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8221322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08-10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_ 역사를 어떻게 바라볼까?
Part 1. 고조선~고려시대
01 최초 국가의 탄생
02 고구려, 백제, 신라와 삼국통일
03 후삼국 통일과 고려 건국
04 거란의 침입과 귀주대첩
05 몽골의 침입과 처인성 전투
Part 2. 조선시대
06 조선의 건국
07 세종의 다양한 업적
08 조선의 신분제도
09 임진왜란, 행주대첩, 명량대첩
10 병자호란
11 붕당 정치와 탕평책
12 실학자의 등장
13 조선 후기의 서민 문화
14 병인양요
15 강화도 조약
16 동학 농민 운동
17 을미사변
Part 3. 일제강점기~대한민국
18 의병과 독립운동가
19 강제 징용과 위안부
20 3·1 만세 운동
21 8·15 광복
22 6·25 전쟁
23 분단, 그리고 통일
놀이와 연극 수업 팁 _ 놀이와 연극을 활용한 다양한 수업 활동
닫는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회 교과서가 국정교과서에서 검정교과서로 바뀌는 시대를 맞이했다. 다양한 출판사에서 나온 교과서 중에서 내 반 아이들에게 맞는 것을 고르고 수업을 재구성해야 하는 시대다. 출판사에서 제공해 주는 자료는 한계가 많고, 누군가의 자료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사이 가림판이 걷어지고 마스크를 벗으며 그동안 하지 못했던 참여와 체험 형태의 수업이 다시 가능해졌다. 학생들의 놀이권 또한 강조되어 학교 내 쉬는 시간에도 변화가 생겼다. 이제 놀이와 연극을 활용한 수업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고 이와 관련한 수업 재구성 경험과 아이디어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역사 수업을 위해 놀이와 연극을 활용했던 수업 재구성의 기록이지만, 이런 아이디어는 여러 교과와 주제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여는 글> 중에서
삼국은 백제, 고구려, 신라순으로 전성기를 맞이하는데, 전성기에 모두 ‘한강 유역’을 차지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이를 기억하도록 ‘기름진 한강 유역’을 준비하고 싶었다. 고민 끝에 커다란 종합과자 선물세트를 주문했다. 과자 세트 상자 앞뒤에는 큰 종이에 ‘한강 유역’이라는 글자를 써서 붙였다.
세 나라가 구성되고 아이들이 자리에 앉자 나는 상자를 교탁 위에 올려놓았다. 상자 안에 과자가 가득 들어 있다는 말을 하니 아이들의 관심과 의욕이 높아지는 분위기였다.
“삼국은 기름진 한강 유역을 차지했을 때 전성기를 맞이했답니다. 여러분도 이 기름진 한강 유역을 놓고 이제부터 치열한 전투를 펼칠 예정이에요. 각 나라 백성과 왕은 똘똘 뭉쳐 최선을 다해 주세요.”
이어서 앞으로 자기 나라 자랑대회, 장수들의 체력과 지혜 대결 등이 이어질 텐데, 각 활동마다 각각 점수가 부여되고 그 점수에 따라 한강 유역을 차지할 나라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 <02. 고구려, 백제, 신라와 삼국통일> 중에서
“이곳은 군사 분계선입니다. 휴전 후, 이렇게 남과 북이 만나지 못하도록 장벽이 생겼습니다. 여러분은 군사 분계선입니다. 사람이 아닌 차갑고 감정이 없는 철책일 뿐이지요. 여러분의 임무는 오가는 사람을 막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북쪽 군사 분계선 너머에 부모 역할의 학생 한 명을 세우고, 남쪽의 군사 분계선 너머에는 자녀 역할을 하면 좋을 학생 한 명을 뽑도록 했다. 그리고 부모 역할의 학생을 바라보며 “전쟁 통에 자녀를 남에 두고 온 어머님, 따님이 얼마나 보고 싶은가요?”라고 말했다. “많이 보고 싶고 미안해요.”라고 답하자 나는 건너편으로 넘어가 자녀 역할의 학생에게 “엄마가 얼마나 보고 싶어요? 엄마랑 헤어져 그동안 어떻게 살았나요?”라는 질문으로 자녀 역할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
이어서 보자기 천 하나를 접어 엄마 역할의 학생에게 주고 딸이 너무나 보고 싶어 밤을 새워 썼던 편지라고 했다. 이걸 군사 분계선 쪽에 가서 딸에게 건네보자고 했다. 던질 수는 없고 손을 뻗어 전달해 보도록 했다. 이때 군사 분계선 역할의 학생들에겐 편지 전달을 최대한 막으라고 했다. 자녀 역할의 학생에게 “엄마 보고 싶어요!” “엄마 만나고 싶어요!”라고 소리 지르도록 해 모두의 감정이 올라오도록 했다.
- <23. 분단, 그리고 통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