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25546605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12-05-16
책 소개
목차
서론
Chapter 1. 레드 오션에서 살아남은 히든 챔피언 TOP 5
이케아: 스타일과 평등의 혼합
하버드: 세계 최고의 대학
국제 바칼로레아: 가장 똑똑한 아이들을 가르치다
휘슬러: 북미 지역 최고의 스키 리조트
홍콩 자키 클럽: 도박 그 이상의 것
Chapter 2. 국가 경쟁의 원동력 위닝 시티 TOP 10
에든버러 페스티벌: 세계 최대의 예술 축제
코펜하겐의 교통 관리: 자동차 없는 천국
도쿄의 공공 안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거대 도시
시티오브런던의 금융 서비스: 세계적인 국제 금융 중심지
상하이의 원대한 비전: 떠오르는 금융 중심지
뉴욕의 자선 사업: 세상에서 가장 관대한 사람들
방갈로르의 첨단 산업: 약점을 성공으로 바꾸다
뭄바이의 빈민촌: [슬럼독 밀리어네어]를 넘어서
두바이의 부동산 개발: 우여곡절 많은 사막 개발 붐
취리히의 마약 중독자 재활 사업: 중독에서 벗어나는 법을 가르치다
Chapter 3. 불황에도 성장을 거듭하는 리딩 네이션 TOP 5
독일의 산업 발전소: 중소기업
아프리카의 휴대 전화: 대륙의 얼굴을 바꾸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스포츠: 세계를 훈련시키다
미국의 핵심 가치: 메인 스트리트 아메리카
켈트의 호랑이 아일랜드: 경기 호황에서 침체 그리고 회복
결론
감사의 글
주 및 자료 출처
리뷰
책속에서
좋은 아이디어는 점차 전 세계 곳곳에서 등장할 것이다. 우리는 서로 배워야 한다. 물론 어떤 접근 방식을 지구 반대편에 그대로 이식한다고 해서 그것이 성공하리라 기대할 수는 없다. 중국에서 에든버러 축제를 만들 수 없는 것처럼 뉴욕을 도쿄처럼 안전한 곳으로 만들 수 없다. 방갈로르는 하버드 대학 같은 좋은 대학을 만들 수 없으며, 만든다 해도 최소한 몇 세대는 걸릴 것이다. 홍콩의 작은 정부에서 몇 가지 배울 점이 있을지 몰라도 그것을 서유럽의 복지 국가에 이식할 수는 없다. 사실 나는 각각의 이야기에서 조금씩 교훈을 배워 그것을 성공의 요소로 적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각 사례마다 세 가지 핵심 교훈을 선정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 이케아
조립 가구 혁명은 1950년대 유럽의 사회 변화(특히 스웨덴)와 아주 잘 들어맞았다. 남자들의 근로 시간이 줄어들어 더 많은 여가가 생겼고, 더불어 집에서 지내는 시간도 늘었다. 그러나 세금과 노동 비용은 빠르게 상승해 다른 노동자의 서비스보다 자가(自家) 노동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었다. 아울러 사람들이 일찍 결혼하거나 동거를 시작해 부모 세대보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아이를 낳았다. 그들은 자신의 집을 가능한 한 적은 돈을 들여 세련되게 꾸미고 싶어 했다.(중략) 이케아는 이러한 사회 변화의 조류를 제대로 파악해 이익을 올렸다. 젊은 부부들이 저렴하게 안락한 집을 꾸밀 수 있게 함으로써 유럽 전체의 아기 중 약 10퍼센트가 이케아 침대에서 임신된 것으로 추정된다.
□ 에든버러 페스티벌
에든버러는 축제를 위해 오랫동안 많은 노력을 해왔다. 이런 노력들 때문에 예술과 오락 공연 축제를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자연스럽게 갖출 수 있었다. 첫 번째 교훈은 완전히 개방된 시장을 허용하고 창출하고자 하는 의지다. 이는 축제에서 일어나는 일을 통제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에든버러는 이러한 시장을 조성하기 위해 막대한 금액을 쏟아 붓거나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았다. 오히려 시장을 억압할 수 있는 관료적 장벽을 제거했다. 두 번째 교훈은 하향식 접근법과 상향식 접근법을 결합했다는 점이다. 에든버러는 일을 계획할 때 한 사람의 생각만으로 추진하지 않는다. 항상 다양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일을 추진해왔고 지금도 그렇다. 그중 국제 예술 축제의 감독과 추진 기관은 공연 단체를 초청하고, 운영 재원을 발굴하고, 공연장을 확보하고, 행사를 홍보하는 데 하향식 접근법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