체제_16
2. 예술 학습 영역의 내용체계 및 성취목표_16
III. 뉴질랜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17
1.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_17
2.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및 성취목표_18
3.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예시_25
IV. 논의 42
1. 예술 학습 영역에서의 음악교육_42
2. 4개 요소들 간의 상호 연관성_43
3. 이해/활동 영역의 통합 및 나선형 교육과정_43
4. ‘맥락 안에서 음악-소리 예술 이해하기’의 강조_44
CHAPTER 02. 대만 음악과 교육과정 45
I. 대만 교육의 개요 45
1. 교육제도 및 편제_45
2. 교육과정 구성(총론)_48
3. 교과의 구성과 시수_50
II. 대만 음악과 교육과정 52
1. 구성 체제_52
2. 음악과 교육과정 구성의 특징_54
III. 대만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66
1. 제1단계(국민소학교 1~2학년)_67
2. 제2단계(국민소학교 3~4학년)_69
3. 제3단계(국민소학교 5~6학년)_71
4. 제4단계(국민중학교 1~3학년)_73
IV. 논의 74
1. 통합적 예술교육의 강조_75
2. 예술교육의 목표와 총론 목표와의 밀접한 관련성_75
3. 창작 교육의 강조_76
4. 기본적인 개념과 능력의 강조_76
5. 예술문화의 역사와 다양성 강조_76
6. 생활 속에서의 예술 중시_77
CHAPTER 03. 독일 음악과 교육과정 79
I. 독일 교육의 개요 79
1. 교육제도 및 편제_79
2. 교육과정 구성_84
II. 독일 음악과 교육과정 85
1. 구성 체제_85
2. 음악과 교육과정 구성의 특징_89
III. 독일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91
1. 초등학교_91
2. 중학교 교육과정_98
IV. 논의 107
1.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징_108
2.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특징_109
CHAPTER 04. 미국 음악과 교육과정 111
I. 미국 교육의 개요 111
1. 교육제도 및 편제_111
2. 교육과정 구성_113
II. 미국 음악과 교육과정 115
1. 구성 체제_115
2. 구성의 특징_115
III.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117
1. 미네소타 음악과 교육과정_117
2. 사우스캐롤라이나 음악과 교육과정_122
IV. 논의 138
1. 예술교과 간의 통합_138
2. 내용기준 및 성취기준의 제시_138
3. 교육과정의 탄력적인 운영_139
4. 성취수준의 제시_139
CHAPTER 05. 영국 음악과 교육과정 141
I. 영국 교육의 개요 141
1. 교육제도 및 편제_141
2. 교육과정 구성_143
II. 영국 음악과 교육과정 145
1. 구성 체제_145
2. 구성방향 및 내용 제시방식_146
III. 영국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148
1.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핵심 단계 1-2)_148
2. 중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핵심 단계 3)_157
3. 음악과 성취목표_163
IV. 논의 165
1. 총론의 교육과정 목표 강조_165
2. 음악의 내적?외적 가치 모두 음악교과의 철학적 근거로 제시_166
3. 핵심 단계별로 구조화된 명료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제시_166
4. 기능과 지식 및 이해 강조한 포괄적 음악교육_166
5. 지적 사고력 개발 중시_167
6. 다양한 종류의 음악학습 중시_167
7. 타교과와의 연계지도에 대한 구체적 안내_168
8. 교육과정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 해설_168
CHAPTER 06. 일본 음악과 교육과정 169
I. 일본교육의 개요 169
1. 교육제도 및 편제_169
2. 교육과정의 구성_170
3. 학교교육에서 음악의 비중_172
II. 일본 음악과 교육과정 172
1. 구성 체제_172
2. 목표_173
3. 내용 제시방식_174
III. 일본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175
IV. 논의 196
1. 공통요소(개념)적 접근_196
2. 국가주의적 교육 강조_196
3. 초등학교 저학년의 독립교과로서의 음악_196
4. 학년군 및 학년별 내용제시 방식_197
CHAPTER 07. 캐나다 음악과 교육과정 199
I. 캐나다 교육의 개요 199
1. 교육제도 및 편제_199
2. 온타리오 교육과정 구성_201
II. 온타리오 예술교육과정 202
1. 구성 체제_202
2. 온타리오 예술교육과정의 특징_204
III. 온타리오 음악과 교육과정 216
1.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_216
2.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_217
3.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_221
IV. 논의 231
1. 예술교육과정을 통한 통합적 학습_231
2. 학습에 대한 기대수준 제시_232
3. 학년별 음악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과정 명료화_232
4. 음악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과정과 비판적 분석과정의 강조_232
5. 총제적인 성취도표를 통한 음악과 평가_233
CHAPTER 08. 핀란드 음악과 교육과정 235
I. 핀란드 교육의 개요 235
1. 교육제도 및 편제_235
2. 교육과정의 구성_241
II. 핀란드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조 243
1. 핀란드의 음악교육 체제_243
2.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서 구성_245
III. 핀란드 음악과 교육과정 246
1.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구성_246
2. 기본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_248
3. 예술교육 기본교과 음악의 구성 지침_252
4. 음악활동 유형에 따른 교육 내용_256
IV. 논의 259
1. 핵심내용 중심 최소 규정 교육과정_259
2. 예술교육의 제도적 강조_260
3. 활동 중심 교육과정_260
4. ‘조화’를 강조하는 교육과정_261
5.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_261
CHAPTER 09. 홍콩 음악과 교육과정 263
I. 홍콩 교육의 개요 263
1. 교육제도 및 편제_263
2. 교육과정 구성_265
II. 홍콩 음악과 교육과정 270
1. 구성 체제_270
2. 구성의 특징_272
III. 홍콩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282
1. 4가지 학습타겟에 따른 학습목표_283
2. 음악활동 예시(examplar)_288
IV. 논의 289
1. 전인교육과 평생학습능력 강조_290
2. 통합적 음악활동 강조_290
3. 맥락에서의 음악이해 강조_291
4. 음악활동 예시 및 학습자료 제시_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