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2555257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4-03-20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1장 잃은 것은 시력, 얻은 것은 심력
잃은 것은 시력, 얻은 것은 심력 │ 아내의 흰 머리를 염색하며 │ 미술품이 내게 주는 행복 │ 잊었던 꿈의 조각들을 찾아 │ 아버지는 부재중 │ 쉰의 문턱에서 닮고 싶은 삶 │ 젊음에 대한 정의 │ 전화번호부에서 이름을 지우는 일 │ 자유로운 질주의 꿈 │ 혼자 떠나는 여행 │ 진정한 권위에 대하여 │ 음력과 양력의 조화로 살아가기 │ 재즈처럼 산다는 것 │ 달콤소박한 달관 │ 이제 겨우 한 가지 공부가 끝났을 뿐 │ 찻잎의 부활 │ 안과 밖이 어긋나지 않는 나이 │ 닷새장의 추억 │ 결혼식에 대한 소고 │ 설날에 쓰는 유서 │ 직선의 속도와 곡선의 넉넉함 │ 만년필에 어린 추억 │ 뭉툭한 칼의 지혜
2장 제 나이에 맞춰 사는 행복
잊고 지냈던 본능을 찾아 │ 우표 수집 예찬 │ 제 나이에 맞춰 사는 행복 │ 성을 쌓는 사람은 이동하는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 │ 작은 것에 대한 관심 │ 휴대전화와 공중전화 │ 퇴근길의 음악회 │ 날것으로서의 야성을 위해 │ 천렵의 풍경 │ 세월의 결을 따라 산다는 것 │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계와의 동거 │ 필연의 만남 │ 간판쟁이와 구본웅, 그리고 이상 │ 함께 갈 수 있다면 │ 반가운 희망의 전화 │ 겨울을 맞는 나무의 지혜 │ 편지가 주는 행복 │ 북한산이 좋은 이유 │ 나무가 되고 싶다 │ 내 영혼의 나비가 깨어나기를 │ 진정한 르네상스맨 │ 수도꼭지만 탐내는 병 │ 작은 기쁨
3장 내 삶의 북극성을 찾아
내 삶의 북극성을 찾아 │ 아름답게 늙는다는 것 │ 이상과 현실의 지혜로운 해후 │ 영혼의 벗, 책과 함께하기 │ 눈 내린 종묘에 첫 발자국을 남기며 │ 난 키우기와 무소유 │ 숲이 그리울 때면 │ 반갑다, 친구야 │ 건강한 쾌락주의자 │ 번뇌를 극복하는 길 │ 겨울밤 책 읽는 행복 │ 뜻밖에 찾아온 일탈의 행복 │ 아일랜드 부엌을 꿈꾸는 남자 │ 과거와 화해하기 │ 결대로 살 작은 용기와 지혜 │ 어머니가 그리운 명절 │ 떠나고 나서야 그리워지는 것 │ 애절함을 담은 꽃 상사화 │ 손돌바람의 매서운 한기 속에서 │ 익숙해지는 건 자신을 잊는 것이다 │ 스스로를 새롭게 엮는 일 │ 마흔의 끝자락에 길을 나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40대 후반, 참으로 어설픈 나이입니다. 뭐 딱히 근사하게 이뤄놓은 것은 없고, 아직도 해결해야 할 책무와 가장으로서의 의무가 고스란히 어깨를 누르는 압박감은 여전하면서도, 미래의 삶에 대한 아무런 보장도 대비도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삶입니다. 앞으로도 더 가열차게 살아가야 할 날이 많이 남아 있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위로도 받고 보상도 받아야 할 나이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그저 앞만 바라보며 열심히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서서히 지금까지 타고 온 차에서 내려야 한다며 등 떠미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현실이 우리를 안타깝게 합니다. 모두가 나름대로 열심히 최선을 다해 살았습니다. 그러나 이제 서서히 노동할 수 있는 삶의 막바지에서 겨우 남은 모든 정력을 쏟아야 하는 비정한 현실에 직면했습니다. 나는 아니라고 아무리 부인해봐도 단지 정도의 차이일 뿐, 거의 비슷한 것 같습니다.
한참 동안 사진을 들추며 옛 추억에 잠겨 있는데, 제가 나온 사진은 거의 없음을 새삼 확인합니다. 늘 사진을 찍는 일만 했지 렌즈 앞에 서 있는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입니다. 사진기 앞에서 어색한 표정과 자세를 잡아야 하는 게 꺼려져서, 그리고 어차피 내 사진이 아니라 아이들 사진을 찍으려고 했던 거라서 그리 되었습니다. 아이들이 학교에 가족사진을 내야 할 경우 어쩔 수 없이 함께 찍은 사진 말고는 예외 없이 저는 부재중입니다. 시간이 지나고 나니 사진을 찍을 걸 하는 후회가 듭니다. 나중에 아이들이 아버지와 함께 찍은 사진이 별로 없어 서운해 하지는 않을까 모르겠습니다. 하기야 그 녀석들이이 사진첩을 들춰볼 일이 몇 번이나 있겠습니까?
마음 맞는 친구들과 함께 바람을 가르며 유유하게 달리는 꿈은 여전히 제 어깨를 들썩이게 합니다. 체 게바라의 젊은 시절을 그린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는 오랫동안 감춰두었던 꿈을 간지럽혔습니다. 체 게바라처럼 자유롭게 바람이 되어 달리고 싶습니다. 몽골 초원에서 그 목부들과 함께 칭기즈 칸이 달렸던 그 언덕을 달리고 싶습니다. 그런데 제 자식놈들이 따라할까 걱정이 앞서는 건 아비로서의 노파심인지 소심함인지 모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