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8892558930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1-01-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교사의 자존감은 학생의 자존감이자 미래의 자존감이다
1장_ 교사의 자존감은 무엇이 다른가
잃어버린 자존감을 찾아서
교사는 언제 상처받을까
자존감도 측정이 됩니다
내 어린 시절의 상처들
2장_ 바닥난 자존감을 회복하려면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
교사의 자존감이 올라갈 때
흔들리는 자존감을 붙잡으려면
나만의 작은 성공 경험 쌓아가기
3장_ 회복을 위한 심리 교실
“학부모가 교원 평가에 독설을 적어놨어요”
“아무리 노력해도 문제 학생이 안 바뀌어요”
“다른 교사들이 저를 따돌려요”
“사람들 눈치를 너무 많이 봐요”
“자꾸 학생들에게 화를 내게 돼요”
“동료 선생님의 지적이 부담스러워요”
“저를 무시하고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이 있어요”
“이것저것 다 스트레스, 교사 그만둘래요”
“부탁을 거절하기가 힘들어요”
“학교에서 종종 욱하게 돼요”
“승진을 안 하면 안 되는 걸까요”
“무기력해서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학부모가 저를 만만하게 봐요”
“반 아이들을 꾸중하기 힘들어요”
“초임인데 너무 일을 많이 시켜요”
“연애가 잘 안 되면 학교에서도 힘들어요”
4장_ 건강한 자존감을 유지하는 법
심리 치료 과정 지속하기
매일 아침 문장 완성하고 다짐하기
한 문장 완성하기
두세 문장으로 늘려가기
문장 더 늘리고 사람들 앞에서 선언하기
우리는 이렇게 변화했습니다
워크숍 후기_ 우리를 한 뼘 더 성장하게 해준 기적의 시간
에필로그_ 꾸준하게, 끈질기게, 포기하지 않고
참고문헌
고맙습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이론에 지면을 할애하기보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의 응답과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교사의 자존감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교사들은 자존감을 어떻게 회복했고, 회복한 자존감을 어떻게 유지했는지 사례 위주로 풀었습니다. 교원 평가에 적힌 학부모의 독설, 문제 학생이 바뀌지 않는 데 대한 죄책감, 동료 교사의 부정적인 피드백, 반 학생의 지속적인 수업 방해, 학부모의 폭언, 버거운 업무를 맡는 데 따른 고충 등 교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한편, 현재의 건강하지 않은 자존감을 만든 과거의 사건들, 즉 학창 시절 따돌림당한 경험, 가족 내의 남아 선호, 사이 나쁜 부모, 부모의 이른 죽음, IMF 위기, 잦은 이별까지 담았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이 ‘내 자존감이 건강하지 않은 건 내 탓’이란 마음을 내려놓기를, 자존감을 조금이나마 회복하기를, 교사로서의 삶 전체를 바라보는 통합적인 이해에 가닿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워크숍에 참여하기 힘든 분을 위해 자가 처방과도 같은 자존감 회복 프로그램의 내용 일부를 뒷부분에 첨부했습니다. 가까운 선생님들과 함께 실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프롤로그
제가 워크숍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탄생부터 현재까지 내 게 생긴 여러 사건을 시간별로 점찍고 간단히 설명을 써본 후 이 점들을 연결해 그래프로 그리는 ‘스펙터클 인생 그래프’라는 활동이 있습니다. 가운데 선을 기준으로 ‘내게 좋았던 사건(+)’일수록 더 위로, ‘나를 어렵게 만들었던 사건(-)’일수록 더 아래로 그립니다.
교사들의 그래프에 자주 나오는 사건은 성적 상승이나 하락, 대학 혹은 임용고시 합격이나 실패였습니다. 그만큼 교사가 성적과 평가를 중시하고, 그 결과에 예민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1장_ 교사의 자존감은 무엇이 다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