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헤게모니

헤게모니

(권력과 지배의 메커니즘, 그람시 사상에서 국제관계까지)

제임스 마틴 (지은이), 안종희 (옮긴이), 이승원 (감수)
생각이음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헤게모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헤게모니 (권력과 지배의 메커니즘, 그람시 사상에서 국제관계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9874073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8-30

책 소개

헤게모니는 정치, 문화, 국제관계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현상을 압축한 정치이론의 주요 개념이자 비판적 사고의 지배적 패러다임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한다. 그람시의 혁명적 전략으로서 헤게모니 이론, 국가·정치·문화에 대한 마르크스주의 이론, 급진 민주주의 대한 포스트-마르크스주의 프로젝트, 국제관계와 글로벌 정치경제에 이르기까지 헤게모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계보학적·비판적 시각으로 고찰한다.

목차

1장 헤게모니란 무엇인가?_07
지도력으로서의 지배?_10 | 권력, 주체성, 윤리_14 | 전략적인 개념, 권력_15 | 경험을 포착하는, 주체성_19 | 지도자와 피지도자를 통합하는, 윤리_22 | 각 장에 대한 간략한 소개_24

2장 그람시, 헤게모니와 혁명_28

그람시의 융합_30 | 혁명과 이탈리아 국가_33 | 헤게모니와 옥중수고_40 | 동의의 구축, 국가와 시민사회_42 | 지식인, 이데올로기, 상식_50 | 혁명 윤리, ‘현대의 군주’_54 | 그람시의 분석에 나타난 긴장_59 | 톨리아티와 ‘새로운 정당’_62 | 결론_68

3장 마르크스주의, 헤게모니와 국가_70

합의 정치?_72 | 계급의식과 엘리트 문화_75 | 구조주의와 자본주의 국가_79 | 구조와 전략의 변증법?_85 | 대중문화, 이데올로기, 그리고 위기_88 | 동의의 재구축, 대처리즘에서 포퓰리즘으로_94 | 결론_106

4장 포스트-마르크스주의, 헤게모니와 급진 민주주의_108

파편화된 정치_110 | 마르크스주의를 탈구축하기_117 | 담론의 주체_124 | 급진 민주주의와 다원주의_130 | 좌파의 포퓰리즘?_136 | 결론_139

5장 국가를 넘다, 세계적 차원의 헤게모니_142

세계를 이끌어가기_145 | 그람시와 국제관계_151 | 새로운 글로벌 질서?_159 | 글로벌 주체_164 | 대항 헤게모니_169 | 결론_172

6장 헤게모니의 종말?_175

헤게모니 없는 급진 정치_178 | 권력과 존재론_183 | 정동적 주체성_190 | 헌신의 윤리_197 | 전략을 위한 계기_201 | 결론_207

감사의 글_211 참고문헌_212 찾아보기_227

저자소개

제임스 마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정치학과 교수이며 현대 정치이론, 정치사상, 문화, 갈등, 수사학, 정신분석학 등에 관련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그람시를 비롯한 다른 이탈리아 사상가들을 연구했고, 최근에는 공적 발언 분석 및 쟁점들에 관심을 두고 수사학, 정신분석학과 연관된 연구와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정치학과 수사학Politics and Rhetoric》,《말의 심리정치학Psychopolitics of Speech》,《제3의 길 담론Third Way Discourse》,《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풀란차스 리더The Poulantzas Reader》,《영국정치와 사회의 수사학Rhetoric in British Politics and Society》등 다수가 있다. ⓒSusan Lapworth
펼치기
안종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와 환경대학원, 장로회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바른번역 아카데미를 수료한 후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천재보고서》,《도시는 왜 불평등한가》,《분열의 시대,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DK 지도로 보는 세계사》,《아주 짧은 소련사》,《테크노소셜리즘》,《사회적 공감》,《은밀한 세계관》,《우리에게 내일이 없더라도》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승원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및 아시아도시사회센터 부센터장. 영국University of Essex에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지도로 이데올로기와 담론분석 박사를 취득했으며, 현재 시.시.한 연구소, (사)지식공유 연구자의 집, 커먼즈 네트워크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급진 민주주의, 사회운동, 정치 변동, 포퓰리즘, 커먼즈, 도시 정치, 사회혁신, 세계 시민교육 등 분야에서 연구 및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민주주의》,《커먼즈의 도전》(공저),《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등이 있고, 역서로《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좌파 포퓰리즘을 위하여》,《녹색 민주주의 혁명을 향하여》,《비판적 시민성을 위한 민주주의 교육》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원의 다른 책 >

책속에서

그런데 왜 그람시는 물리적인 강압 상태에 있을 때 동의에 관한 이론을 추구했을까? 그의 투옥은 물리력이 사회 통제의 궁극적 수단임을 보여주는 증거가 확실하지 않은가? 그람시의 핵심 주장은 이탈리아를 20년간 지배했던 파시즘 같은 권위주의 체제조차도 사회의 일부 계층에서 보내는 자발적인 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는 현대 국가들이 자국민에 대한 ‘지적·도덕적 지도력’을 점점 더 갈망한다고 했지만, 그만큼의 물리력 또한 필요로 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경계가 여전히 모호하게 남아 있는 물리력과 동의는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람시는 가끔씩 동의만을 헤게모니와 동일시했다. 하지만 헤게모니 정치는 물리력과 동의의 ‘균형’ 역시 수반한다. 그렇다면 어느 순간에, 동의가 물리력도 수반할까? 또 이것은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까? 강압은 시민사회에서도 필요할까? 동의가 -파시즘의 경우처럼- 체제적인 괴롭힘과 협박을 은폐하는 연막으로 쓰이지 않게 하려면 얼마만큼의 폭력을 허용해야 할까?


윌리엄스과 홀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놀이나 여가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그럼으로써 학교, 직장, 공공기관 등의 사회적 종속에 대한 경험을 어떻게 ‘협상하는지’에 대한 문제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대응했다. ‘십대’라는 대중의 등장, 완전 고용에 따른 여가 시간의 확대와 더불어 문해력 향상, 취향과 구별을 나타내는 복장 스타일, 가정용품, 음악과 기타 상징적 물건에 돈을 쓸 수 있는 능력 등, 이 모든 것이 1950년대 후반 ‘고급’과 ‘저급’ 형태로 수용된 계급과 엘리트 기반의 취향 구분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