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25574776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07-29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그림 속에 머문 왕과 비
1. 술탄의 심장을 훔친 하렘의 노예 록셀라나
- 오스만 제국의 여성 술탄 시대
2. 황후가 된 매춘부 비잔틴 제국의 테오도라
- 히포드롬의 여배우에서 콘스탄티노플 궁정으로
3. 튜더 왕가의 라이벌 공주
- 애증으로 얽힌 왕실 자매 이야기
4. 프랑스 하이패션의 선구자 루이 14세
- 위대한 나르시시스트 군주
5.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의 프로파간다 초상화
- 예술과 정치의 협업
2장. 그림 속에 남은 스캔들의 역사
6. 팜 파탈 신화의 희생자 클레오파트라
- 전설적인 유혹자에 대한 오해와 진실
7. 기독교, 성 그리고 죄
- 지옥에 떨어진 연인들
8. 여자들의 결투!
- 결투의 역사
9. 마리 앙투아네트를 괴롭힌 정치 포르노- 유럽을 뒤흔든 성 스캔들 풍자만화
10. 셀카의 개척자 카스틸리오네 백작 부인
- 세상에서 자신이 제일 아름답다고 생각한 여자
3장. 그림 속에 차려진 음식
11. 카트린 드 메디시스, 프랑스 음식 문화를 열다
- 프랑스 미식 요리의 시작
12. 세계사를 움직인 커피
- 커피가 있는 명화
13. 후추, 향신료, 그 유혹의 역사
- 동양에서 온 천국의 맛
14. 그림 속에 차려진 설탕의 유혹
- 달콤하지만 잔혹한 ‘하얀 금’의 세계사
15. 명화로 재현한 17세기 먹스타그램
- “어때? 나 이렇게 잘 먹고 살아!”
4장. 그림 속에 기록된 신앙의 시대
16. 죽음의 무도와 죽음의 승리
- 흑사병 시대의 예술
17. 죄악의 접시
- 지상의 식탐을 경계하라!
18. 중세 성녀의 거룩한 금식
- 먹지 않아도 사는 소녀들
19. 둠스데이, 인류 멸망의 그날
- 묵시록적 종말론의 그림자
20. 마녀는 어디에서 오는가?
- 마녀의 역사는 여성 혐오의 역사
5장. 그림 속에 기억된 힘과 권력의 역사
21. 고대 로마의 이상적인 여성 루크레티아
- 우리는 여성을 어떻게 보는가?
22. 이국적인 사치품 흑인 노예
- 노예는 상품이었다
23. 동화는 없다: 현실판 미녀와 야수
- 늑대인간 가족의 비극
24. 포카혼타스, 인디언 공주의 신화
- 디즈니의 거짓말
25. 정신 질환, 그 폭력의 역사
-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6장. 그림 속에 각인된 근대 사회의 빛과 그림자
26. 마음 설레는 기차 여행과 모던 라이프
- 19세기 파리지앵의 여가 생활
27. ‘레미제라블’, 번영의 그늘
- 산업 시대 도시 빈민의 자화상
28. 템스강의 스모그를 그림으로 기록한 모네
- 런던을 집어삼킨 ‘완두콩 수프 안개’
29. 왜 이 가축들은 직사각형의 모습일까?
- 냉장고를 삼킨 소!
30. 피의 일요일
- 러시아 혁명의 서막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왕과 제인 시모어, 왕자만이 기둥 안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공주들이 기둥 밖으로 밀려나 있는 모습이 매우 흥미롭다. 왕의 진정한 가족은 왕자와 그의 사망한 어머니 제인 시모어뿐이라는 인상을 준다. 초상화에서 두 공주의 위치는 여전히 사생아, 왕위 계승의 예비군으로 보이게 한다. 또한 두 공주의 목걸이는 이 가족의 싸늘한 갈등 국면을 드러낸다. 가톨릭 신자인 메리는 십자가 목걸이를, 엘리자베스는 앤 불린으로부터 물려받은 이니셜 A가 새겨진 에메랄드 진주 목걸이를 달고 있다. 때로 그림 한 점은 천 마디의 말을 한다. 한 자리에 모인 가족의 초상화이지만 이 왕실 가족의 애증이 얽힌 복잡한 이야기를 전한다.
장 레옹 제롬은 플루타르코스의 이야기에 따라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의 낭만적인 첫 만남을 묘사한다. 그림 속 클레오파트라는 막 카펫에서 나와 유혹적인 자세로 카이사르 앞에 서 있다. 화려하고 정교한 이집트식 목걸이 아래 드러난 가슴, 허리띠 아래 투명한 베일 같은 치마 사이로 엿보이는 다리가 육감적이다. 옆에는 이국적인 분위기를 위한 소품으로 그려진 노예가 여왕의 뒤에서 두려운 듯 웅크리고 있다. 책상 앞에 앉아 있는 카이사르는 당황한 듯 두 손을 허공에 휘저으며 클레오파트라를 올려본다. 화가는 고대의 사건을 상상하면서 젊고 매혹적인 이집트 여왕의 모습을 전형적인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으로 그려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