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2557520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3-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팀장이란 어떤 사람인가
팀장은 비즈니스, 피플, 셀프를 관리하는 사람이다.
팀장의 일과 팀원의 일은 다르다
일잘러가 꼭 좋은 팀장이 되는 것은 아니다
워커홀릭은 팀원들에게 부담이다
직속 상사와 전략적인 관계를 맺어라
조용한 퇴사, 나쁜 팀장이 만든다
일하고 싶은 동기를 주거나, 일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라
인정이 참여를 이끈다
일을 잘 맡기기 위해 팀장이 해야 할 일 3가지
팀장의 피드백이 얼마나 중요한지
팀장은 외로운 자리이다
팀장의 역량을 증명하라
2장. 팀장의 역할은 무엇인가?
리더십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팀의 정체성을 만들라
팀의 감정도 습관이다
더 큰 성과를 원한다면 팀으로 움직여라
모든 팀원을 공평하게 대하라
조직 내 모든 팀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라
저성과자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성과에 대한 책임은 팀에 있다
팀장의 최우선 임무는 육성이다
모든 관리의 기본은 소통이다
비공식 네트워크를 활용하라
3장. 팀장 리더십을 갖추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
어떤 팀원과 일하게 할 것인가
이직을 줄여주는 제도: 상사선택제와 ITM
실패하는 리더의 유형
성과관리를 위한 전략: KPI와 OKR
할 일이 남았는데도 퇴근하는 팀원, 애플의 DRI를 활용하라
DRI는 결국 권한위임이다
신규 입사자들의 이탈을 막는 온보딩
업무 몰입도를 높여주는 원온원
생산성을 높여주는 슬기로운 회의 방법
팀장은 팀원이 스스로 꿈을 구체화하도록 도와야 한다
‘대퇴사’를 넘어 ‘아름다운 퇴사’를 위해
업무 역량 위에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있다
맺음말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팀장은 ‘관리자’이고 관리자의 역할은 ‘관리’이다. 팀장은 팀 관리, 팀원 관리뿐만 아니라, 자기 관리를 하는 사람이다. 이렇듯 역할의 정의가 중요하다. 배달의민족의 창업자 김봉진 의장은 창립 초기에 직원들에게 ‘좋은 회사’란 어떤 회사인지 물어보았다고 한다. 좋은 회사를 원했지만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좋은 회사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팀장 리더십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팀장의 역할이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고, 좋은 팀장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좋은 회사, 좋은 팀장, 좋은 팀원 등 정의를 명확하게 세우고 시작해야 한다. 단순히 ‘능력 있는 팀장’ 같은 두루뭉술한 정의가 아니라, 조직에서 원하는 팀장의 모습이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정의여야 한다.
많은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신뢰’를 쌓으려면 다음의 세 가지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팀장과 팀원의 관계가 좋아야 한다. 상사를 신뢰하는 팀원들은 상사가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신경 써준다고 생각했다. 둘째,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계속해서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고 약속을 꼭 지켜야 한다. 셋째, 전문 역량을 지녀야 한다. 자신의 의견이나 조언을 팀원들이 잘 따르도록 하려면 팀장은 해당 영역에서 전문가여야 한다. 나는 과연 이 세 가지 요소에 부합하는 사람인지 스스로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