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26816387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0-11-09
책 소개
목차
지역사 연구를 시작하며
제1편 일제의 침략과 항쟁기
제1장 일제에 의한 조선 지방통치체제 해체와 식민통치체제 수립(1905~1910년)
제1절 조선 후기 충주지역 사회
1. 지방통치제도와 향촌사회의 변화
2. 충주읍치(邑治)의 입지와 공간구조
3. 교통 발달과 도시의 성장
4. 조선 후기 충주지역의 장시(場市)
제2절 식민통치체제로의 개편과정
1. 국권탈취와 통감부의 설치
2. 지방관관제의 개정과 군(郡)의 지위 변화
3. 충주의 행정구역 정리
4. 충청북도 관찰부의 이전과 그 영향
제3절 충주의 식민통치 조직과 식민통치체제의 수립
1. 통감부시기 충주의 경찰과 헌병조직
2. 징세기구의 신설과 충주의 재무행정
3. 이사청과 이사청지청
4. 재판소 및 사법제도의 변천
제4절 일본인의 이주와 침탈 과정
1. 일제의 이주식민 정책
2. 일본인의 이주와 경제 침탈
제2장 충주지역의 반침략 전쟁과 민족운동의 전개
제1절 충주지역의 동학농민 전쟁
1. 충주지역사회의 동향과 동학의 전래
2. 충주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전개
제2절 충주지역의 의병전쟁
1. 충주지역의 의병전쟁 배경
2. 전기 충주지역 의병전쟁
3. 후기 충주지역 의병전쟁
제3절 기호흥학회 충주지회의 설립과 구성
1. 기호흥학회 충주지회의 설립
2. 기호흥학회 충주지회의 구성
제4절 한말 근대 교육기관의 설립
1. 충주공립소학의 설립과 변천
2. 충주지역의 사립학교 설립운동
제2편 식민지 개발과 수탈 그리고 저항기
제3장 무단통치와 이주 일본인을 위한 식민도시 개발(1910~1920년)
제1절 충주의 무단통치 조직
1. 일제강점과 충주의 헌병경찰 통치
2. 충주주둔 일본군의 성립과 활동
3. 충주의 사법기관
제2절 지방제도 개편과 식민지 개발 및 수탈
1. 1910년대 지방제도와 군(郡)행정
2. 토지조사사업의 시행과 그 영향
3. 시구개정과 식민도시 기반 조성
4. 충주의 행정구역 개편과 그 영향
5. 일제의 광업정책과 광물자원의 수탈
제3절 면제의 성립과 면행정의 변화
1. 면제성립 이전의 면의 운영
2. 면제의 성립과 면행정의 변화
제4절 충주지역의 식민지 농업정책
1. 1910년대 식민지 농업정책과 지주제
2. 충주의 황색엽연초 경작사업
제5절 1910년대 충주의 교육
1. 1910년대 일제의 교육정책
2. 1910년대 충주지역의 교육기관
제6절 일제의 시장통제 정책과 일본인 자본의 성장
1. 일제의 시장공영정책과 시장의 성격 변화
2. 도로개수와 일본인 상설시장의 성장
제7절 일본인 사회의 형성
1. 충주의 일본인 인구변화와 사회계층 구조
2. 충주신사 건립
3. 일본인 교육기관
4. 일본인 사회단체
5. 일본불교의 유입
제4장 1920년대 지방제도 개정과 식민지 수탈사업(1921~1930년)
제1절 지방제도 개편과 자문기관 설치
1. 지방제도 개편의 필요성
2. 부회ㆍ면협의회ㆍ도평의회의 설치
제2절 충주의 지정면 지정과 면협의회 운영
1. 충주의 지정면 지정과 그 성격
2. 지방선거와 면협의회 운영
제3절 1920년대 충주경찰의 조직 변화
1. 보통경찰제도의 내용과 본질
2. 충주경찰의 관할과 조직의 변
제4절 산미증식계획과 농촌경제의 실상
1. 산미증식계획과 충주의 수리조합
2. 농촌경제의 파탄과 농민의 생활상
제5절 1920년대~1930년대 충주의 교육
1. 제2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일제의 교육정책
2. 1920년대 충주 지역의 교육기관과 학교설립운동
제6절 충북선 개설과 일본인의 상권 장악
1. 충북선 개통 과정
2. 충북선 개통과 그 영향
3. 일본인의 상권 장악과 시장의 변화
제7절 일제강점기 충주의 인구와 도시 변화
1. 충주의 인구동향
2. 충주의 식민지 도시화 과정
3. 식민지배와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제5장 1920~1930년대 충주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제1절 충주지역의 3?1운동
1. 3?1운동의 배경
2. 3?1운동의 전개와 그 영향
제2절 충주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충주청년회와 청년운동
2. 학생운동
3. 소년운동
4. 신간회운동
5. 형평운동
6. 충주의 아나키즘운동
제3절 충주지역의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1. 충주지역의 노동운동
2. 충주지역의 농민운동
제3편 일제 말 전시동원기
제6장 1930년대 읍제의 시행과 지역사회(1930~1945년)
제1절 1930년대 지방제도 개정과 읍면행정
1. 1930년대 지방제도 개정
2. 읍회 및 면협의회 운영
제2절 일제 말기 충주지역의 농촌과 지역사회
1. 일제 말기 충주지역의 농민 생활상
2. 일제의 연초정책과 충주지역의 연초경작 사업 실태
3. 식민권력과 지역사회 갈등
제3절 일제 말기 교육정책과 학교설립
1. 제3, 4차 조선교육령
2. 일제 말기 충주의 학교 설립
제4절 농촌진흥운동과 농촌통제정책
1. 일제의 농촌재편 정책의 변화
2. 농촌진흥운동의 수립과 추진
3. 농촌진흥운동과 농촌 조직화 정책
제7장 전시동원과 황국신민화 정책
제1절 전시동원체제의 형성과 통제
1. 전시동원체제로의 전환
2. 전시동원체제의 구축과 강화
3. 전시동원과 통제
제2절 내선일체와 황국식민화 정책
1. 전시동원기 내선일체론과 사상통제
2. 황국식민화 정책
맺음말: 일제침략과 강점시기 충주지역사가 주는 교훈적 함의를 찾아서
충주지역 근대관련 연표
참고문헌